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규(蜀葵)[동의보감]

2023. 12. 12. 18:43[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촉규(蜀葵)[동의보감]

 

 

 

 

접시꽃/ 촉규자(蜀葵子)

 

접시꽃

이명: [촉규화] [접중화]

학명: Althaea rosea Cav.

분류군: Malvaceae(아욱과)

일명: タチアオイ

영명: Hollyhock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원형이며 기부는 심장저이고 가장자리가 5~7개로 얕게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접시 모양의 삭과이다.

 

6월경에 엽액(葉腋)에서 짧은 화경이 있는 꽃이 피기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며 끝에서 긴 화서로 되고 소포는 7~8개가 밑부분에서 서로 붙어 있으며 녹색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잎도 5개가 기왓장처럼 겹쳐지며 나선상으로 말리고 종형(鐘形)으로 윗면은 개출(開出)하고 홍색, 짙은 담홍색, 백자색 등 여러 가지 색을 갖는다. 단체웅예의 꽃밥이 밀집되어 있고 화주는 1개이지만 끝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고 접시같은 열매가 달린다. 꽃을 촉규화(蜀葵花)라 한다.

 

줄기

높이가 2.5m에 달하고 원줄기는 녹색이며 털이 있고 원주형이다.

 

뿌리

촉규근(蜀葵根)이라 한다.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전국 각처

 

형태

월년초.

크기

높이 2.5m 내외이다.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이용방안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 (), 경엽(莖葉), 종자를 약용한다.

蜀葵花(촉규화) -

 

가을,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효 : 和血(화혈), 潤燥(윤조), 二便通利(이변통리)하는 효능이 있다. 이질, 토혈, 血崩(

), 帶下(대하), 大小便不通(대소변불통), 말라리아, 소아의 풍진을 치료한다. 백색화(白色

)白帶下(백대하), 적색화(赤色花) 赤帶下(적대하)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3-6g을 달여서 복용 또는 粉末(분말)하여 복용한다. <외용> 분말을 조합하여

붙인다. 임신 중의 복용을 금한다.

 

蜀葵根(촉규근) -

 

성분 : 뿌리에는 대량의 점액이 함유되어 있다. 일년생 뿌리의 pentose 7.78%, pentosan

6.86%, methylpintosan 10.59%, uron20.4%를 함유하고 있다.

 

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利尿(이뇨), 排膿(배농)의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泌尿系諸

疾患(비뇨계제질환)), 白帶(백대), 血尿(혈뇨), 吐血(토혈), 血崩(혈붕), 腸癰(장옹-급성충수

), 瘡腫(창종)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0-60g을 달여 복용한다. 丸劑(환제)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하기도 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蜀葵苗(촉규묘) -

 

접시꽃의 莖葉(경엽)이다.

 

약효 : 客熱(객열-외부에서 들어오는 熱邪(열사))()하고 腸胃(장위)()하는

효능이 있다. 熱毒下痢(열독하리), 淋病(임병), 金瘡(금창-刀傷(도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6-1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삶거나 짓찧어서 즙을 만들어서 마신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燒存性(소존성)으로 粉末(분말)하여 조합해서 붙인다.

 

蜀葵子(촉규자) -

 

성분 : 과실에는 脂肪油(지방유)가 함유되어 있다. () 중에는 不飽和遊離酸(불포화유리

)이 많이 들어 있고 olein()으로서 계산하면 34.88%에 달한다.

 

약효 : 利水(이수), 通淋(통림), 滑腸(골장)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淋病(임병), 변비,

疥瘡(개창)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분말하여 조합해서 붙인다.

 

 

 

 

 

학명 Althaea rosea (L.) Cav.

Diss. 2, Secunda Diss. Bot. 2 : 91 (Cav., 1790)

1. Alcea rosea L.

Sp. pl. ed. 1, 2 : 689 (1753)

국명 접시꽃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접중화

2. 촉규화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영문명 : Hollyhock

일본명 : タチアオイ

북한명 :

 

 

 

Althaea rosea Cav.

Diss. 2, Secunda Diss. Bot. 91 (t. 28, f. 1). 1786 [Jan-Apr 1786]

91 (t. 28, f. 1) 1786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1.

Althaea rosea (Linn.) Cavan.

 

二年生草本高達2.5莖直立不分枝葉互生近於圓心形有時呈5-7淺裂直徑約6-15厘米邊緣有齒葉柄長6-15厘米托葉卵形頂端具3花大單生於葉腋直徑約6-9厘米有紅黃及黑紫等各色單瓣或重瓣小苞片6-7基部合生萼鍾形5齒裂花瓣倒卵狀三角形爪有長髯毛雄蕊多數花絲連合成筒子房多室每室有胚珠1果盤狀熟時每心皮自中軸分離原產我國世界各地廣泛栽培莖皮纖維可代麻用種子可榨油花和種子入藥能利尿通便

 

 

^^^^^^^^^^^^^^^^^^^^^^^^^^^^^^^^^^^^^^^^^^^^^^^^^^^^^^^^^^^^^^^^^^^^^

 

 

2.

촉규(蜀葵)

Alcea rosea L.

 

 

이명(異名)

 

Althaea rosea L.

 

 

 

 

Alcea rosea L.

Sp. Pl. 2: 687. 1753

2: 687 1753

 

 

^^^^^^^^^^^^^^^^^^^^^^^^^^^^^^^^^^^^^^^^^^^^^^^^^^^^^^^^^^^^^^^^^^^^^^^^^^^^^^

 

 

紅蜀葵

 

홍촉규(紅蜀葵)

 

 

블근쾁규화性寒味甘無毒

 

()은 한()하고 미()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根莖拄主客熱利小便散膿血惡汁

 

(), ()은 다 객열(客熱)에 주효(主效)하고 소변(小便)을 이()하고 노혈(老血), 악즙(惡汁)을 산()한다.

 


四時取紅單葉者根治帶下排膿血惡物極驗


사철 붉은 꽃이 외첩으로 피는 뿌리를 캐서 쓴다. 대하(帶下)를 치()하고 농혈(膿血), 악물(惡物)을 배()하는데 극효(極效)가 있다.

 


處處有之以種出戎蜀故謂之蜀葵形似葵花有五色如槿花本草

 

어느 지방에나 다 있다. 융촉 지방에서 심기 때문에 촉규(蜀葵)라고 한다. 생김새는 규화(葵花)와 비슷하나 오색(五色) 피는 것은 근화(槿花)와 비슷하다[본초].

 

 

 

()

 

 

主金瘡火瘡大小人熱毒痢本草

 

금창(金瘡), 화창(火瘡), 성인(成人), 소아(小兒)의 열독리(熱毒痢)에 주효(主效)하다.[본초].

 

 

 

 

(,)

 

 

有赤白赤者治赤帶白者治白帶赤治血白治氣本草

 

(), ()이 있다. 붉은 것은 적대(赤帶)를 치()하고 흰 것은 백대(白帶)를 치()하며, 붉은 것은 혈조(血燥)를 치()하고 흰 것은 기조(氣燥)를 치()한다.[본초/결고(潔古)].

 

 

 

()

 

 

治淋澁通小腸催生落胎治一切瘡疥瘢疵本草

 

임삽(淋澀)하는 것을 치()하고 소장(小腸)을 통()하며, 분만(分娩)을 최촉(催促)하고, 낙태(落胎)하며, 일체(一切)의 창개(瘡疥), 자반(疵瘢)을 치()한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