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차(雪茶)[본초강목습유]

2024. 6. 23. 22:32[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설차(雪茶)[본초강목습유]

 

 

 

 

설차(雪茶)

 

Thamnolia vermicularia (S.W) Ach.

 

 

 

별명(別名)

 

Thamnolia vermicularia

 

 

형태특점(形态特点)

 

 

雪茶为地衣类地茶科植物地衣体白色或灰白色管状单一或有稀少分枝先端稍弯曲呈蛔虫状状如空心草芽3070毫米13毫米重量极轻形似白菊花瓣洁白如雪因此得名

 

全体呈细长管状单枝或有23分枝白色37厘米直径12毫米粗者呈扁带状基部有断痕先端渐尖细外表细致略有皱纹凹点断面中空质稍柔软气无味苦似茶以粗壮色白味苦者为佳

 

 

^^^^^^^^^^^^^^^^^^^^^^^^^^^^^^^^^^^^^^^^^^^^^^^^^^^^^^^^^^^^^^^^^^^^

 

雪茶

 

出滇南色白久則色微黃以盞烹瀹清香迥勝形似蓮心但作玉芽色耳。 

 

滇南(전남)에서 産出(산출)된다. 配色(배색)이지만, 오랜 후에는 微黃(미황)이 된다. ()으로 烹藥(팽약)하면 淸香(청향)이 매우 憂愁(우수)한 것이다. ()蓮心(연심)과 같으나, 단지 玉芽(옥아)()을 띠고 있을 뿐이다.

 

平莱仲云雪茶出麗江府屬山中, 雪地所產, 色白味甘, 性大溫, 怯寒疾如神

 

平萊仲(평래중)雪茶(설차)江府(여강부) 管轄下(관할하)에 있는 山中(산중)雪地(설지)에서 自生(자생)하는 것으로서 ()은 하얗고, ()(), ()大溫(대온)한데, 寒疾(한질)除去(제거)하는 데 있어서 ()과 같은 것이라고 하였다.

 

 

敏按雪茶出雲南永善縣其地山高積雪入夏不消雪中生此本非茶類乃天生一種草芽土人采得炒焙以其似茶故名其色白故曰雪茶

 

생각하건대 雪茶(설차)雲南永善縣(운남영선현)에서 나온다. 그곳은 ()이 높고, 積雪(적설)夏節(하절)에도 남아 있는데 雪中(설중)에서 自生(자생)하는 거이며, 本來(본래) 茶類(차류)가 아닌 것이다. 이것은 天生(천생)一種(일종)草芽(초아)인데, 土人(토인)採取(채취)하여 炒焙(초배)한 것이다. 그것이 ()와 같은 데서 붙여진 名稱(명칭)이다. ()이 하얗기 때문에 雪茶(설차)라고 일컫는 것이다.

 

 

 

己亥臘過余杭往訪劉挹清少府啜雪茶云帶自雲南茶片皆作筒子如蜜筒菊蕊瓣樣

 

己亥年(기해년) 臘月(납월)餘杭(여항)으로 갔을 때 劉挹清少府(유읍청소부)訪問(방문)하자, 少府(소부)雪茶(설차)를 마시면서 雲南(운남)에서 가져온 ()”라고 하였다. 茶片(차편)은 모두 筒子(통자)로 도어 있고, 蜜筒(밀통)菊蕊瓣(국예판)과 같은 것이었다.

 

 

詢所主治因言此茶大能暖胃凡嚴寒冰凍時啜一盞滿腹如火若患癆損及失血過多之人腹胃必寒最忌食茶惟此茶不忌乃相與烹瀹食之果入腹溫暖味亦苦冽香美較他茶更厚

 

 

主治(주치)에 대해 묻자 少府(소부)는 이 ()()煖胃(난위)한다. 嚴寒冰凍時(엄한빙동시)에도 一盞(일잔)을 마시면 滿腹(만복)이 불과 같다. 勞損(노손)을 앓고, 失血(실혈)過多(과다)한 사람 등은 腹胃(복위)가 반드시 ()하기 때문에 ()를 마시는 것을 가장 ()하는 것이지만, 다만 이 ()만은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래서 둘이 烹瀹(팽약)하여 마셨는데 과연 ()에 들어가자 溫煖(온난)하였다. 맛은 역시 苦冽香美(고렬향미)하였고, 다른 ()()해 더욱 ()했다.

 

 

大觀茶論白茶自為一種與常茶不同其條敷闡其葉瑩薄崖林之間偶然生出非人力所可致有者不過四五家生者不過一二株所造止於二三 而已芽英不多尤難蒸焙湯火一失則已變而為常品須制造精微運度得宜則表裡昭澈如玉之在璞它無與倫也。 

 

東溪試茶錄白葉茶民間大重出於近歲園焙時有之地不以山川遠近發不以社之先芽葉如紙民間以為茶瑞

 

 

 

[本草綱目拾遺]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초[본초강목]지치  (0) 2024.06.23
파극천[본초강목]  (2) 2024.06.04
토복령[본초강목]  (1) 2024.06.04
금앵자[본초강목]  (0) 2024.05.22
지황[본초강목]  (0) 202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