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초[본초강목]지치

2024. 6. 23. 22:55[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자초[본초강목]지치

 

 

 

 

^^^^^^^^^^^^^^^^^^^^^^^^^^^^^^^^^^^^^^^^^^^^^^^^^^^^^^^^^^^^^^^^^^^^^^^^^^^

紫草

 

(《本經中品

 

 

釋名

 

紫丹(《別錄》)、紫芺茈艹+(《廣雅》,音紫戾)、(《爾雅》、地血(《吳普》)、鴉銜草

 

 

時珍曰此草花紫根紫可以染紫故名。《爾雅作茈草蠻侗人呼為鴉銜草

 

()는 꽃도 紫色(자색), ()紫色(자색)으로 紫染(자염)染料(염료)使用(사용)되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爾雅(이아)에는 茈草(자초)라 쓰여 있다. 猺獞(요동)蠻民間(만민간)에는 鴉銜草(아함초)라 부르고 있다.

 

 

集解

 

別錄紫草生碭山山谷及楚地三月採根陰乾

 

弘景曰今出襄陽多從南陽新野來彼人種之即是今染紫者方藥都不複用。《博物志平氏陽山紫草特好魏國者染色殊黑比年東山亦種之色小淺於北者

 

恭曰所在皆有人家或種之苗似蘭香莖赤節青二月開花紫白色結實白色秋月熟

 

時珍曰種紫草三月逐壟下子九月子熟時刈草春社前後採根陰乾其根頭有白毛如茸未花時採則根色鮮明花過時採則根色黯惡採時以石壓扁曝乾收時忌人溺及驢馬糞並煙氣皆令草黃色

 

 

修治

 

雷斅曰凡使每一斤用蠟三兩溶水拌蒸之待水乾取去頭並兩畔髭細銼用

 

무릇 이것을 使用(사용)할 때는 一斤(일근)마다 () 三兩(삼량)을 물에 녹여서 섞어 찌고 乾燥(건조)를 기다려 頭部(두부)兩邊(양변)의 털을 取去(취거)하고 가늘게 다져서 使用(사용)한다.

 

 

氣味

 

無毒

權曰

完素曰

 

時珍曰入手足厥陰經

 

(), (), ()하다 手足厥陰經(수족궐음경)에 들어간다.

 

 

 

主治

 

心腹邪氣五疸補中益氣利九竅通水道(《本經》)。

 

心腹邪氣(심복사기), 五疸(오달), 補中益氣(보중익기)하며, 九竅(구규)()하고 水道(수도)通利(통리)한다.

 

 

療腹腫脹滿痛以合膏療小兒瘡及面皶(《別錄》)。

 

腹腫脹滿痛(복종창만통)()한다. ()()하여 小兒(소아)() 面皶(면사)治療(치료)한다.

 

 

治惡瘡瘑癬甄權)。

 

惡瘡(악창), 瘑癬(과선)()한다.

 

 

治斑疹痘毒活血涼血利大腸時珍)。

 

斑疹(반진), 痘毒(두독)()하고 活血(활혈)하고, 涼血(양혈)하며, 大腸(대장)()한다.

 

 

 

發明

 

頌曰紫草古方稀用今醫家多用治傷寒時疾發瘡疹不出者以此作藥使其發出。《韋宙獨行方治豌豆瘡煮紫草湯飲後人相承用之其效尤速

 

紫草(자초)古方(고방)에서 使用(사용)하는 일이 드물었다. 지금은 醫家(의가)에서 많이 ()하여 傷寒時疾(상한시질)()하고 瘡疹(창진)이 나오지 않는 것을 發出(발출)시키는데 이것을 藥用(약용)하여 發出(발출)시킨다. 韋宙(위주)獨行方(독행방)에는 豌豆疮(완두창)()하는 데에 紫草湯(자초탕)으로 삶아서 먹었는데 後世(후세)一般(일반)에게 相傳(상전)되어 ()하고 있다. 效力(효력)快速(쾌속)하다.

