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문동(본초강목)

2024. 8. 21. 00:06[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맥문동(본초강목)

 

 

 

 

 

 

 

 

 

 

^^^^^^^^^^^^^^^^^^^^^^^^^^^^^^^^^^^^^^^^^^^^^^^^^^^^^^^^^^^^^^^^^^^^

 

麥門冬

 

(《本經上品

 

 

釋名

 

 

虋冬 秦名烏韭齊名愛韭楚名馬韭越名羊韭並別錄禹韭吳普禹餘糧別錄忍冬吳普忍淩吳普不死草吳普階前草

 

 

弘景曰: 根似禾穬麥故謂之麥門冬

 

()穬麥(광맥)과 유사한 것이므로 麥門冬(맥문동)이라고 한다.

 

 

時珍曰麥須曰虋此草根似麥而有須其葉如韭淩冬不凋故謂之麥虋冬及有諸韭忍冬諸名俗作門冬便於字也可以服食斷穀故又有餘糧不死之稱

 

吳普本草》:一名仆壘一名隨脂

 

 

集解

 

別錄麥門冬葉如韭冬夏長生生函谷川谷及堤 肥土石間久廢處二月三月八月十月採根陰乾

 

普曰生山谷肥地叢生葉如韭實青黃采無時

 

弘景曰函谷即秦關處處有之冬月作實如青珠以四月採根肥大者為好

 

藏器曰出江寧者小潤出新安者大白其苗大者如鹿蔥小者如韭葉大小有三四種功用相似其子圓碧

 

頌曰所在有之葉青似莎草長及尺餘四季不凋根黃白色有須根如連珠形四月開淡紅花如紅蓼花實碧而圓如珠江南出者葉大或云吳地者尤勝

 

時珍曰古人惟用野生者後世所用多是種蒔而成其法四月初采根於黑壤肥沙地栽之每年六月九月十一月三次上糞及耘灌夏至前一日取根洗晒收之其子亦可種但成遲爾浙中來者甚良其葉似韭而多縱紋且堅韌為異

 

 

 

 

修治

 

弘景曰凡用取肥大者湯澤抽去心不爾令人煩大抵一斤須減去四五兩也

 

대개 이것을 使用(사용)하는 데는 肥大(비대)한 것을 골라서 ()으로 씻은 후에 ()推去(추거)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사람을 번거롭게 한다. 대개 一斤(일근)정도가 ()~五兩(오량)으로 ()할 만큼 씻어 낸다.

 

 

時珍曰凡入湯液以滾水潤濕少頃抽去心或以瓦焙軟乘熱去心若入丸散須瓦焙熱即於風中吹冷如此三四次即易燥且不損藥力或以湯浸搗膏和藥亦可滋補藥則以酒浸擂之

 

대개 湯液(탕액)에 넣을 때는 沸湯(비탕)潤濕(윤습)하여 잠시 후에 ()推去(추거)한다. 혹은 기와에다 軟焙(연배)해서 뜨거울 때에 去心(거심)한다. (), ()에 넣은 경우에는 기와에 焙熱(배열)해서 바람에 쏘이고 불어서 식힌다. 이렇듯 ()~四回(사회) 반복하면 ()하기 쉬우며 또한 藥力(약력)도 잘 保存(보존)된다. 혹은 ()에 담갔다가 ()로 찧어서 ()()하는 것도 좋다. 滋補藥(자보약)으로 할 때는 술에 담갔다가 갈아서 쓴다.

 

 

氣味

 

無毒

別錄微寒

普曰神農岐伯黃帝桐君雷公無毒李當之小溫

 

杲曰微苦微寒陽中微陰降也入手太陰經氣分

 

()하고 微苦(미고)하며 微寒(미한)하다. 陽中(양중)微陰(미음)으로 ()하므로 手太陰經(수태음경)氣分(기분)에 들어 간다.

 

 

 

之才曰地黃車前為之使惡款冬苦瓠苦芺畏苦參青蘘木耳伏石鐘乳

 

地黄(지황), 車前(차전)使()가 된다. 款冬(관동), 苦瓠(고호), 苦芺(고요)()하고, 苦參(고삼), 青蘘(청양), 木耳(목이)()하며 石鐘乳(석종유)()한다.

 

 

 

主治

 

心腹結氣傷中傷飽胃絡脈絕羸瘦短氣久服輕身不老不飢(《本經》)。

 

心腹結氣(심복결기), 傷中(상중), 傷飽(상포)()絡脈(낙맥)이 끊기고, 羸瘦(이수)하며 短氣(단기)인 것, 久服(구복)하면, 服用(복용)하면 輕身(경신)하고 不老(불노), 不飢(불기)한다.

