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정(黃精)[동의보감]

2023. 10. 21. 22:44[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황정(黃精)[동의보감]

 

 

 

 

층층갈고리둥굴레

 

이명 : [원황정] [죽대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sibiricum Delar.

분류군 : Liliaceae(백합과)

 

잎은 단엽, 2~7개가 윤생 배열, 엽신은 선형, 길이 11~17, 1~2.7,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 엽병이 없음

 

열매

과실은 장과, 9~10월 흑색 성숙, 구형.

 

꽃은 양성화, 6~7월 백색 개화, 화경은 2-8개의 꽃이 밑으로 처짐, 화경길이는 3~7.5cm 화피는 통형, 6열편, 수술은 6, 화사는 잔돌기가 존재, 암술대는 자방길이의 2배이다.

 

뿌리

지하경은 옆으로 뻗는다.

 

원산지

중국

 

분포

한국, 러시아, 중국, 몽골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는 90~120이다.

 

 

 

 

생육 환경

산지

/번식방법

종자, 포기나누기

이용방안

차용-(지하경) 말린후 볶아 차로 사용한다.

식용-(지상부) 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말려 기름에 볶는다. (지하경)지하경을 캐 날것으로 먹거나 솥에 쪄먹는다.

약용-(지하경)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치료와 피로회복, 체력증강에 사용한다.

 

 

학명 Polygonatum sibiricum Delar.

Redoute, Lil. 6

 

 

1. Convallaria sibirica (Delarbre) Schult.

Syst. 7 (1): 297 (1829)

1) 한국관속식물종속지() (심정기, 고성철, 오병운, 이웅빈, 정규영, 윤창영, 김주환, 장창기, 박선주, 2000)

 

2. Polygonatum chinense Kunth

Enum. pl. 5: 146 (1850)

1) 한국관속식물종속지() (심정기, 고성철, 오병운, 이웅빈, 정규영, 윤창영, 김주환, 장창기, 박선주, 2000)

 

3. Polygonatum pluriflorum Wang & Tang

Herb. KEW (MS)

1) 한국관속식물종속지() (심정기, 고성철, 오병운, 이웅빈, 정규영, 윤창영, 김주환, 장창기, 박선주, 2000)

 

4. Polygonatum sibiricum var. multicampanellum Wang & Tang

Herb. Peking (MS)

1) 한국관속식물종속지() (심정기, 고성철, 오병운, 이웅빈, 정규영, 윤창영, 김주환, 장창기, 박선주, 2000)

 

5. Polygonatum verticillatum Wright

Herb. Kew. Peking. (MS)

1) 한국관속식물종속지() (심정기, 고성철, 오병운, 이웅빈, 정규영, 윤창영, 김주환, 장창기, 박선주, 2000)

 

국명 층층갈고리둥굴레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1. 원황정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죽대둥굴레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Polygonatum sibiricum [Delar.]

Liliac. (Redouté) vi. t. 315.

vi. t. 315. 0

Original Data:

Notes: Reg. Himal.; As. bo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황정(黃精)

 

Polygonatum sibiricum Redouté

 

 

이명(異名)

 

Polygonatum chinense Kunth

Convallaria sibirica (F.Delaroche) Ker

 

 

根狀莖圓柱形節間4-10厘米一頭粗一頭細直徑1-2厘米莖高50-90厘米有時呈攀援狀葉輪生每輪4-6條狀披針形8-15厘米頂端拳卷或彎曲成鉤花序常具2-4呈傘形狀俯垂總花梗長1-2厘米花梗長2.5)4-10毫米苞片膜質3-5毫米位於花梗基部花被乳白色至淡黃色全長9-12毫米合生成筒狀裂片6長約4毫米雄蕊6花絲著生於花被筒上部子房長約3毫米花柱長5-7毫米漿果直徑7-10毫米熟時黑色

 

分布於東北河北山西陝西內蒙古寧夏甘肅河南山東安徽浙江朝鮮蒙古蘇聯西伯利亞東部也有生於林下灌叢或山坡陰處

 

根狀莖爲常用中藥黃精

 

&&&&&&&&&&&&&&&&&&&&&&&&&&&&&&&&&&&&

 

다화황정(多花黃精)/황정(黃精)

 

 

 

다화황정(多花黃精)

 

Polygonatum cyrtonema Hua

 

 

이명(異名)

 

 

Polygonatum brachynema Hand.-Mazz.

Polygonatum henryi Diels

Polygonatum multiflorum var. longifolium Merr.

Polygonatum martinii H. Lév.

Polygonatum martini H.Lév.

Polygonatum japonicum var. formosanum Hayata

 

 

Polygonatum cyrtonema Hua

J. Bot. (Morot) vi. (1892) 393.

vi. (1892) 393. 0

Original Data:

Notes: China

 

根狀莖肥厚通常連珠狀或結節成塊稀圓柱形直徑1-2厘米莖高50-100厘米葉互生橢圓形卵狀披針形至矩圓狀披針形稀稍作鐮狀彎曲10-18厘米頂端尖至漸尖花序腋生呈傘形狀1) 2-7 (4總花梗長1-4(6)厘米花梗長0.5-1.5(3厘米蒼片微小或不存在花被黃綠色合生呈筒狀全長18-25毫米裂片6長約3毫米雄蕊6花絲著生近花被筒中部或上部1/3具乳頭狀突起至具短綿毛頂端稍膨大至具囊狀突起子房長3-6毫米花柱長12-15毫米漿果直徑約1厘米熟時黑色

 

分布於河南以南及長江流域各省東至福建南達廣東北部西至四川

 

生林下灌叢或山坡陰處我國南方地區作中藥黃精用常被誤認爲歐洲的 P. multiflorum (LAll 該種花僅長9-15毫米中國不產

 

&&&&&&&&&&&&&&&&&&&&&&&&&&&&&&&&&&&&&&&

 

전황정(滇黃精)/황정(黃精)

 

전황정(滇黃精)

 

Polygonatum kingianum Coll. et Hemsl.

