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채(芥菜)[동의보감]

2023. 11. 11. 23:41[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개채(芥菜)[동의보감]

 

 

 

겨자

 

이명 : [게자] [] [계자]

학명 : 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L.H.Bailey

분류군 : Cruciferae(십자화과)

일명 : カラシナ芥子菜辛子菜)

 

근생엽은 깃 모양으로 갈라졌고 톱니가 있으나, 줄기 잎은 거의 톱니가 없다.

열매

열매는 원주형의 꼬투리로 짧은 자루가 있고 안에 갈색을 띤 노란 색의 씨가 들어 있다.

꽃은 봄에 십자 모양의 노란 꽃이 원추화서로 달린다.

원산지

중앙아시아

분포

전 세계에서 널리 재배되고 많은 품종이 육성되었다.

형태

일년초 또는 이년초

크기

높이는 12m이다.

 

 

/번식방법

 

주로 밭에서 재배한다.

이용방안

씨는 가루로 만들어 향신료로 쓰기도 하고 물에 개어 샐러드의 조미료로도 쓴다.

 

 

학명 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L.H.Bailey

Gentes Herb. 1 : 91

 

 

1. Brassica cernua Forbes & Hemsl.

J. Linn. Soc., Bot. 23 : 47 (1886)

 

국명 겨자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1.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2. 게자

1)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계자

북한명 겨자(계자)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L. H. Bailey 異名

 

正名Brassica juncea (L.) Czern. 芥菜

 

개채(芥菜)

 

Brassica juncea (L.) Czern.

 

이명(異名)

 

Brassica juncea var. gracilis Tsen et Lee

Brassica juncea var. multisecta L. H. Bailey

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L. H. Bailey

Brassica juncea var. foliosa L. H. Bailey

Brassica taquetii H. Lév.

Brassica napiformis var. multisecta (L. H. Bailey) A. I. Baranov

Brassica juncea var. japonica (Thunb.) L. H. Bailey

Brassica argri H. Lév.

Raphanus junceus (L.) Crantz

Sinapis lanceolata DC.

Sinapis juncea L.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Stokes) Sinskaya

Brassica juncea var. longidens L. H. Bailey

Brassica juncea var. longipes M. Tsen et S. H. Lee

Brassica juncea var. rugosa (Roxb.) N. Tsen et S. N. Lee

Brassica juncea var. strumata N. Tsen et S. N. Lee

Brassica juncea var. subintegrifolia Sinskaya

Brassica willdenowii Boiss.

Sinapis cernua Thunb.

Sinapis chinensis var. integrifolia Stokes

Sinapis cuneifolia Roxb.

Sinapis japonica Thunb.

Sinapis patens Roxb.

Sinapis rugosa Roxb.

Brassica jnuncea var. cumeifolis (Roxb.) Kitam.

Brassica besseriana Andrz. ex Trautv.

Brassica chenopodiifolia Sennen & Pau

Brassica timoriana (DC.) F. Muell.

Sinapis abyssinica A. Braun

Sinapis timoriana DC.

Brassica integrifolia var. timoriana (DC.) O.E.Schulz

Brassica juncea var. aspera (Prain) O.E.Schulz

Brassica juncea var. chinensis (L.) N.Busch

Brassica arvensis var. juncea (L.) Kuntze

Brassica cernua var. chirimenna Makino

Brassica juncea var. elata (Prain) O.E.Schulz

Brassica juncea var. laevis (Prain) O.E.Schulz

Brassica juncea var. oleifera Prain

Brassica willdenovii Boiss.

Crucifera juncea E.H.L.Krause

Rhamphospermum volgense Andrz. ex Rupr.

Sinapis brassicata L.

Sinapis oleracea C.Presl

Sinapis tenella Moench

 

 

Brassica juncea ( L. ) Coss.

Bull. Soc. Bot. France 5: 609. 1860 [1859 publ. Jan 1860]

5: 609 1860

Links:

basionym:Brassicaceae Sinapis juncea L. Sp. Pl. 2: 668. 1753 [1 May 1753]

 

Remarks: isonym of B. juncea (L.) Czern. (1959).

 

一年生草本30-150厘米無毛有時具刺毛常帶粉霜莖有分枝基生葉寬卵形至倒卵形15-35厘米5-17厘米先端圓鈍不分裂或大頭羽裂邊緣有缺刻或齒牙葉柄有小裂片下部葉較小邊緣有缺刻有時具圓鈍鋸齒不抱莖上部葉窄披針形至條形具不明顯疏齒或全緣總狀花序花後延長花淡黃色7-10毫米長角果條形3-5.5厘米2-3.5毫米喙長6-12毫米果梗長5-15毫米種子球形直徑1毫米紫褐色

 

各地栽培葉鹽醃供食用種子含油量達30%種子及全草供藥用能化痰平喘消腫止痛變種雪裏蕻 var. crispifoliaBailey葉條裂邊緣卷且皺縮栽作疏菜

 

^^^^^^^^^^^^^^^^^^^^^^^^^^^^^^^^^^^^^^^^^^^^^^^^^^^^^^^^^^^^^^^^^^^^^^^^^^^

 

芥菜

 

개채(芥菜)

 

 

又雲게믁性溫味辛無毒

 

()은 온()하고 미()는 신()하며 무독(無毒)하다.

 

 

除腎邪利九竅明耳目止咳嗽上氣能溫中去頭面風

 

신경(腎經)의 사기(四氣)를 제거(除去)하고, 구규(九竅)를 이()하며, 이목(耳目)을 밝게 한다. 해수(咳嗽), 상기(上氣)를 지()하며, 곧잘 온중(溫中)하고, 두면풍(頭面風)을 제거(除去)한다.

 


芥味歸脾

 

()의 미()는 비()로 귀()한다.

 


似某而有毛味極辛辣大葉者良煮食動氣猶勝諸菜


()는 숭()과같으면서 모()가 있고, ()는 적신(積辛)하고 랄()하다. 잎이 큰 것이 좋다. 자식(煮食)하면 기()를 동()하고 다른 여러 가지 채소보다 훨씬 세다.

 


有黃芥紫芥白芥黃芥紫芥作燜食之最美白芥入藥本草

 

황개(黃芥), 자개(紫芥), 백개(白芥)가 있는데 황개(黃芥), 자개(紫芥)는 민식(燜食) 하면 아주 좋고 백개(白芥)는 약으로 쓴다[본초].

 

 

 

 

개자(芥子)

 

 

治風毒腫及麻痺撲損瘀血腰痛腎冷心痛

 

풍독종(風毒腫) 및 마비(痲痺), 박손어혈(撲損瘀血), 요통(腰痛), 신랭(腎冷), 심통(心痛)을 치()한다.

 


熬硏作醬能通利五藏本草

 

오연(熬硏)하여 장()을 만들어 먹으면 오장(五臟)을 통리(通利)한다.[본초].

 

 

 

[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동피(海桐皮)[동의보감]  (1) 2023.11.23
해인다(孩兒茶)[동의보감]  (1) 2023.11.23
제채(薺菜)[동의보감]  (2) 2023.10.31
황정(黃精)[동의보감]  (1) 2023.10.21
만청자(蔓菁子)[동의보감]  (1) 2023.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