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더덕

2024. 2. 17. 23:47백두산 환&단&약이야기/본초의 법제

홍더덕

 

 

 

 

 

더덕은 명의별록(名医别录)에서 양유(羊乳)”라고 하여 ....

 

 

 

味甘无毒

 

主治头眩痛益气长肌肉一名地黄三月采立夏后母死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에서 산해라(山海螺)라 하여 ...

 

 

生山溪澗濱隰地上葉五瓣附莖而生根如野狼毒皮有縐旋紋與海螺相似而生於山故名

 

산해라(山海螺) 잎은 오관으로 줄에에 붙으며, 근은 낭독(狼毒)과 같이 추선문(縐旋紋)이 있다. 그 문()이 해라(海螺)와 유사(類似)하며 산에서 자라므로 명명(命名)한 것이다.“

 

 

雖生溪畔性卻喜燥枝葉繁弱可以入盆玩。 

 

 

계반(溪畔)에 야생하는 것이지만 오히려 성()은 조()를 선호(選好)한다. 지엽(枝葉)이 빈약(貧弱)하므로 분재(盆栽)로서 애완(愛翫)된다.

 

 

 

百草鏡云生山土二月采絕似野狼毒惟皮疙瘩掏破有白漿為異其葉四瓣枝梗蔓延秋後結子如算盤珠旁有四葉承之

 

백초경(百草鏡)에는 산토(山土)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이월(二月)에 채취한다. 낭독과 심히 흡사하지만, 껍질의 홀탑을 벗겨보면 백장이 있는 것만이 다를 뿐이다. 그 엽은 사관이며 가지와 줄기가 만연하고 늦가을에 산반주와 같은 자실을 맺으며 옆에 사엽이 떠밭치고 있다.

 

 

治腫毒瘰癧取汁和酒服渣敷患處

 

종독(腫毒)을 치()한다. 나력(瘰癧)에는 즙을 취하여 술로 담아 음용하며 사재(渣滓)는 환처(患處)에 도포(塗布)한다.

 

 

汪連仕云苗蔓生根如蘿卜味多臭治楊梅惡瘡神效。 

 

 

왕련사는 ()는 만생이며 근()은 나복(羅蔔)과 같고 미()는 다취(多臭)하다. 양매악창(楊梅惡瘡) ()하는데 신효(神效)가 있다.

 

 

 

王安采藥方: 山海螺一名白河車加紫河車紅白石膏名四聖散治腸癰便毒臟毒乳癰疽皆效

 

왕안채약방(王安采藥方)에는

 

산해라(山海螺) 일명 백하거(白河車)라고 한다. 자하거(紫河车), , 백석고를 가()한 것을 사성산(四聖散)이라고 하며, 장옹(腸癰), 변독(便毒), 장옹(腸癰), 유옹저(乳癰疽) 치료에 유효(有效)하다.

 

 

^^^^^^^^^^^^^^^^^^^^^^^^^^^^^^^^^^^^^^^^^^^^^^^^^^^^^^^^^^^^^^^^^^^^^^^

 

 

공능(功能)주치(主治)

 

소종(消腫)해독(解毒)배농(排膿)거담(祛痰)최유(催乳)

 

 

폐옹(肺癰)유옹(乳癰)장옹(腸癰)종독(腫毒)라력(瘰疬)후아(喉蛾)유소(乳少)백대(白帶)

 

 

 

공효(功效)

익기양음(益氣養陰)해독소종(解毒消腫)배농(排膿)통유(通乳)

주치(主治)

신피핍력(神疲乏力)두훈두통(頭暈頭痛)폐옹(肺癰)유옹(乳癰)장전정(腸前程)창절종독(瘡癤腫毒)후아(喉蛾)라력(癩癧)산후유소(産後乳少)백대(白帶)독사교상(毒蛇咬傷)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15-60g鲜品45-120g

 

 

[中藥大辭典, 中華本草]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본초의 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의 연밀  (0) 2024.05.13
오소리기름  (0) 2024.02.17
산더덕  (0) 2023.11.12
천마(天麻)  (1) 2023.11.12
기원당귀  (1)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