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목(蘇木)[동의보감]

2024. 2. 17. 19:36[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소목(蘇木)[동의보감]

 

 

 

 

소목(蘇木)

 

 

 

학명 Caesalpinia sappan L.

생물학적 분류

콩과

 

 

내용

 

소방목(蘇枋木적목(赤木홍자(紅紫)라고도 하며, 학명은 Caesalpinia sappan L.이다.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 높이 59m 정도로 자라며 수간(樹幹)에는 작은 가시가 있다. 작은 가시는 회록색이면서 피공(皮孔)이 있다. 잎은 2회우상복엽으로 우편(羽片)은 마주 나고 장원형이다. 56월에 황색 꽃이 피며 910월에 열매를 맺는다.

 

한방에서는 행혈(行血지혈·구어혈(驅瘀血진통·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심재(心材)를 약재로 사용한다. 주로 부인기혈심복통(婦人氣血心腹痛경폐(經閉산후어혈복통(産後瘀血腹痛파상풍·옹종(癰腫)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소목탕·소방음·소방산·독성산 등이 있다.

 

적황색 목재 부분은 홍색계 염료로 쓰이고, 뿌리는 황색염료로 쓰인다. 우리나라에서 산출되지 않았으므로 세종 때에는 9년간에 7만여 근이 수입되기도 하였다. 회즙매염으로는 적자색, 명반매염으로는 적색, 철매염으로는 자색이 염색된다. 조선시대에는 홍의 염색에 주로 충당된 염료이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소목(蘇木)

Caesalpinia sappan Linn.

 

 

이명(異名)

 

Biancaea sappan (L.)Tod.

 

 

Caesalpinia sappan L.

Sp. Pl. 1: 381. 1753 [1 May 1753]

1: 381 1753

Links:

basionym of:Leguminosae Biancaea sappan (L.) Tod. Hort. Bot. Panorm. 1(1): 3. 1875 [late 1875]

 

Original Data:

Notes: As. trop

 

灌木或小喬木5-13樹幹有刺二回羽伏複葉長可達30厘米羽片18-26小葉20-30,矩圓形偏斜10-15毫米6-9毫米先端圓而微缺基部近截形兩面近無毛有腺點圓錐花序頂生或腋生萼長約10毫米萼筒短倒圓錐形花瓣黃色雄蕊10,花絲下半部密被綿毛子房密生棕色絨毛莢果倒卵狀矩圓形偏斜木質頂端斜截形有喙6-10厘米3-4厘米種子3-4

 

分布於台灣廣東廣西貴州雲南越南緬甸泰國馬來西亞印度木材堅重枝幹可提取有價值的紅色染料根可提取黃色染料幹燥的心材供藥用能解熱清血收斂祛痰

 

출처:IPNI

 

^^^^^^^^^^^^^^^^^^^^^^^^^^^^^^^^^^^^^^^^^^^^^^^^^^^^^^^^^^^^^^^^^^^^^^^^^^^^^

 

蘇方木

 

소방목(蘇方木)

 

 

다목性平一雲寒味甘稜無毒

 

()은 평()하며 <일운(一雲) ()> ()는 감()하고 한(), 무독(無毒)하다.

 

 

 

治婦人血氣心腹痛及産後血脹悶欲死女子血夝失音消癰腫撲損瘀血排膿止痛能破血

 

부인(婦人)의 혈기(血氣), 심복통(心腹痛) 및 산후혈(産後血)로 창민(脹悶)하여 빈사지경(瀕死之境)인 것, 여자(女子)의 혈금(血噤), 실음(失音)을 치()한다. 옹종(癰腫), 박손어혈(撲損瘀血)을 해소(解消)하며, 배농지통(排膿止痛)하고 파혈(破血)한다.

 

 


一名蘇木令人用染色者本草

 

일명(一名) 소목(蘇木)이라고도 한다. 지금 사람들은 물들이는 데 쓴다[본초]

 


酒煮去皮節用入門


술에 삶아서 껍질과 마디를 버리고 쓴다[입문].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각상(鹿角霜)[동의보감]  (0) 2024.03.07
사슴[동의보감]  (4) 2024.03.06
자단(紫檀)[동의보감]  (0) 2024.01.02
영릉향(零陵香)[동의보감]  (2) 2023.12.23
황촉규(黃蜀葵)[동의보감]  (1) 2023.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