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릉향(零陵香)[동의보감]

2023. 12. 23. 20:33[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영릉향(零陵香)[동의보감]

 

 

 

 

다른 이름은 훈초(薰草) · 혜초(蕙草)이다.

 

봄맞이꽃과 식물인 영릉향 Lysimachia foenumgraecum Hance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폐경(肺經) · 비경(脾經) ·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풍한사(風寒邪)를 없애고 기의 순환을 촉진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풍한감모(風寒感冒), 명치와 배가 불러오르면서 아픈 데, 치통, 설사, 유정(遺精) 등에 쓴다. 하루 5~9g을 탕제 · 환제 · 산제 형태로 쓴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 내어 뿌린다. 달인 물로 입가심하기도 한다.

 

 

 

영향풀(靈香草) Lysimachia foenum-graecum Hance (앵초과 Primulaceae)의 전초이다. 일명 영향초(靈香草)라고도 한다. 전초로 줄기는 원기둥모양이고 길이 40~60cm이며, 세로무늬가 있고 3~5줄의 뾰족한 날개모양의 조직이 능선에 붙어 있다. 잎은 넓은 계란모양이고 어긋나 있으며, 지름 4~6cm이고 잎끝은 뾰족하며 잎의 아래쪽 양측은 잎자루를 따라 아래로 연장되어 날개 모양이고, 바깥 면은 녹색이다. 구형의 삭과는 잎겨드랑이에서 나는데 열매자루는 비교적 가늘고 연약하며 길이 2~3cm 정도이다. 강한 향기가 있으며 맛은 약간 달고 쓰다.

 

 

한약재감별도감

 

^^^^^^^^^^^^^^^^^^^^^^^^^^^^^^^^^^^^^^^^^^^^^^^^^^^^^^^^^^^^^^^^^^^^^^^^^^^^^^

 

靈香草

 

Lysimachia foenum-graecum Hance

 

多年生草本全株平滑無毛有香氣莖柔弱直立或下部匍匐生長具棱或狹翅40-60厘米葉互生橢圓形或卵形4-9厘米1.5-4.5厘米頂端銳尖基部漸狹下延全緣或有時呈皺波狀葉柄具狹翅5-12毫米花單生於莖上部葉腋花梗柔弱2-3厘米花萼5深裂達基部裂片卵狀披針形8-10毫米花冠黃色5深裂裂片橢圓形12-16毫米寬約9毫米雄蕊長約7毫米花絲極短蒴果球形灰白色

 

分布於廣東廣西雲南生林下及山穀蔭濕地帶全草含類似香豆素芳香油可提煉香精用作煙草及香脂等香料幹品放箱中可防蟲蛀衣物又供藥用治鼻塞齒痛胸悶腹脹雲南民間用作驅蛔蟲藥

 

 

Lysimachia foenum-graecum Hance

 

J. Bot. 15: 355. 1877 [Read the protologue in BHL].

Original Data:

Notes: China

 

 

 

^^^^^^^^^^^^^^^^^^^^^^^^^^^^^^^^^^^^^^^^^^^^^^^^^^^^^^^^^^^^^^^^^^^^^^^^^^^^^^

 

零陵香

 

영릉향(零陵香)

 

 

性平一雲溫味甘一雲辛無毒

 

()은 평()하고 <일운(一雲)()> ()는 감()<일운(一雲)()>하며 무독(無毒)하다.

 

 

主惡氣狟心腹痛令體香

 

악기(惡氣), 시주(屍疰), 심복통(心腹痛)에 주효(主效)가 있으며 신체(身體)를 향기(香氣)롭게 한다.

 

麻葉方莖氣如慛蕪其莖葉謂之蕙其根謂之薰得酒良三月採本草

마엽(麻葉)과 비슷하고 줄기는 모가 났으며 냄새는 궁궁(芎藭)싹과 같다. 그의 줄기와 잎은 혜()라 하고 그의 뿌리를 훈()이라고 한다. 술과 같이 쓰면 좋다. 삼월(三月)에 채수(採收)한다.[본초].

 

 

我國惟濟州有之然難得俗方

 

우리나라에는 오직 제주도(濟州道)에만 있으므로 난득(難得)하다.[속방].

 

 

 

[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목(蘇木)[동의보감]  (0) 2024.02.17
자단(紫檀)[동의보감]  (0) 2024.01.02
황촉규(黃蜀葵)[동의보감]  (1) 2023.12.12
촉규(蜀葵)[동의보감]  (0) 2023.12.12
저마근(苧麻根)[동의보감]  (1) 2023.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