2024. 9. 25. 23:19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우슬(본초강목)
^^^^^^^^^^^^^^^^^^^^^^^^^^^^^^^^^^^^^^^^^^^^^^^^^^^^^^^^^^^^^^^^^^^^^^^^^^^
牛膝
(《本經》上品)
【釋名】
牛莖(《廣雅》)、百倍(《本經》)山莧菜(《救荒》)對節菜。
弘景曰︰其莖有節,似牛膝,故以為名。
莖(경)에 牛膝(우슬)과 유사한 節(절)이 있는 까닭에 붙인 이름이다.
時珍曰︰《本經》又名百倍,隱語也,言其滋補之功,如牛之多力也。其葉似莧,其節對生,故俗有山莧、對節之稱。
本經(본경)에 또한 百倍(백배)라고 하는 名稱(명칭)은 隱語(은어)로서 그 滋補(자보)의 功力(공력)이 소처럼 힘이 세다는 뜻이다. 葉(엽)이 莧(현)과 유사하며 節(절)에 對生(대생)하기 때문에 흔히 山莧(산현), 對節(대절)등의 名稱(명칭)으로 불린다.
【集解】
《別錄》曰︰牛膝生河內川谷及臨朐。二月、八月、十月採根,陰乾。
普曰︰葉如夏藍,莖本赤。
弘景曰︰今出近道蔡州者,最長大柔潤。其莖有節,莖紫節大者為雄,青細者為雌,以雄為勝。
大明曰︰懷州者長白,蘇州者色紫。
頌曰︰今江淮、閩粵、關中亦有之,然不及懷州者為真。春生苗,莖高二三尺,青紫色,有節如鶴膝及牛膝狀。葉尖圓如匙,兩兩相對。於節上生花作穗,秋結實甚細。以根極長,大至三尺而柔潤者為佳。莖葉亦可單用。
時珍曰︰牛膝處處有之,謂之土牛膝,不堪服食。惟北土及川中人家栽蒔者為良。秋間收子,至春種之。其苗方莖暴節,葉皆對生,頗似莧葉而長且尖𧣪。秋月開花,作穗結子,狀如小鼠負蟲,有澀毛,皆貼莖倒生。九月末取根,水中浸兩宿,挼去皮,裹紮暴幹,雖白直可貴,而挼去白汁,入藥不如留皮者力大也。
根
【修治】
雷斅曰︰凡使去頭蘆,以黃精自然汁浸一宿,漉出,銼,焙乾用。
대개 使用(사용)하는 데는 頭蘆(두로)를 去(거)한 후 黃精(황정)의 自然汁(자연즙)에 하룻밤 담갔다가 漉出(녹출)해서 다지고 焙乾(배건)해서 使用(사용)한다.
時珍曰︰今惟以酒浸入藥,欲下行則生用;滋補則焙用,或酒拌蒸過用。
요즘은 다만 술에 담가서 藥(약)에 넣는다. 功力(공력)을 下行(하행)시킬 때는 生(생)것을 쓰고, 滋補(자보)하는 데는 焙乾(배건)해서 쓰며, 혹은 술에 섞어서 찌는 수도 있다.
【氣味】
苦、酸,平,無毒。
普曰︰神農︰甘;雷公︰酸,無毒。
李當之︰溫。
之才曰︰惡螢火、龜甲、陸英,畏白前,忌牛肉。
【主治】
寒濕痿痺,四肢拘攣,膝痛不可屈伸,逐血氣,傷熱火爛,墮胎。久服輕身耐老(《本經》)。
한습위비(寒湿痿痹)로 사지(四肢)가 구련(拘攣)하고 슬통(膝痛)해서 굴신(屈伸)할 수 없는 것, 혈기(血氣)를 쫓으며 상열(傷熱), 화란(火爛), 타태(墮胎), 구복(久服)하면 몸이 가볍게 되고 노쇠(老衰)를 방지(防止)한다.
療傷中少氣,男子陰消,老人失溺,補中續絕,益精利陰氣,填骨髓,止發白,除腦中痛及腰脊痛,婦人月水不通,血結(《別錄》)。
傷中少氣(상중소기), 男子(남자)의 陰氣消耗(음기소모), 老人(노인)의 失尿(실뇨)를 療(요)하고, 中(중)을 補(보)하고 絶(절)함을 이어주고 情(정)을 益(익)하며 陰氣(음기)를 利(이)하고, 骨髓(골수)를 充塡(충전)하며, 머리털이 하얗게 세는 것을 멎게 하고, 腦中痛(뇌중통), 및 腰(요), 脊痛(척통), 婦人(부인)의 月經不通(월경불통), 血結(혈결)을 除(제)한다.
治陰痿,補腎,助十二經脈,逐惡血(甄權)。
陰痿(음위)를 治(치)하며, 腎(신)을 補(보)하며, 十二經脈(십이경맥)을 助(조)하고 惡血(악혈)을 쫓는다.
