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촉규(黃蜀葵)[동의보감]

2023. 12. 12. 20:21[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황촉규(黃蜀葵)[동의보감]

 

 

 

닥풀/황촉규(黃蜀葵)

 

 

닥풀

 

이명: 황촉규, 당촉규화, 촉귀

학명: Hibiscus manihot L.

분류군: 아욱과

일명: ドロロアオイ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엽신은 5-9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5개의 둔한 능선과 더불어 굳센 털이 있고 종자는 원숭이의 머리와 같은 모양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중심부는 흑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밑부분의 것은 엽상포이지만 위로 갈수록 포가 작아진다. 꽃밑에 있는 소포는 4-5개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과 더불어 나중에 떨어지고 꽃잎은 5개이며 복와상으로 겹쳐지고 많은 세로맥이 있으며 밑부분이 흑자색이고 수술은 단체(單體)이며 암술대는 5개로 갈라지고 흑자색이다.

 

줄기

높이 1-1.5m이고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는 없다.

 

뿌리

뿌리는 점성이 있다.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전국 각처

 

형태

일년초

 

크기

높이 1~1.5m

 

 

 

 

 

이용방안

(), (), (), (), 종자를 약용한다.

黃蜀葵花(황촉규화)

여름에 꽃이 만개하였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효 : 通淋(통림), 消腫(소종),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癰疽腫(옹저종), 화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6g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하여 조합해서 붙이거나 또는 기름에 담가 塗布(도포)한다. 姙婦(임부)의 복용은 금한다.

黃蜀葵根(황촉규근)

가을에 뿌리를 캐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점액질이 약 16%이고 araban 12.30%, galactan 13.19%, rhamnosan 8.08%, 전분 16.03%, 단백질 6.38%, 수산칼슘 17.61%로 이루어져 있다.

약효 : 利水(이수), 散瘀(산어),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浮腫(부종), 乳汁分泌障礙(유즙분비장애), 耳下腺炎(이하선염), 癰腫(옹종) 등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신선한 것은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임부의 복용을 금한다.

黃蜀葵莖(황촉규경)

줄기 또는 莖皮(경피)로 여름 또는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효 : 和血(화혈), 邪熱(사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産褥熱(산욕열), 화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계란과 함께 삶아서 먹는다. <외용> 기름에 담갔다가 바른다.

黃蜀葵葉(황촉규엽) - 내복하면 解瘡毒(해창독), 排膿生肌(배농생기)의 효능이 있다.

黃蜀葵子(황촉규자)

가을에 과실이 성숙되었을 때 채취한다.

약효 : 利水(이수), 消腫(소종), 乳通(유통)의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浮腫(부종), 乳汁不通(유즙불통), ()腫脹(종창), 타박상, 골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6-9g을 달이거나 또는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분말해서 조합하여 붙인다. 임산부에는 금한다.

 

 

 

학명 Hibiscus manihot L.

 

 

1. Hibiscus japonicus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3 : 19 (1867)

 

국명 닥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당촉규화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촉귀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3. 황촉규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북한명 황촉규

외국명 영문명

 

일본명

ドロロアオイ

 

 

Hibiscus manihot L.

Sp. Pl. 2: 696. 1753 [1 May 1753]

2: 696 1753

Original Data:

Notes: Geront. tro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Hibiscus manihot L. 異名

 

 

正名Abelmoschus manihot (L.) Medik. 黃蜀葵

 

 

황촉규(黃蜀葵)

 

Abelmoschus manihot (L.) Medik. 黃蜀葵(황촉규)

 

異名(이명)

 

Hibiscus japonicus Miq.

Hibiscus manihot L.

Hibiscus manihot var. palmatus DC.

Hibiscus manihot var. typicus Hochr.

Abelmoschus caillei (A.Chev.) Stevels

Abelmoschus manihot f. platidactylis Bakh.

Abelmoschus manihot var. dissecta

Abelmoschus manihot var. megaspermus Hemadri

Abelmoschus manihot var. timorensis (DC.) Hochr.