 

 

療身重目黃心下支滿虛勞客熱口乾燥渴止嘔吐愈痿蹶強陰益精消穀調中保神定肺氣安五臟令人肥健美顏色有子(《別錄》)。

 

身重(신중), 目黃(목황), 心下支滿(심하지만), 虛勞(허로)客熱(객열), 口乾(구건), 燥渴(조갈)()하며, 嘔吐(구토)를 멈추고, 痿厥(위궐)()하며, ()强化(강화)하고 益精(익정)하며, 穀物(곡물)消化(소화)하고, 調中(조중)하며, ()保護(보호)하고, 肺氣(폐기)()하며, 五臟(오장)()하고, 몸을 肥健(비건)하게 하며, 顔色(안색)을 아름답게 하고 ()를 낳게 한다.

 

 

去心熱止煩熱寒熱體勞下痰飲藏器)。

 

心熱(심열)()하고, 煩熱(번열), 寒熱(한열) 體勞(체로)를 멈추며, 痰飮(담음)()한다.

 

 

治五勞七傷安魂定魄止嗽治肺痿吐膿時疾熱狂頭痛大明)。

 

五劳七伤(오로칠상)()하고, 魂魄(혼백)安定(안정)하며, 止嗽(지수)하고, 肺痿吐膿(폐위토농), 時疾熱狂(시질열광), 頭痛(두통)을 다스린다.

 

 

治熱毒大水面目肢節浮腫下水主泄精甄權)。

 

熱毒(열독), 大水(대수)顔面(안면), 肢節(지절)浮腫(부종)()하고, 下水(하수)한다. 泄精(설정)主效(주효)하다.

 

 

治肺中伏火補心氣不足主血妄行及經水枯乳汁不下元素)。

 

肺中(폐중)伏火(복화)()하고, 心氣不足(심기부족)()하며, ()妄行(망행)하는 것 및 經水(경수)가 마른 것, 乳汁不下(유즙불하)主效(주효)가 있다.

 

 

久服輕身明目和車前地黃丸服去溫瘴變白夜視有光藏器

 

久服(구복)하면 輕身(경신), 明目(명목)한다. 車前(차전), 地黄(지황)()해서 ()을 만들어 服用(복용)하면 濕痺(습비)()하고, 白髮(백발)을 검게 하며, 밤중에서 볼수 있다.

 

 

斷穀為要藥 (弘景)

 

斷穀(단곡)要藥(요약)이다.

 

 

 

發明

 

 

宗奭曰麥門冬治肺熱之功為多其味苦但專泄而不專收寒多人禁服治心肺虛熱及虛勞與地黃阿膠麻仁同為潤經益血複脈通心之劑與五味子枸杞子同為生脈之劑

 

 

맥문동(麥門冬)은 폐열(肺熱)을 치유(治癒)하는 공()이 많으므로 그 맛은 쓰다. 다만 설전(泄專)하나 수전(收專)하지 않으므로 한()이 많은 환자(患者)에게 복용(服用)은 금물(禁物)이다. 심폐(心肺)의 허열(虛熱) 및 허로(虛勞)를 치()하는 데는 지황(地黃), 아교(阿膠), 마인(麻仁)과 함께 쓴다면 경()을 윤()하고, ()을 익()하고, 복맥(復脈)하고, 심통(心痛)하는 약제(藥劑)가 되고, 오미자(五味子), 구기자(枸杞子)와 함께 쓴다면 生脈劑(생맥제)가 되는 것이다.

 

 

 

元素曰麥門冬治肺中伏火脈氣欲絕者加五味子人參二味為生脈散補肺中元氣不足

 

麥門冬(맥문동)肺中(폐중)伏火(복화)脈氣(맥기)가 끊기려는 것을 治癒(치유)한다. 五味子(오미자), 人參(인삼)添加(첨가)三味(삼미)生脈散(생맥산)이라고 하며 肺中(폐중)元氣不足(원기부족)()한다.