治腰膝軟怯冷弱,破症結,排膿止痛, 產後心腹痛並血運,落胎, 壯陽 (大明)。
腰膝(요슬)의 軟怯(연겁), 冷弱(냉약)을 治(치)하고, 癥結(징결)을 破(파)하며 膿(농)을 排(배)하고, 止痛(지통)한다. 産後(산후)의 心腹痛(심복통) 및 血運(혈운), 落胎(낙태), 壯陽(장양)한다.
強筋,補肝臟風虛(好古)。
筋(근)을 强化(강화)하고, 肝藏(간장)의 風虛(풍허)를 補(보)한다.
同蓯蓉浸酒服,益腎。竹木刺入肉,嚼爛罨之,即出(寇宗奭 )。
肉蓯蓉(육종용)과 浸酒(침주)한후 服用(복용)하면 益腎(익신)한다. 竹木(죽목)에 찔려 肉(육)에 들어 갔을 때는 씹어 문드려서 罨(엄)하면 나온다.
治久瘧寒熱,五淋尿血,莖中痛,下痢,喉痺口瘡齒痛,癰腫惡瘡傷折(時珍)。
久瘧寒熱(구학한열), 五淋(오림)의 尿血(뇨혈), 茎中痛(경중통), 下痢(하리), 喉痺(후비), 口瘡(구창), 齒痛(치통), 癰腫(옹종), 惡瘡(악창), 折傷(절상)을 治(치)한다.
【發明】
權曰︰病患虛羸者,加而用之。
患者(환자)가 虛羸(허리)하는 데는 이것을 쓴다.
震亨曰︰牛膝能引諸藥下行,筋骨痛風在下者,宜加用之。凡用土牛膝,春夏用葉,秋冬用根,惟葉汁效尤速。
牛膝(우슬)은 能(능)히 諸藥(제약)을 引導(인도)하여 下行(하행)하는 것이다. 筋骨痛(근골통)으로 風(풍)이 下部(하부)에 있을 때는 쓰는 것이 좋다. 대개 土牛膝(토우슬)을 쓸 경우에 봄과 여름에는 葉(엽)을 쓰고 秋冬(추동)에 쓸 때에는 根(근)을 쓴다. 그러나 葉汁(엽즙)의 效力(효력)이 가장 빠르다.
時珍曰︰牛膝乃足厥陰、少陰之藥。所主之病,大抵得酒則能補肝腎,生用則能去惡血,二者而已。其治腰膝骨痛、足痿陰消、失溺久瘧、傷中少氣諸病,非取其補肝腎之功歟?
牛膝(우슬)이라는 것은 足厥陰(족궐음), 少陰(소음)의 藥(약)으로서 그 主(주)되 效力(효력)을 지닌 病(병)의 範圍(범위)를 要約(요약)하면 술로 制(제)해서 쓰게 되면 能(능)히 補肝腎(보간신)하고 生用(생용)하면 能(능)히 惡血(악혈)을 去(거)한다. 두 가지로 귀결되는 듯 여겨진다. 그 腰膝(요슬)의 骨痛(골통), 足痿(족위), 陰消(음소), 失尿(실뇨), 久瘧(구학), 傷中少氣(상중소기)의 諸病(제병)을 治(치)함에는 그것의 肝腎(간신)을 補(보)하는 功力(공력)때문인 듯 하다.
其治癥瘕, 心腹諸痛, 癰腫, 惡瘡, 金瘡, 折傷, 喉, 齒, 淋痛, 尿血, 經候, 胎產諸病, 非取其去惡血之功歟.
癥瘕(징가), 心腹諸痛(심복제통), 癰腫(옹종), 惡瘡(악창), 金瘡(금창), 折傷(절상), 喉(후), 齒(치), 淋痛(임통), 尿血(요혈), 月經異常(월경이상), 姙娠(임신), 出産(출산)의 諸病(제병)을 治療(치료)함은 그것의 惡血(악혈)을 去(거)하는 功力(공력) 때문인 듯하다.
按陳日華《經驗方》云︰方夷吾,以其《編類集要方》見示,遂刊於郡齋。後鄂渚得九江守王南強書云∶老人久苦此淋疾,百藥不效,偶見臨汀《集要方》中,用牛膝者服之而愈。
살펴보면 陳日華(진일화)의 겅험方(방)에 “나는 方夷吾(방이오)가 編修(편수)한 集要方(집요방)을 臨汀(임정)에서 出版(출판)했지만......