Abelmoschus platidactylus (Bakh.) Nakai

Abelmoschus pseudomanihot (DC.) Endl.

Hibiscus papyriferus Salisb.

 

 

多年生草本1-2疏生長硬毛葉互生掌狀5-9深裂裂片矩圓狀披針形8-18厘米1-6厘米兩面有長硬毛葉柄長6-18厘米花大單生葉腋和枝端小苞片4-5,卵狀披針形宿存有長硬毛花萼佛焰苞狀5果時脫落花淡黃色具紫心直徑12厘米雄蕊柱長1.5厘米子房5每室具多數胚珠蒴果卵狀橢圓形4-5厘米

 

除東北西北外廣布各地常見於山穀草叢間莖皮纖維可代麻用根富含粘液爲粘滑劑亦作造紙糊料全株供藥用有清熱涼血之效

 

 

Abelmoschus manihot ( L. ) Medik.

Ueber einige k?nstliche Geschlechter aus der Malven-Familie, denn der Klasse der Monadelphien 1787

1787

Type Information

Type Remarks:

52118

 

 

Links:

basionym:Malvaceae Hibiscus manihot L. Species Plantarum 2 1753

 

Abelmoschus manihot Medik.

Malv. 46.

46 0

Id: 558020-1 Version: 1.1.2.1 View Record history

 

 

출처:IPNI

 

 

 

&&&&&&&&&&&&&&&&&&&&&&&&&&&&&&&&&&&&&&&&&&&&&&&&

 

강모황촉규(剛毛黃蜀葵)

 

Abelmoschus manihot var. pungens (Roxb.) Hochr.

 

 

이명(異名)

 

Abelmoschus manihot subsp. tetraphyllus (Hornem.) Borss.Waalk.

Hibiscus pungens Roxb.

Hibiscus manihot var. pungens (Roxb.) Hochr.

Hibiscus forrestii Diels

Abelmoschus multilobatus Merr.

Abelmoschus pungens (Roxb.) Wall. ex Voigt

Abelmoschus vriesianus (Hassk.) Hassk.

Hibiscus vriesianus Hassk.

 

 

本變種與原變種不同處在於植株全體密被黃色長剛毛

 

 

 

 

^^^^^^^^^^^^^^^^^^^^^^^^^^^^^^^^^^^^^^^^^^^^^^^^^^^^^^^^^^^^^^^^^^^^^^^^^^^

 

 

黃蜀葵花

 

황촉규화(黃蜀葵花)

 

 

일일화治小便淋及難産又主諸惡瘡膿水久不差

 

소변림(小便淋) 및 난산(難産)을 치()하고 또 제악창(諸惡瘡), 농수(膿水)가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에 주효(主效)가 있다.

 

 


與蜀葵別種非謂蜀葵中花黃者葉尖狹多刻缺夏末開花淺黃色六七月菜花陰乾用本草

 

황촉규(黃蜀葵)와 촉규(蜀葵)는 별종(別種)이다. 이것은 촉규(蜀葵)가운데 황색(黃色)의 일종(一種)이 아니다. ()의 끝이 좁고 결각(缺刻)이 많다. 늦은 여름에 천황색(淺黃色)의 꽃이 핀다. ()~칠월(七月)에 채화(菜花)하여 음건(陰乾)하여 사용(使用)한다.

 

 

@

 

()

 

 

主小便淋澁令婦人易産本草

 

소변임삽(小便淋澁)에 주효(主效)가 있으며, 부인(婦人)의 분만(分娩)을 최촉(催促)한다.[본초].

 

 

[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단(紫檀)[동의보감]  (0) 2024.01.02
영릉향(零陵香)[동의보감]  (2) 2023.12.23
촉규(蜀葵)[동의보감]  (0) 2023.12.12
저마근(苧麻根)[동의보감]  (1) 2023.12.04
해동피(海桐皮)[동의보감]  (1)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