 

 

이명(異名)

 

Polygonatum uncinatum Diels

Polygonatum darrisii H. Lév.

Polygonatum cavaleriei H. Lév.

Polygonatum agglutinatum Hua

Polygonatum ericoideum H. Lév.

Polygonatum kingianum var. grandifolium D. M. Liu et W. Z. Zeng

Polygonatum kingianum var. uncinatum (Diels) C. Jeffrey et McEwan

Polygonatum esquirolii H. Lév.

Polygonatum kingianum var. cavaleriei (H. Lév.) C. Jeffrey et McEwan

Polygonatum kingianum var. ericoideum (H. Lév.) C. Jeffrey et McEwan

Polygonatum huanum H. Lév.

 

 

Polygonatum kingianum Collett & Hemsl.

J. Linn. Soc., Bot. xxviii. (1890) 28 t. 21; Hook. f.Fl. Brit. Ind. vi. (1892)322.

xxviii. (1890) 28 t. 21; Hook. f.Fl. Brit. Ind. vi. (1892)322. 0

Original Data:

Notes: Burma

 

 

根狀莖肥厚近圓柱形或連珠狀結節有時作不規則菱狀直徑1-3厘米莖高1-3頂部作攀援狀葉輪生每輪3-10條形條狀披針形至披針形6-20(25)厘米3-30毫米頂端拳卷花序腋生1)2-4(6俯垂總花梗長1-2厘米花梗長0.5-1.5厘米苞片微小通常位於花梗下部花被粉紅色合生成筒狀全長18-25毫米裂片63-5毫米雄蕊6花絲扁平或絲狀3-5毫米著生於花被筒中部或稍上子房長4-6毫米花柱長8)10-14毫米漿果直徑1-1.5厘米熟時紅色

 

分布於雲南四川貴州越南緬甸也有

 

生林下灌叢或陰濕草坡有時生岩石上也作黃精用本種變異亦相當大

 

 

 

^^^^^^^^^^^^^^^^^^^^^^^^^^^^^^^^^^^^^^^^^^^^^^^^^^^^^^^^^^^^^^^^^^^^^

 

黃精

 

황정(黃精)

 

 

댓불휘性平味甘無毒

 

()은 평()하고 미()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主補中益氣安五藏補五勞七傷助筋骨益脾胃潤心肺

 

보중(補中), 익기(益氣)하고, 오장(五臟)을 평안(平安)하게 하며, 오로칠상(五勞七傷)을 보()한다. 근골(筋骨)을 조()하고, 비위(脾胃)를 익하며, 심폐(心肺)를 윤()하게 하는데 주효(主效)하다.

 


一名仙人飯三月生苗高一二尺葉如竹葉而短兩兩相對莖梗柔脆頗似桃枝本黃末赤四月開細靑白花

子白如黍亦有無子者根如嫩生薑黃色二月八月採根暴乾根葉花實皆可餌服


일명 선인반(仙人飯)이라고도 한다. 삼월(三月)에 생()하며 묘고(苗高)는 일()~이척(二尺)이다. ()은 죽엽(竹葉) 모양이며, ()하고, 서로 상대(相對)한다. ()은 유취(柔脆)하고, 마치 도지(桃枝)와 같고, ()은 황색(黃色)인데 끝이 붉다. 사월(四月)에 청백색(靑白色)의 꽃을 피우고 서립(黍粒) 모양의 백색(白色)씨를 결실(結實)한다. 또 무자(無子)인 것도 있다. ()은 어린 생강(生薑) 같고 황색(黃色)이다. 이월(二月) 팔월(八月)에 채근(採根)하여 폭건(暴乾)한다. (), (), (), ()을 모두 식이(食餌)할 수 있다.


其葉相對爲黃精不對爲偏精功用劣


그 엽()이 상대(相對)한 것을 황정(黃精)이라 하고, 상대(相對)하지 않는 것을 편정(偏情)이라하는데 공용(功用)이 못하다.

 


其根雖燥拄柔軟有脂潤本草


그 근()은 말려도 유연(柔軟)하며 지윤(脂潤)하다.[본초].

 


黃精得太陽之精也入藥生用若久久服餌則採得先用斃水綽過去苦味乃九蒸九暴入門


황정(黃精)은 태양(太陽)의 정()을 득()한 것이다. 입약(入藥)에는 생용(生用)하고 만약 오랫동안 두고 먹으려면 캐어 먼저 물에 우려서 쓴 맛을 빼버리고 구증구폭(九蒸九曝)한다.[입문].

 


我國惟平安道有之平時上貢焉俗方

 

우리나라에서는 다만 평안도(平安道)에만 있다. 평상시에 나라에 바쳤다[속방].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채(芥菜)[동의보감]  (1) 2023.11.11
제채(薺菜)[동의보감]  (2) 2023.10.31
만청자(蔓菁子)[동의보감]  (1) 2023.10.21
내복(萊菔)[동의보감]  (0) 2023.10.21
백개자(白芥子)[동의보감]  (0) 2023.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