 

 

時珍曰紫草味甘鹹而氣寒入心包絡及肝經血分其功長於涼血活血利大小腸故痘疹欲出未出血熱毒盛大便閉澀者宜用之

 

紫草(자초)()()하고, ()하며, ()()하다. (), 包絡(포락)을 비롯한 肝經(간경)血分(혈분)에 들어가니 그 功力(공력)涼血(양혈)하고, 活血(활혈)하며, 大小腸(대소장)利通(이통)하는 特長(특장)이 있다. 따라서 痘疹(두진)發出(발출)하려 하면서 쉽게 發出(발출) 되지 않고, 血熱毒(혈열독)()하여 大便(대변)閉澁(폐삽), 하는 것에 이것을 使用(사용)하면 매우 좋다.

 

已出而紫黑便閉者亦可用若已出而紅活及白陷大便利者切宜忌之

 

 

이미 發出(발출)하여 紫黑(자흑)이 되고, ()不通(불통)하는 경우 使用(사용)해도 좋다. 그러나 ()가 붉게 살아 있고 또는 희게 피어서 大便(대변)利通(이통)하고 있는 ()에게는 절대 使用(사용)하면 안 된다.

 

 

故楊士瀛直指方紫草治痘能導大便使發出亦輕得木香白朮佐之尤為有益

 

 

그러므로 杨士瀛(양사영)直指方(직지방)에는 紫草(자초)()治療(치료)使用(사용)하면 大便(대변)을 잘 利通(이통)하게 하니 發出(발출)시키고 發出(발출)하여도 역시 ()하다. 木香(목향), 白朮(백출)()로 해서 ()하면 한층 더 有效(유효)하다. 라고 하며,

 

 

 

又曾世榮活幼心書紫草性寒小兒脾氣實者猶可用脾氣虛者反能作瀉古方惟用茸取其初得陽氣以類觸類所以用發痘瘡今人不達此理一概用之非矣

 

 

曾世榮(증세영)活幼心書(활유심서)에는 紫草(자초)()(). 小兒(소아)脾氣(비기)()하면 使用(사용)하여도 좋으나 脾氣(비기)()()에게는 오히려 ()하고 마는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古方(고방)()만을 ()한 것은 그것이 처음으로 陽氣(양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며 ()()를 대한다는 意味(의미)이다. 이러한 意味(의미)痘瘡(두창)發出(발출)시키는 데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요즘은 이 意味(의미)徹底(철저)하게 理解(이해)하지 못하고 盲目的(맹목적)으로 이것을 쓰고 있으니 잘못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

 

 

附方舊三新六

 

 

 

消解痘毒紫草一錢陳皮五分蔥白三寸新汲水煎服。(《直指方》)

封勿泄氣待溫時服半合則瘡雖出亦輕大便利者勿用煎服亦可。(《經驗後方》)

痘毒黑疔紫草三錢雄黃一錢為末以胭脂汁調銀簪挑破點之極妙。(《集簡方》)

癰疽便閉紫草栝蔞實等分新水煎服。(《直指方》)

小兒白禿紫草煎汁塗之。(《聖惠方》)

小便卒淋紫草一兩為散每食前用井華水服二錢。(《聖惠方》)

產後淋瀝方同上。(《產寶》)

惡蟲咬人紫草煎油塗之。(《聖惠方》)

火黃身熱午後卻涼身有赤點如生黑點者不可治宜烙手足心背心百會下廉

內服紫草湯紫草吳藍各一兩木香黃連各半兩粗搗篩每服五錢匕水煎服。(《三十六黃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차(雪茶)[본초강목습유]  (0) 2024.06.23
파극천[본초강목]  (2) 2024.06.04
토복령[본초강목]  (1) 2024.06.04
금앵자[본초강목]  (0) 2024.05.22
지황[본초강목]  (0) 202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