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마근(苧麻根)[동의보감]

2023. 12. 4. 20:06[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저마근(苧麻根)[동의보감]

 

 

 

모시풀

 

이명:남모시

학명:Boehmeria nivea (L.) Gaudich.

분류군:Urticaceae(쐐기풀과)

일본명:ナンバンカラムシ(Numbang kara mushi)

영명:Ramie, Chinese Silk Plant, China Grass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10-15cm, 6-12cm로서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고 밑부분은 둔저 또는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은 솜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며 맥 위에 퍼진 털이 있다. 엽병은 잎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퍼진 잔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여러 개가 함께 붙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암수한그루로서 원추화서로 엽액에 달리고, 화서가 엽병보다 짧다. 수꽃 화서는 줄기 밑부분에, 암꽃 화서는 줄기 윗부분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5-10cm이다. 수꽃은 황백색으로 화피 4, 수술 4개로 되어 있다. 암꽃은 연녹색으로 통모양의 화피에 싸이고, 여러 개의 꽃이 모여 둥글게 되며 암술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줄기

원줄기는 높이 1-2m이고 둥글며 약간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녹색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퍼진 잔털이 많다.

 

뿌리

뿌리는 목질로 땅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1-2m 정도로 자란다.

 

 

 

 

 

이용방안

껍질은 섬유로 이용한다.

 

()苧麻根(저마근), 경피(莖皮)苧麻皮(저마피), ()苧麻葉(저마엽), ()

 

苧麻花(저마화)라 하며 약용한다.

 

苧麻根(저마근) -

 

겨울에서 이듬해 봄 사이에 캐어 지상경과 진흙을 제거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뿌리에는 phenol(), triterpenoids(혹은 sterol), chlorogen()이 함유되어

있고, 전초와 종자에는 hydrocyanic acid를 함유한다.

 

약효 : 淸熱(청열), 止血(지혈), 해독,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熱病(열병), 大渴(대갈),

大狂(대광), 血淋(혈림), 융폐(尿閉(요폐) 또는 배뇨곤란), 吐血(토혈), 下血(하혈), 赤白帶下

(적백대하), 丹毒(단독), 癰腫(옹종), 타박상, 蛇咬傷(사교상) 毒蟲咬傷(독충교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짓찧어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苧麻皮(저마피) -

 

약효 : 淸熱(청열), 止血(지혈), 利小便(이소변),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瘀血(어혈),

(심번), 尿閉(요폐), 肛門腫痛(항문종통), 血淋(혈림), 創傷出血(창상출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苧麻葉(저마엽) -

 

성분 : 잎에는 flavonoid에는 收斂作用(수렴작용)이 있고 그 중에서 rutin0.1%이다.

조된 잎에는 glutamine()1.74% 함유되어 있다.

 

약효 : 凉血(양혈), 止血(지혈),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喀血(객혈), 吐血(토혈), 血淋(

), 血尿(혈뇨), 肛門腫痛(항문종통), 赤白帶下(적백대하), 타박에 의한 瘀血(어혈), 創傷出血

(창상출혈), 급성유선염, 丹毒(단독)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粉末(분말), 짓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

.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분말을 살포한다.

 

苧麻花(저마화) -

 

약효 : 淸心(청심), 利腸胃(이장위),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痲疹(마진)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유사종

왜모시풀(B. longispica Steud.):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짧은 털이 있다.

개모시풀(B. platanifolia Fr. et Savat.): 줄기에 둔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거북꼬리(B. tricuspis Makino):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사각형,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 8-20, 끝이 길게 뾰족하다.

 

특징

섬유자원으로 재배하는 다년초로서 야생상으로 퍼져 나간 것도 있다.

 

 

 

 

 

 

 

학명 Boehmeria nivea (L.) Gaudich.

Frey. Voy. Bot. 499 (1830)

1. Urtica nivea L.

Sp. pl. 2 : 985 (1753)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국명 모시풀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남모시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영문명 : Ramie, Chinese Silk Plant, China Grass

일본명 : ナンバンカラムシ

북한명 : 모시풀

 

 

Boehmeria nivea Gaudich.

Bot. Freyc. Voy. 499.

499. 0

Original Data:

Notes: As. trop. (cult.)

 

 

 

 

Boehmeria nivea ( L. ) Gaudich.

Voyage Autour du Monde ... sur les Corvettes de S.M. l'Uranie et la Physicienne. Botanique 1830

1830

Type Information

Type Remarks:

55676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저마(苧麻)

Boehmeria nivea (L.) Hook. f. & Arn.

 

 

이명(異名)

 

Urtica nivea L.

Ramium niveum (L.) Small

Boehmeria candicans Hassk.

Boehmeria frutescens var. viridula (Yamam.) Suzuki

Boehmeria juncea Bedevian

Boehmeria nivea f. concolor (Makino) Kitam.

Boehmeria nivea f. nipononivea (Koidz.) Kitam.

Boehmeria nivea subsp. nipononivea (Koidz.) Kitam.

Boehmeria utilis André Procris nivea Wedd.

Urera lamiifolia Gaudich.

Urtica tenacissima Roxb.

Urtica utilis de Vriese

 

 

半灌木

 

莖高達2分枝生短或長毛葉互生葉片卵形或近圓形5-16厘米3.5-13厘米先端漸尖邊緣密生牙齒上面粗糙下面密生交織的白色柔毛3條基生脈葉柄長2-11厘米雌雄通常同株花序圓錐狀雄花序通常位於雌花序之下雄花小花被片4雄蕊4有退化雌蕊雌花簇球形直徑約2毫米花被管狀瘦果小橢圓形密生短毛宿存柱頭絲形在我國山東河南和陝西以南各省區栽培甚廣也有野生的莖皮纖維爲制夏布優質紙的原料葉供藥用有清熱解毒止血消腫利尿安胎之效葉可養蠶或作飼料種子油供食用

 

 

^^^^^^^^^^^^^^^^^^^^^^^^^^^^^^^^^^^^^^^^^^^^^^^^^^^^^^^^^^^^^^^^^^^^^^^^^^

 

苧麻根

 

저마근(苧麻根)

 

治哮喘取根和砂糖爛煮時時細嚼嚥下永絶病根神效正傳

 

 

효천(哮喘)을 치()한다. ()을 사당(砂糖)과 난()하고, ()하여 때때로 씹어 먹으면 병근(病根)을 없애는데 신효(神效)가 있다. [정전].

 

 

[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촉규(黃蜀葵)[동의보감]  (1) 2023.12.12
촉규(蜀葵)[동의보감]  (0) 2023.12.12
해동피(海桐皮)[동의보감]  (1) 2023.11.23
해인다(孩兒茶)[동의보감]  (1) 2023.11.23
개채(芥菜)[동의보감]  (1) 2023.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