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더덕

2023. 11. 12. 23:44백두산 환&단&약이야기/본초의 법제

산더덕

 

 

 

 

^^^^^^^^^^^^^^^^^^^^^^^^^^^^^^^^^^^^^^^^^^^^^^^^^^^^^^^^^^^^^^^^^^^^^^^^^^

 

 

산해라(山海螺)

 

 

 

山溪澗濱(산계간빈)濕地(습지)에서 子生(자생)한다. 잎은 五瓣(오판)으로 줄기에 붙으며, ()은 낭독(狼毒)과 같이 추선문(縐旋紋)이 있다. 그 문()이 해라(海螺)와 유사(類似)하며 산에서 자라므로 명명(命名)한 것이다.“

 

 

 

계반(溪畔)에 야생하는 것이지만 오히려 성()은 조()를 선호(選好)한다. 지엽(枝葉)이 빈약(貧弱)하므로 분재(盆栽)로서 애완(愛翫)된다.

 

 

 

백초경(百草鏡)에는 산토(山土)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이월(二月)에 채취한다. 狼毒(낭독)과 심히 흡사하지만, 껍질의 疙瘩(흘탑)을 벗겨보면 白漿(백장)이 있는 것만이 다를 뿐이다.

 

 

 

그 엽은 四瓣(사판)이며 枝莖(지경)蔓延(만연)하고, 秋後(추후)算盤珠(산반주)와 같은 子實(자실)을 맺으며, 옆에 四葉(사엽)이 떠받치고 있다.

 

 

 

종독(腫毒)을 치료한다. 나력(瘰癧)에는 즙을 취하여 술로 담아 음용하며 사재(渣滓)는 환처(患處)에 도포(塗布)한다.

 

 

 

왕련사는 ()는 만생이며 근()은 나복(羅蔔)과 같고 미()는 다취(多臭)하다. 양매악창(楊梅惡瘡) 치료함에는 실로 신()과 같다.

 

 

 

왕안채약방(王安采藥方)에는 산해라(山海螺) 一名(일명) 白河車(백하거)라고 한다. 자하거(紫河車), (), 白石膏(백석고)를 가()한 것을 사성산(四聖散)이라고 하며,, 장옹(腸癰), 변독(便毒), 장독(藏毒), 유옹저(乳癰疽) 치료에 유효(有效)하다.

 

 

[本草綱目拾遺(본초강목습유)]

 

^^^^^^^^^^^^^^^^^^^^^^^^^^^^^^^^^^^^^^^^^^^^^^^^^^^^^^^^^^^^^^^^^^^^^^^^^^

 

 

 

 

성미(性味)

 

甘辛

 

①《別錄》:"味甘無毒"

 

②《浙江民間草藥》:"味辛性涼"

 

③《廣西中藥志》:"味甘性平無毒"

 

 

공능(功能)주치(主治)

 

소종(消腫)해독(解毒)배농(排膿)거담(祛痰)최유(催乳)

 

 

폐옹(肺癰)유옹(乳癰)장옹(腸癰)종독(腫毒)라력(瘰鬁)후아(喉蛾)유소(乳少)백대(白帶)

 

①《別錄》:"主頭眩痛益氣長肌肉"

 

汪連仕采藥書》:"治楊梅惡瘡"

 

③《綱目拾遺》:"治腫毒瘰鬁取汁和酒服渣敷患處"

 

④《植物名實圖考》:"發乳汁壯陽道"

 

廣州部隊常用中草藥手冊》:"滋補強壯祛痰潤肺排膿解毒治肺膿腫乳腺炎癰瘡腫毒蛇咬傷"

 

 

 

 

적록】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

 

 

귀경(歸經)

귀비(歸脾)폐경(肺經)

 

 

공효(功效)

익기양음(益氣養陰)해독소종(解毒消腫)배농(排膿)통유(通乳)

 

 

주치(主治)

 

신피핍력(神疲乏力)두훈두통(頭暈頭痛)폐옹(肺癰)유옹(乳癰)장전정(腸前程)창절종독(瘡癤腫毒)후아(喉蛾)라력(癩癧)산후유소(産後乳少)백대(白帶)독사교상(毒蛇咬傷)

 

 

 

 

공효분류(功效分類)

청열약(淸熱藥)해독약(解毒藥)

 

 

성미(性味)

味甘性平

 

출처

중화본초

 

 

 

폐옹(肺癰)

 

폐부에에 발생하는 옹양. 농혈해담의 병증으로서 폐농양, 폐괴저등 질병과 비슷하다. 보통 풍열병에서 사기가 폐에 울체되어 맺히는 데서 발생하거나 혹은 술을 즐겨 마시거나 볶은 것, 튀긴것, 매운것, 뜨거운것, 기름진 음식물을 많이 먹어 조열이 폐를 상하는데서 초래한다.

 

병세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3기로 나눌수 있다.

 

1, 표증기(表證期): 주요 표현은 오한이 나고 땀이 나며 기침이 나고 가슴이 아프며 맥이 부하고 삭한..등이다.

 

2.양농기(釀膿期): 주요표현은 기침이 나고 기가 상역하며 가슴이 그득하고 아프며 때로는 추워 몸이 떨리고 맥이 활()하고 삭한..등이다.

 

3.궤농기(潰膿期): 주요표현은 비린 냄새가 나는 농혈을 뱉는 것이다. 또한 기타 질병에서 속발할 수 있다.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본초의 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소리기름  (0) 2024.02.17
홍더덕  (1) 2024.02.17
천마(天麻)  (1) 2023.11.12
기원당귀  (1) 2023.10.31
승마  (1)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