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채(蓴菜)[동의보감]

2023. 9. 9. 23:57[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순채(蓴菜)[동의보감]

 

 

 

순채/()

 

순채

 

학명:Brasenia schreberi J.F.Gmelin

분류군:Nymphaeaceae(수련과)

일본명:Junsai

영명:Purple wen-dock

漢名:蓴菜(순채 순, 나물 채)

 

잎은 호생하고 잎이 피려고 할 때 어린 줄기와 더불어 우무같은 점질의 투명체로 덮이며 완전히 자란 잎은 수면에 뜨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6~10cm, 직경 4~6cm로서 중앙부에 엽병이 있으며 뒷면은 검붉은 자줏빛이 난다. 잎은 두껍고 진록색이며, 광택이 난다.

 

 

열매

열매는 난형이며 물 속에서 성숙하고 꽃받침과 암술대가 달려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엽액에서 나오는 긴 화병 끝에 1개씩 달리고 검은 홍자색이며 지름 2cm정도로서 물에 약간 잠긴 채로 핀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3개이며 길이 10mm로서 둔두이고 꽃잎도 3개이며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mm정도로서 둔두이다. 수술은 많으며 각각 떨어지고 꽃밥은 길이 4mm로서 선형이며 암술은 6-18개로서 유두상의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길이 8mm정도이다.

 

줄기

원줄기는 물 속에서 수면을 향해 길게 자라며 드문드문 가지를 친다.

 

뿌리

근경이 옆으로 가지를 치면서 자라고 잔뿌리가 많이 내린다.

 

원산지

동아시아,인도,호주,서아프리카,북미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수생식물이며 관엽식물이다.

 

크기

길이는 6~10cm,직경은 4~6cm정도이다.

 

문헌자료

이유미ㆍ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도서출판생명의나무. 서울.

고정군ㆍ문명옥ㆍ고석찬. 1999. 한라산 백록담 분화구내의 식생과 식물자원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2(3) pp.221-233.

이석우ㆍ김찬수ㆍ조경진ㆍ최완용. 1997. 희귀 수종 시로미의 유전변이. 한국육종학회지 Vol.29(2) pp.376-381.

 

 

 

 

 

생육환경

작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란다.

밭흙이나 점질양토에 심어 물 속에 넣어둔다. 충분한 광을 요하며,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번식방법

분주 또는 실생으로 행한다.

 

재배특성

밭흙이나 점질양토에 심어 물 속에 넣어둔다. 환경내성, 이식성은 보통이다.

 

이용방안

우무같은 것으로 싸여 있는 어린 잎을 식용으로 한다.

연못이나 수재화단에 심어 관상한다.

 

莖葉(경엽)을 순채라 하며 약용한다.

순채의 경엽을 5-7월에 채취한다.

 

성분 : 소량의 비타민 B12를 함유하고, 잎의 뒷면에서는 한천과 유사한 점액을 분비하여, 신엽의 점액은 더욱 많다. 이 종류의 다당류는 끓는 물 혹은 묽은 알칼리에 녹고, 그 조식 송에 l-arabinose 5.9%, l-fucose 10.9%, d-galactose 34.1%, d-glucuronid acid 17.3%, d-mannose 13.4%, l-rhamnose 11.4%, d-xylose 7%를 함유하고, d-glucuronic acid, d-果糖(과당), d-glucosam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 밖에 leucine, phenylalanine, methionine, proline, threonine, asparagine, histamine이 검출된다.

 

약효 : 淸熱(청열), 利水(이수),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熱痢(열리-有熱性下痢(

열성하리)), 해열, 痰症(담증), 황달, 消渴(소갈), 熱痺(열비), 癰腫(옹종), 정창, 百毒(백독),

諸瘡(제창)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물에 달여서 복용하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보호방안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환경부 선정 보호야생동ㆍ식물(1997)

 

 

 

 

 

학명 Brasenia schreberi J.F.Gmelin

Syst. Veget. 1 : 853

 

 

1. Brasenia peltata Pursh

Fl. Amer. Sept. 389 (181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2. Brasenia purpurea (Michx.) Casp.

Pfl.-fam. 3-2 : 6 (189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3. Hydropeltis purpurea Michx.

Fl. Bor.-Amer. (Michaux) 1 : 324 (Michaux., 180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국명 순채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Brasenia schreberi J.F.Gmel.

Syst. Nat., ed. 13[bis]. 2(1): 853. 1791 [Sep-Nov 1791]

2(1): 853. 1791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순채(蓴菜)

Brasenia schreberi J. F. Gmél.

