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삼(본초강목)

2024. 9. 25. 22:39[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권삼(본초강목)

 

 

 

 

 

 

 

범꼬리/권삼(拳参)

 

 

범꼬리

 

 

이명:만주범의꼬리, 북범꼬리풀

 

학명:Bistorta manshuriensis (Petrov ex Kom.) Kom.

분류군:Polygonaceae(마디풀과)

일명:イブキトラノオ(Ibuki-torano-o)

영명:Bistort. Snakeweed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넓은 난형이고 점차 좁아져서 끝이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5-10cm,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앞면은 진한 녹색이나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줄기에 난 잎은 자루가 짧거나 없다. 화경 밑부분의 경생엽은 호생하며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작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예두 심장저이지만 엽병으로 흘러서 날개처럼 되는 것도 있다.

 

 

열매

수과는 난원형이고 길이 3mm이며 숙존악에 싸여 있고 윤채가 있으며 3개의 능선이 있고 난상 원형이다.

 

화경(花莖)은 높이 30-80cm이다.꽃은 6~7월경에 피며 이삭화서로 달리고 화경 끝에서 길이 3-8cm의 원주형 화수(花穗)가 발달한다. 꽃받침은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고 길이 3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없고 소화경이 약간 길다. 수술은 8개로서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꽃밥은 연한 홍자색이고 수술대 밑부분에 작은 선()이 있다. 자방은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줄기

줄기는 높이 5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거나 잎 뒷면에 백색 털이 있다.

 

뿌리

근경은 짧고 비후하며 많은 잔뿌리가 나오고 검은 갈색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유라시아대륙의 북부 및 고산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화경(花莖)은 높이 30-80cm.

 

 

 

 

생육환경

산골짝 양지에서 자란다.

습기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는 재배지에서는 강한 광선없이 잘 자란다. 과다한 시비는 식물체를 도장시키고 개화상태를 나쁘게 하므로 주의한다.

 

광선

양생

 

수분

보통

 

/번식방법

9월경에 채취한 종자를 습기가 있는 파종상에 곧바로 채파하고 짚이나 가랑잎 등으로 적절히 멀칭하였다가 이듬해 봄(4월초)에 제거해 주면 발아가 잘 된다. 또는 4월초에 근경을 캐 적당한 수의 눈을 붙여 예리한 칼로 잘라 심으면 증식이 잘된다.

 

결실기

9,10

 

 

이용방안

식물체는 볼륨이 풍부하고 꽃이 특이하며 습기있는 화단이나 공원등에 지피식물로 식재하면 좋다. 굵은 뿌리 일부를 노출시켜 분에 심어 초물분재로 사용해도 좋다.

어린 잎과 줄기를 나물로 이용한다.

根莖(근경)拳蔘(권삼)이라 하며 약용한다.

 

봄에는 싹이 트기 전, 가을에는 莖葉(경엽)이 마르기 시작할 때 근경을 캐서 줄기, 수염뿌리, 진흙 등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 권삼의 근경은 탄닌, 전분, 당류 및 pectin, 식물고무질, 점액질, 樹脂(수지) 등을 함유한다. 탄닌 속에는 가수분해형 탄닌과 縮合型(축합형) 탄닌이 있고 또한 沒食子酸(몰식자산), ellagic acid, d-catechol, epicatechol, 6-galloylglucose3,6-digalloyl glucose가 있다. 그 밖에 glucoseβ-sitosterol異性體(이성체)도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탄닌 5-10%가 함유되어 있지만 줄기 속에는 흔적량만 있다.

약효 : 淸裏熱(청리열), 鎭驚(진경), 利濕(이습),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열병에 의한 경휵, 파상풍, 赤痢(적리), 癰腫(옹종), 나력, 諸種 下痢(제종 하리), 구내염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丸劑(환제)散劑(산제)로 복용한다. 민간약으로는 山後補血(산후보혈)로 이용된다. <외용> 분말 또는 짓찧어 환부에 바르거나 煎液(전액)으로 양치질 또는 환부를 씻는다.

 

유사종

흰범꼬리(B. incana): 경생엽은 잎자루가 짧거나 없고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을 띤다.

