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복(萊菔)[동의보감]

2023. 10. 21. 21:21[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내복(萊菔)[동의보감]

 

 

 

 

 

이명:[무우] [무시] [무아재비] [갯무]

학명:Raphanus sativus L.

분류군:Cruciferae(십자화과)

일어:ダイコン

 

 

근생엽은 장타원형의 1회 우상복엽이며 털이 있고 정생열편이 가장 크다.

열매

각과는 길이 4-6cm로서 터지지 않으며 그 안에 적갈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를 내복자라고 한다.

화경(花莖)은 길이 1m정도 자란 다음에 가지를 치며 그 밑에서 총상화서가 발달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거의 백색이고 십()자형으로 배열되며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잎은 길이 7mm로서 선상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넓은 도란상 쐐기형이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며 1개의 암술과 4강웅예(4強雄蘂)가 있으며 수술대 밑에 소선체(小腺體)가 있다.

줄기

뿌리의 윗부분은 줄기이지만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뿌리

뿌리는 비대한 원주형이다. 뿌리가 디아스타제가 들어 있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 기타 세계 각국에 분포한다.

형태

1년초 또는 2년초이다.

 

 

 

 

학명 Raphanus sativus L.

Sp. pl. 669 (1753)

1. Raphanus acanthiformis J.M.Morel ex Sasaki

List Pl. Formos. 202 (192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Raphanus acanthiformis f. raphanistroides Hara

Bot. Mag. (Tokyo) 49 : 73 (193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Raphanus acanthiformis var. spontaceus Nakai

Bull. Natl. Sci. Mus. Tokyo 31: 50 (195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Raphanus macropodus H.Lev.

Repert. Spec. Nov. Regni Veg. 10 : 349 (19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Raphanus macropodus var. spontaceus Nakai

Cat. Sem et Spor 37 (192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Raphanus raphanistroides Nakai

Cat. Sem. Hort. Bot. Imp. Univ. Tokyo 6 (191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Raphanus sativus f. raphanistroides Makino

Bot. Mag. (Tokyo) 23 : 70 (1909)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8. Raphanus sativus var. macropodus f. raphanistroides (Makino) Makino

Bot. Mag. (Tokyo) 23 : 70 (190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9. Raphanus sativus var. raphanistroides Makino

J. Jap. Bot. 1(5): 114 (191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0. Raphanus taquetii H.Lev.

Repert. Spec. Nov. Regni Veg. 10 : 349 (19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무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갯무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무시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무아재비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무우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4)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영문명 :

일본명 :ダイコン

북한명 :무우

 

 

 

 

 

 

Raphanus sativus L.

Sp. Pl. 2: 669. 1753 [1 May 1753]

2: 669 1753

Original Data:

Notes: Euro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라복(蘿蔔)

Raphanus sativus Linn.

 

 

이명(異名)

 

 

Raphanus sativus var. raphanistroides (Makino) Makino

Raphanus niger Mill.

Raphanus acanthiformis J. M. Morel

Raphanus sativus f. raphanistroides Makino

Raphanus macropodus H. Lév.

Raphanus sativus var. macropodus (H. Lév.) Makino

Raphanus taquetti H. Lév.

Raphanistrum gayanum Fisch. & C.A. Mey.

Raphanus candidus Vorosch.

Raphanus gayanus (Fisch. & C.A. Mey.) G. Don ex Sweet

Raphanus taquetii H. Lév.

Raphanus sativus var. radicula Pers.

Raphanus acanthiformis var. raphanistroides (Makino) HARA

 

 

二年或一年生草本20100厘米全體粗糙直根粗壯肉質形狀和大小多變化莖分枝基生葉和下部葉大頭羽狀分裂8-30厘米3-5厘米頂生裂片卵形側生裂片4-6向基部漸縮小矩圓形邊緣有鈍齒疏生粗毛上部葉矩圓形有鋸齒或近全緣總狀花序頂生花淡紫紅色或白色直徑1-1.5厘米長角果肉質圓柱形1.5-3厘米在種子間縮細並形成海綿質橫隔先端漸尖成喙種子卵形微扁直徑約3毫米紅褐色全國栽培

根爲蔬菜種子或根葉入藥有祛痰消積利尿止瀉的功效種子含油量達45%,油供制皂及潤滑用也可食用

 

 

 

 

^^^^^^^^^^^^^^^^^^^^^^^^^^^^^^^^^^^^^^^^^^^^^^^^^^^^^^^^^^^^^^^^^^^

 

 

萊挘

 

내복(內服)

 

 

댄무우性溫一雲冷一雲平味辛甘無毒

 

()은 온()하고 <일운(一雲) (), 일운(一雲) ()> ()는 신(), ()하며 무독(無毒)하다.

 

 

消食去痰癖止消渴利關節練五藏惡氣治肺潯吐血勞瘦咳嗽

 

소식(消食)하고 담벽(痰癖)을 거()하며, 소갈(消渴)을 멎게 하고, 관절(關節)을 이()하며, 오장(五臟), 악기(惡氣)를 연()한다. 폐위(肺痿), 토혈(吐血), 노수해수(勞瘦咳嗽)를 치()한다.

 


處處種之常食之菜也此物下氣最速久服澁榮衛令鬚髮早白


아무 곳에나 심는데 늘 먹는 채소이다. 이것은 하기(下氣)하는데 가장 신속(迅速)하다. 구복(久服)하면 영위(營衛)를 삽()하여 자발(髭髮)을 빨리 희어지게 한다.

 

 


俗名蘿挙亦曰蘆挘以能制來愨恪毒故亦名萊挘本草

 

속간(俗間)에서는 나복(蘿蔔) 또는 노복(蘆菔)이라고 한다. 면독(麵毒)을 제()한다. 일명(一名) 내복(萊菔)이라고도 한다[본초].

 

 

 

@

 

내복자(萊菔子)

 

 

治膨脹積聚利五藏及大小二便又硏末飮服吐風痰甚效

 

팽창(膨脹), 적취(積聚)를 치()하고, 오장(五臟) 및 대소변(大小便)을 통리(通利)하고, 또 연말(硏末)하여 음복(飮服)하면 풍담(風痰)을 토()하는데 심효(甚效)가 있다.

 


某子黑蔓菁子紫赤大小相似惟蘿挙子黃赤色大數倍復不圓也本草


숭자(菘子)는 흑색(黑色)이고, 만청자(蔓菁子)는 자적색(紫赤色)으로 크기는 비슷하다. 그러나 나복자(萊菔子)는 황적색(黃赤色)으로 숭자(菘子)보다 수배(數倍)로 크며 둥글지 않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정(黃精)[동의보감]  (1) 2023.10.21
만청자(蔓菁子)[동의보감]  (1) 2023.10.21
백개자(白芥子)[동의보감]  (0) 2023.10.05
숭채(菘菜)[동의보감]  (1) 2023.10.05
순채(蓴菜)[동의보감]  (0)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