 

 

이명(異名)

 

Brasenia purpurea Casp.

Brasenia peltata Pursh

Brasenia hydropeltis Muhl.

Brasenia nymphoides Baill.

Brasenia pelta Casp.

Cabomba peltata F.Muell.

Hydropeltis pulla Salisb.

Hydropeltis purpurea Michx.

Menyanthes peltata Thunb.

 

 

多年生水生草本根狀莖細瘦橫臥於水底泥中葉漂浮於水面橢圓狀矩圓形3.5-6厘米5-10厘米盾狀著生於葉柄全緣兩面無毛葉柄長25-40厘米有柔毛葉柄和花梗有粘液花單生在花梗頂端直徑1-2厘米花梗長6-10厘米萼片3-4呈花瓣狀條狀矩圓形或條狀倒卵形宿存花瓣3-4紫紅色宿存雄蕊12-18,花藥側向子房上位6-18離生心皮每心皮有胚珠2-3堅果革質不裂有宿存花柱1-2顆卵形種子

 

分布在江蘇浙江江西湖南四川雲南等省東亞其他地區印度大洋洲非洲北美也有生於池塘湖沼嫩莖葉作蔬菜.

 

 

^^^^^^^^^^^^^^^^^^^^^^^^^^^^^^^^^^^^^^^^^^^^^^^^^^^^^^^^^^^^^^^^^^^^^^^^^^^^

 

 

 

蓴菜

 

순채(蓴菜)

 

 

性寒一雲冷味甘無毒

 

()이 한()하고 <일운(一雲)()> ()는 감()하고 무독(無毒)하다.

 

 

主消渴熱痺厚腸胃補大小腸治熱疸解百藥毒開胃氣

 

소갈(消渴), 열비(熱痺)에 주효(主效)하고, 장위(腸胃)를 후()하게 하며, 대소장(大小腸)을 보()한다. 열달(熱疸)을 치()하고, 백약(百藥)의 독()을 해()하며, 위기(胃氣)를 개()한다.

 


生水澤中處處有之三四月至七八月通名絲蓴味甛體軟霜降至十二月名塊蓴味苦體澁取以爲羹猶勝雜菜

 

못에서 자라는데 곳곳에 다 있다. ()~사월(四月)에서부터 칠()~팔월(八月)까지는 그 이름을 사순(絲蓴)이라고 하는데 미()는 첨()하고 체()는 연()하다. 상강(霜降) 후부터 십이월(十二月)까지는 이름을 괴순(塊蓴)이라고 하는데 미()는 고()하고 체()는 삽()하다. 이것으로 만든 국은 다른 채소국보다 좋다.

 


雖冷而補熱食則壅氣不下甚損人不可多食久食本草

 

()은 냉()하지만, ()한다. 열식(熱食)하면 기가 몰려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몸에 몹시 해롭다. 많이 먹거나 오랫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合掣魚作羹食主胃弱不下食能開胃口至效老人尤宜本草

 

 

즉어(鯽魚)와 함께 갱()을 만들어 먹는다. 위약(胃弱)으로 식물(食物)을 소화(消化)시키지 못하는 데에 지효(至效)가 있으며, 노인(老人)에게 더욱 좋다[본초].

 

 

 

如獇魚作羹食之主反胃食不下止嘔本草

 

즉어(鯽魚)와 함께 갱()을 만들어 먹는다. 반위(反胃)로 음식이 내리지 않는데 주로 쓴다. 구역도 멎게 한다[본초].

 

 

 

 

主消渴作羹作燜常食佳本草

 

소갈(消渴)에 주효(主效)하다. ()을 만들어 먹거나 난()하여 상식(常食)하면 좋다[본초].

 

 

治熱疸作羹作燜常食佳本草

 

열달(熱疸)을 치()한다. ()을 만들거나, ()하여 상식(常食)하면 좋다.[본초].

 

 

溫病勿食蓴食者多死本草

 

온병(溫病) ()에는 순()을 식()하면 흔히 죽을 수 있다[본초].

 

비약(脾弱)으로 소화불능(消化不能)인 경우...

 

 

 

常食令人嗜睡本草

 

상식(常食)하면 기면(嗜睡)하게 한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개자(白芥子)[동의보감]  (0) 2023.10.05
숭채(菘菜)[동의보감]  (1) 2023.10.05
마치현(馬齒莧)[동의보감]  (1) 2023.09.09
쇄양(鎖陽)[동의보감]  (0) 2023.09.09
목적(木賊)[동의보감]  (0)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