가는범꼬리(B. major S. F. Gray var. angustifolia): 범꼬리에 비해 잎이 좁고,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이른범꼬리(B. tenuicaulis): 근생엽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 뒷면은 다소 흰색, 잎자루는 길다.

씨범꼬리(B. vivipara): 근경은 굵고 짧다. 근생엽은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특징

꽃차례의 모양이 호랑이 꼬리를 닮았다고 하여 `범꼬리`라고 한다.

 

 

 

 

학명 Bistorta manshuriensis (Petrov ex Kom.) Kom.

Bot. Mater. Gerb. Glavn. Bot. Sada SSSR. 6: 3 (1926)

1. Polygonum manshuriense Petrov ex Kom.

Trudy Imp. S.-Peterbergsk. Bot. Sada 39: 55 (1923)

국명 범꼬리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정태현, 1965)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만주범의꼬리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2. 북범꼬리풀

영문명 :

일본명 : イブキトラノオ

북한명 : 범꼬리

 

 

 

Bistorta manshuriensis Kom.

Bot. Mater. Gerb. Glavn. Bot. Sada S.S.S.R. vi. 3 (1926), in syn.

vi. 3 (1926), in syn. 0

Original Data:

Notes: Polygonum manshuriense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이엽료(耳叶蓼)

 

Polygonum manshuriense V. Petr. ex Kom.

 

 

이명(异名)

 

Bistorta manshuriensis Kom.

 

 

 

 

多年生草本根状茎短肥厚弯曲直径约1厘米黑色茎直立6080厘米通常数个自根状茎发出不分枝无毛基生叶长圆形或披针形纸质1315厘米23厘米顶端渐尖基部楔形沿叶柄下延成狭翅边缘全缘上面绿色下面灰绿色两面无毛叶柄长可达15厘米茎生叶57披针形无柄上部的叶抱茎具叶耳托叶鞘筒状膜质下部绿色上部褐色偏斜开裂至中部无缘毛总状花序呈穗状顶生48厘米直径约1厘米苞片卵形膜质顶端骤尖每苞内具23花梗长45毫米比苞片长顶端具关节花被5深裂淡红色或白色花被片椭圆形长约3毫米雄蕊8比花被长花柱3柱头头状瘦果卵形3锐棱长约3毫米有光泽包于宿存花被内花期67果期89

 

 

 

&&&&&&&&&&&&&&&&&&&&&&&&&&&&&&&&&&&&&&&&&&&&

 

 

권삼(拳参)/권삼(拳参)

 

 

권삼(拳参)

Polygonum bistorta Linn

 

 

 

多年生草本根状茎肥厚直径13厘米弯曲黑褐色茎直立5090厘米不分枝无毛通常23条自根状茎发出基生叶宽披针形或狭卵形纸质418厘米25厘米顶端渐尖或急尖基部截形或近心形沿叶柄下延成翅两面无毛或下面被短柔毛边缘外卷微呈波状叶柄长1020厘米茎生叶披针形或线形无柄托叶筒状膜质下部绿色上部褐色顶端偏斜开裂至中部无缘毛总状花序呈穗状顶生49厘米直径0.81.2厘米紧密苞片卵形顶端渐尖膜质淡褐色中脉明显每苞片内含34朵花花梗细弱开展57毫米比苞片长花被5深裂白色或淡红色花被片椭圆形23毫米雄蕊8花柱3柱头头状瘦果椭圆形两端尖褐色

 

有光泽长约3.5毫米稍长于宿存的花被花期67果期89

 

 

^^^^^^^^^^^^^^^^^^^^^^^^^^^^^^^^^^^^^^^^^^^^^^^^^^^^^^^^^^^^^^^^^^^^^^^^^^^^^^^^^

拳參

 

圖經》)

 

集解

 

頌曰生淄州田野葉如羊蹄根似海蝦黑色土人五月採之

 

 

氣味

 

 

主治

 

為末淋渫腫氣蘇頌)。

 

()腫氣(종기)淋渫(임설)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잣(본초강목)  (0) 2024.09.29
우슬(본초강목)  (0) 2024.09.25
백영(본초강목)  (1) 2024.09.22
파극천(본초강목)  (0) 2024.09.19
하수오(본초강목)  (1) 202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