 

 

 

杲曰六七月間濕熱方旺人病骨乏無力身重氣短頭旋眼黑甚則痿軟故孫真人以生脈散補其天元真氣脈者人之元氣也人參之甘寒瀉熱火而益元氣麥門冬之苦寒滋燥金而清水源五味子之酸溫瀉丙火而補庚金兼益五臟之氣也

 

~칠월 경의 濕熱(습열)이 한참일 때에 罹病(이병)한 것은 骨乏無力(골핍무력)하고, 몸이 무거워지고, 氣短(기단)하며, 頭旋(두선)이 되어 눈에 生氣(생기)를 잃고, 심해지면 痿軟(위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孙真人(손진인)生脈散(생맥산)을 사용해서 그 天元眞氣(천원진기)()했던 것이다. ()은 인간의 元氣(원기)이므로 生脈散(생맥산)三味(삼미)속의 人參(인삼)(), ()熱火(열화)()하며, 元氣(원기)()한다. 麥門冬(맥문동)(), ()燥金(조금)()하여 水源(수원)을 맑게 한다. 五味子(오미자)(), ()病火(병화)()하고 庚金(경금)()한다. 이것이 서로 作用(작용)하여 五臟(오장)()()하는 것이다.

 

 

 

時珍曰趙繼宗儒醫精要麥門冬以地黃為使服之令人頭不白補髓通腎氣定喘促令人肌體滑澤除身上一切惡氣不潔之疾蓋有君而有使也若有君無使是獨行無功矣此方惟火盛氣壯之人服之相宜若氣弱胃寒者必不可餌也

 

 

 

살펴보면 趙繼宗(조계종)儒醫精要(유의정요)에는 麥門冬(맥문동)地黃(지황)使()로 해서 服用(복용)하면 頭髮(두발)이 세지 않고 ()()하며, 腎氣(신기)()하고, 喘促(천촉)()하고, 肌體(기체)()하게 하고, 身體上(신체상)의 모든 惡氣(악기), 不潔(불결)()除去(제거)한다 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있고 使()가 있는 것이다. ()이 있으나 使()가 없다면 이는 獨行(독행)으로 ()이 아니다. 그러나 이 ()은 단지 火盛(화성), 氣壯(기장)患者(환자)에게만 適合(적합)한 것이므로 氣弱(기약)이나 胃寒(위한)患者(환자)라면 반드시 服餌(복이)해서는 안된다.

 

 

附方舊三新九

 

 

麥門冬煎補中益心悅顏色安神益氣令人肥健其力甚快取新麥門冬根去心搗熟絞汁和白蜜銀器中重湯煮攪不停手候如飴乃成溫酒日日化服之。(《圖經本草》)

 

消渴飲水用上元板橋麥門冬鮮肥者二大兩宣州黃連九節者二大兩去兩頭尖三五節小刀子調理去皮毛了吹去塵更以生布摩拭秤之搗末以肥大苦瓠汁浸麥門冬經宿然後去心即於臼中搗爛納黃連末和搗並手丸如梧子大食後飲下五十丸日再但服兩日其渴必定若重者即初服一百五十丸二日服一百二十丸三日一百丸四日八十丸五日五十丸合藥要天氣晴明之夜方浸藥須淨處禁婦人雞犬見之如覺可時每日只服二十五丸服訖覺虛即取白羊頭一枚治淨以水三大斗煮爛取汁一斗以來細細飲之勿食肉勿入鹽不過三劑平複也。(崔元亮海上集驗方》)

 

勞氣欲絕麥門冬一兩甘草二兩粳米半合棗二枚竹葉十五片水二升煎一升分三服。(《南陽活人書》)

 

虛勞客熱麥門冬煎湯頻飲。(《本草衍義》)

 

不效者麥門冬去心一斤搗取自然汁入蜜二合分作二服即止。(《活人心統》)

 

衄血不止麥門冬去心)、生地黃各五錢水煎服立止。(《保命集》)

 

齒縫出血麥門冬煎湯漱之。(《蘭室寶鑒》)

 

咽喉生瘡脾肺虛熱上攻也麥門冬一兩黃連半兩為末煉蜜丸梧子大每服二十丸麥門冬湯下。(《普濟方》)

 

乳汁不下麥門冬去心),焙為末每用三錢酒磨犀角約一錢許溫熱調下不過二服便下。(《熊氏補遺》)

 

下痢口渴引飲無度麥門冬去心三兩烏梅肉二十個細銼以水一升煮取七合細細呷之。(《必效》)

 

金石藥發麥門冬六兩人參四兩甘草二兩為末蜜丸梧子大每服五十丸飲下日再服。(《本草圖經》)

 

男女血虛麥門冬三斤取汁熬成膏)、生地黃三斤取汁熬成膏等分一處濾過入蜜四之一再熬成瓶收每日白湯點服忌鐵器。(《醫方摘要》)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자인(본초강목)  (0) 2024.08.22
반하(본초강목)  (0) 2024.08.21
비파엽(본초강목)  (0) 2024.08.19
육종용(본초강목)  (0) 2024.08.16
해금사(본초강목)  (1) 2024.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