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계(본초강목)

2024. 8. 25. 21:52[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발계(본초강목)

 

 

 

 

 

 

 

 

청미래덩굴/발계(菝葜)

 

 

청미래덩굴

 

이명:[망개나무] [명감나무] [매발톱가시] [섬명감나무] [종가시나무] [좀명감나무] [청열매덤불] [팔청미래] [명감] [좀청미래]

 

학명: Smilax china L.

분류군: Liliaceae(백합과)

일어: サルトリイバラ

영명: Wild Smilax, China Root

 

 

 

 

 

 

 

잎은 호생하고 윤채가 있으며 혁질이고 길이 3-12cm, 2-10cm이며 두껍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 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서 5-7맥이 나오며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7-20mm이고 탁엽은 덩굴손이 된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지름 1cm정도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종자는 황갈색이며 5개 정도이다.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산형화서는 엽액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30mm, 소화경은 길이 1cm정도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긴 타원형이고 뒤로 말리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긴 타원형으로서 3실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원줄기는 마디에서 굽어 자라며 길이 3m에 이르고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다.

 

뿌리

근경은 땅속에서 길게 옆으로 뻗으며 육질이 딱딱하고 불규칙하게 휘어지며, 드문드문 수염뿌리가 난다.

 

원산지

한국,중국,일본

 

분포

중부 이남의 산야 표고 1,600m이하의 양지에서 자생하고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 덩굴성 관목

크기

길이가 3m정도까지 자란다.

 

 

학명 Smilax china L.

Sp. pl. 1029 (1753)

1. Coprosmanthus japonicus Kunth

Enum. pl. 5:268 (1850)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2. Smilax china var. microphylla Nakai (비합법명)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3. Smilax china var. taiheiensis (Hayata) T.Koyama

Quart. Journ. Taiwan Mus. 10:9 (1957)

1) Flora of Taiwan (Li. & al, 1978)

4. Smilax japonica (Kunth) A.Gray

Mem. Amer. Acad.Arts. n. s. 5:412 (1857)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5. Smilax pteropus Miq.

Journ. Bot. Neerl. 1:89 (186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Smilax taiheiensis Hayata

Icon. Pl. Formosan. 9 : 134 (Hayata, 1920)

1) Flora of Taiwan (Li. & al, 1978)

7. Smilax taquetii Lev.

Feddes Repert 10:372 (19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청미래덩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망개나무

2. 매발톱가시

3. 명감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4. 명감나무

5. 섬명감나무

6. 좀명감나무

7. 좀청미래

8. 종가시나무

9. 청열매덤불

10. 팔청미래

영문명 : Wild Smilax, China Root

일본명 : サルトリイバラ

북한명 : 청미래덩굴(팟청미래덩굴)

 

 

Smilax china L.

Sp. Pl. 2: 1029. 1753 [1 May 1753]

2: 1029 1753

Original Data:

Notes: China; Cochinch.;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

 

菝葜

 

別錄中品

 

 

釋名

 

? 同葜)、金剛根(《日華鐵菱角綱目》、王瓜草日華》。

 

時珍曰?矫秸也矫秸短也此草莖蔓強堅短小故名菝 而江浙人謂之菝 根亦曰金剛根楚人謂之鐵菱角皆狀其堅而有尖刺也

 

矫秸(교갈)은 짧다는 意味(의미)이다. ()莖蔓(경만)이 질기고 억세면서 短少(단소)하기 때문에 ?이라 부른 것인데 江浙地方(강절지방)에서는 菝葜(발계)라 하고, ()을 또한 金剛根(금강근)이라고 한다. 楚地方(초지방)에서는 鐵菱角(철릉각)이라 한다. 모두 굳세고 尖刺(첨자)한 것을 形容(형용)名稱(명칭)이다.

 

 

鄭樵通志其葉頗近王瓜故名王瓜草

 

鄭樵(정초)通志(통지)에는 ()이 매우 王瓜(왕과)와 같은데서 王瓜草(왕과초)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集解

 

別錄生山野二月八月採根曝乾

 

弘景曰此有三種大略根苗並相類菝 莖紫而短小多細刺小減萆 而色深人用作飲

恭曰陶云三種乃狗脊萆 相類非也萆 有刺者葉粗相類根不相類萆細長而白色菝根作塊結黃赤色殊非狗脊之流

 

頌曰今近道及江浙州郡多有之苗莖成蔓長二三尺有刺其葉如冬青烏藥葉而差大秋生黃花結黑子如櫻桃大其根作塊人呼金剛根

 

時珍曰菝 山野中甚多其莖似蔓而堅強植生有刺其葉團大狀如馬蹄光澤似柿葉不類冬青秋開黃花結紅子其根甚硬有硬須如刺其葉煎飲酸澀野人采其根葉入染家用名鐵菱角。《吳普本草以菝 為狗脊非矣詳見狗脊下

 

 

 

 

氣味

 

無毒

 

 

主治

 

腰背寒痛風痺益血氣止小便利(《別錄》)。

 

腰背(요배)寒痛(한통), 風痹(풍비), 血氣(혈기)()하고, 小便利(소변리)를 멎게 한다.

 

 

治時疾瘟瘴大明)。

 

時疾瘟瘴(시질온장)()한다.

 

 

補肝經風虛好古)。

 

肝經(간경)風虛(풍허)()한다.

 

 

治消渴血崩下痢時珍)。

 

消渴(소갈), 血崩(혈붕), 下痢(하리)()한다.

 

 

 

發明

 

時珍曰菝葜足厥陰少陰藥氣溫味酸性澀而收與萆薢仿佛孫真人元旦所飲辟邪屠蘇酒中亦用之

 

菝葜(발계)足厥陰(족궐음), 足少陰(족소음)()으로 ()(), ()(), ()濇水(색수)萆薢(비해)彷佛(방불)한 것이다. 孙真人(손진인)元旦(원단)에 마시고, 辟邪(피사)하는 屠蘇酒中(도소주중)에 역시 이것을 사용하였다.

 

 

頌曰取根浸赤汁煮粉食辟瘴

 

()을 담가 붉은 ()()하여 ()煮食(자식)하면 ()()한다.

 

 

附方新五

 

小便滑數金剛骨為末每服三錢溫酒下睡時。(《儒門事親方》)

沙石淋疾 重者取去根本用菝葜二兩為末每米飲服二錢後以地椒煎湯浴腰腹須臾即通也。(《聖濟錄》)

 

消渴不止菝谷即菝 咀半兩水三盞烏梅一個煎一盞溫服。(《普濟方》)

 

下痢赤白金剛根蠟茶等分為末白梅肉搗丸芡子大每服五七丸小兒三丸白痢甘草湯下赤痢烏梅湯下。(《衛生易簡方》。

 

風毒腳弱痺滿上氣田舍貧家用此最良菝葜洗銼一斛以水三斛漬曲去滓取一斛漬飲如常釀酒任意日飲之。(《肘後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과람(본초강목습유)  (0) 2024.08.25
지유(본초강목)  (0) 2024.08.25
단삼(본초강목)  (0) 2024.08.25
목통(본초강목)  (1) 2024.08.24
석창포(본초강목)  (0) 2024.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