又葉朝議親人患血淋,流下小便在盆內,凝如蒟篛,百治不效,一村醫用牛膝根煎濃汁,日飲五服,名地髓湯,雖未即愈,而血色漸淡,久乃複舊,後十年病又作,服之又瘥。
因檢本草,見《肘後方》治小便不利,莖中痛欲死,用牛膝並葉,以酒煮服之。今再拈出,表其神功。又按楊士瀛《直指方》云︰小便淋痛,或尿血,或沙石脹痛。用川牛膝一兩,水二盞,煎一盞,溫服。一婦患此十年,服之得效。杜牛膝亦可,或入麝香、乳香尤良。
그래서 本草(본초)를 調査(조사)해 보았더니 肘后方(주후방)에 <小便不利(소변불리), 莖中痛(경중통)으로 죽음ㅇ에 이른 것을 治療(치료)하는데는 牛膝(우슬)과 葉(엽)을 써서 酒煮(주자)해서 服用(복용)한다.>라고 되어 있었다. 지금 여기에 다시 그 사실을 擧論(거론)하여 이에 關(관)한 神功(신공)을 推獎(추장)한다. 라고 되어 있다. 또 살펴보면 楊士瀛(양사영)의 直指方(직지방)에 “小便淋痛(소변임통) 혹은 尿血(요혈), 혹은 沙石脹痛(사석창통)에는 川牛膝(천우슬) 二兩(이량), 물 二盞(이잔)을 달여서 溫服(온복)한다. 十年(십년) 동안이나 이 病(병)을 앓은 어느 婦人患者(부인환자)에게 이것을 服用(복용)시켜 効果(효과)를 거두었다. 土牛膝(토우슬)도 좋으나 혹은 麝香(사향), 乳香(유향)을 넣으면 더욱 좋다.“ 라고 되어 있다.
【附方】舊十三,新七。
勞瘧積久,不止者︰長大牛膝一握。生切,以水六升,煮二升,分三服。清早一服,未發前一服,臨發時一服。(《外台秘
汁五升浸之,日曝夜浸,汁盡為度,蜜丸梧子大,每空心溫酒下三十丸。久服壯筋骨,駐顏 色,黑發,津液自生。(《經驗後方》)。
卒暴症疾︰腹中有如石刺,晝夜啼呼。牛膝二斤,以酒一斗漬之,密封,於灰火中溫令味出。每服五合至一升,隨量飲。(《肘後方》)
為腸蠱。牛膝二兩(搗碎)。以酒一升漬經一宿婦人血塊︰土牛膝根洗切,焙搗為末,酒煎溫服,極效。福州人單用之。(《圖經本草》)
女人血病︰萬病丸︰治女人月經淋閉,月信不來,繞臍寒疝痛,及產後血氣不調,腹中結瘕症不散諸病︰牛膝(酒浸一宿焙)、干漆(炒令煙盡)各一兩(為末),生地黃汁一升,入石器內,慢火熬至可丸,丸如梧子大。每服二丸,空心米飲下。(《拔萃方》)
婦人陰痛︰牛膝五兩,酒三升,煮取一升半,去滓,分三服。(《千金方》)
生胎欲去︰牛膝一握(搗)。以無灰酒一盞,煎七分,空心服。仍以獨根土牛膝塗麝香,插入牝戶中(《婦人良方》)。
胞衣不出︰牛膝八兩,葵子一合,水九升,煎三升,分三服(《延年方》)。
產後尿血︰川牛膝水煎頻服(《熊氏補遺》)。
喉痺乳蛾︰新鮮牛膝根一握,艾葉七片,搗和人乳,取汁灌入鼻內。須臾痰涎從口鼻出,即愈。無艾亦可。一方︰牛膝搗汁,和陳醋灌之。
口舌瘡爛︰牛膝浸酒含漱,亦可煎飲。(《肘後方》)
牙齒疼痛︰牛膝研末含漱。亦可燒灰致牙齒間。(《千金方》)
折傷閃肭︰杜牛膝搗罨之。(《衛生易簡方》)
金瘡作痛︰生牛膝搗敷,立止。(《梅師方》)
猝得惡瘡,人不識者︰牛膝根搗敷之。(《千金方》)
癰癤已潰︰用牛膝根略刮去皮,插入瘡口中,留半寸在外,以嫩橘葉及地錦草各一握,搗其上。牛膝能去惡血,二草溫涼止痛,隨乾隨換,有十全之功也。(陳日華《經驗方》)
風瘙癮疹及 。牛膝末,酒服方寸匕,日三服。(《千金方》)
莖葉
【氣味】
缺。
【主治】
寒濕痿痺,老瘧淋秘,諸瘡。功同根,春夏宜用之(時珍)。
寒湿痿痹(한습위비), 老瘧(노학), 淋秘(임비), 諸瘡(제창) 功力(공력)은 根(근)과 같다. 春(춘), 夏節(하절)에는 이것을 쓰는 것이 좋다.
【附方】舊三,新一。
氣濕痺痛,腰膝痛︰用牛膝葉一斤(切),以米三合,於豉汁中煮粥,和鹽、醬,空食之。(《聖惠方》)
老瘧不斷︰牛膝莖葉一把(切)。以酒三升漬服,令微有酒氣。不即斷,更作,不過三劑止。(《肘後方》)
溪毒寒熱,東間有溪毒中人,似射工,但無物。初病惡寒發熱煩懊,骨節強痛。不急治,生蟲食臟殺人︰用雄牛膝(莖紫色節大者)一把,以酒、水各一杯同搗,絞汁溫飲,日三服。(《肘後方》)
眼生珠管︰牛膝並葉搗汁,日點三、四次。(《聖惠方》)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