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실(芡實)[본초강목]

2023. 9. 20. 01:13[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검실(芡實)[본초강목]

 

 

 

^^^^^^^^^^^^^^^^^^^^^^^^^^^^^^^^^^^^^^^^^^^^^^^^^^^^^^^^^^^^^^^^^^^^^^^^^^^^

芡實

 

本經上品

 

 

釋名

 

雞頭(《本經》)雁喙)、雁頭(《古今注》)鴻頭韓退之雞雍(《莊子》)卯菱(《管子》)蔿子水流黃

 

弘景曰此即今蔿子也莖上花似雞冠故名雞頭

 

이것은 지금의 蔿子(위자)를 말한다. 莖上(경상)의 꽃이 鷄冠(계관)과 같기 때문에 鷄頭(계두)라고 命名(명명)한 것이다.

 

 

頌曰其苞形類雞雁頭故有諸名

 

()()(), ()()와 같다. 그래서 여러 가지 이름이 있는 것이다.

 

 

時珍曰芡可濟儉歉故謂之芡雞雍見莊子徐無鬼篇》。卯菱見管子五行篇》。

 

()儉歉(검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라고 한다. 鷄雍(계옹)이라는 名稱(명칭)莊子(장자)無鬼篇(무귀편)에 있다. 卯菱(묘릉)이라는 名稱(명칭)管子(관자)五行篇(오행편)에 있다.

 

 

揚雄方言南楚謂之雞頭幽燕謂之雁頭泗謂之芡子其莖謂之蔿亦曰 䓈鄭樵通志以鉤 為芡誤矣陸生草也其莖可食水流黃見下

 

 

集解

 

別錄雞頭實生雷澤池澤八月採之

保升曰苗生水中葉大如荷皺而有刺花子若拳大形似雞頭實若石榴其皮青黑肉白如菱米也

 

頌曰處處有之生水澤中其葉俗名雞頭盤花下結實其莖嫩者名 亦名 菜人采為蔬茹

 

宗奭曰天下皆有之臨水居人采子去皮搗仁為粉蒸炸作餅可以代糧

 

時珍曰芡莖三月生葉貼水大於荷葉皺紋如 蹙衄如沸面青背紫葉皆有刺其莖長至丈餘中亦有孔有絲嫩者剝皮可食五六月生紫花花開向日結苞外有青刺如 刺及栗球之形花在苞頂亦如雞喙及 喙剝開內有斑駁軟肉裹子累累如珠璣

殼內白米狀如魚目深秋老時澤農廣收爛取芡子藏至 石以備歉荒其根狀如三棱煮食如芋

 

 

修治

 

詵曰凡用蒸熟烈日晒裂取仁亦可舂取粉用

 

대개 이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蒸熟(증숙)하여 烈日에다 曝乾한 다음 破裂(파열)하여 ()()한다. 또한 빻아서 ()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도 좋다.

 

 

時珍曰新者煮食良入澀精藥連殼用亦可陳彦和暇日記芡實一斗以防風四兩煎湯浸過用且經久不壞

 

새것을 煮食(자식)하는 것이 좋다. 澁精藥(삽정약)에 넣은 경우에는 ()인 채로 사용하는 것도 좋다. 陳彦和(진언화)暇日記(가일기)에는 芡實(검실) 一斗(일두)防風(방풍) 四兩(사량)煎湯(전탕)에다 ()하여 使用(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오랜 其間(기간)經過(경과)()에도 破壞(파괴)하지 않는다.” 고 하였다.

 

 

氣味

 

無毒

 

弘景曰小兒多食令不長

 

小兒(소아)多食(다식)하면 成長(성장)하지 않게 된다.

 

詵曰生食多動風冷氣

 

生食(생식)하면 대개 風冷(풍랭)()()하게 한다.

 

宗奭曰食多不益脾胃兼難消化

 

多食(다식)하면 脾胃(비위)()하지 않고, ()하여 消化(소화)가 되지 않는다.

 

 

主治

 

濕痺腰脊膝痛補中除暴疾益精氣強志令耳目聰明久服輕身不飢耐老神仙(《本經》)。

 

濕痺(습비)(), (), 膝痛(슬통), 補中(보중)하고, 暴疾(폭질)除去(제거)하며, 精氣(정기)()하고, 强志(강지)하며, 耳目(이목)聰明(총명)하게 한다. 久服(구복)하면 輕身不饑(경신불기)하고, 耐老(내로)하며 神仙(신선)이 된다.

 

 

開胃助氣(《日華》)。

 

開胃(개위)하고, ()()한다.

 

 

止渴益腎治小便不禁遺精白濁帶下時珍)。

 

止渴益腎(지갈익신)하고, 小便不禁(소변불금), 遺精白濁(유정백탁), 帶下(대하)()한다.

 

 

發明

 

弘景曰︰《仙方取此合蓮實餌之甚益人

 

仙方(선방)에서는 이것을 ()하여 蓮實(연실)()하여 먹는다. 매우 補益(보익)한다.

 

 

恭曰作粉食益人勝於菱也

 

()을 만들어 먹으면 ()보다 더 사람을 補益(보익)한다.

 

 

頌曰取其實及中子搗爛曝乾再搗篩末熬金櫻子煎和丸服之云補下益人謂之水陸丹

 

() 및 속의 ()()하여 搗爛(도란)하여 暴乾(폭건)하고 다시 ()하여 체로 쳐서 粉末(분말)로 하고, 金樱子煎(금앵자전)()하여 調和(조화)하고 ()을 만들어 服用(복용)한다. 補下(보하)하고 사람을 補益(보익)한다. 이것을 水陸丹(수륙단)이라 한다.

 

 

時珍曰案孫升談圃芡本不益人而俗謂之水流黃何也蓋人之食芡必咀之終日囁囁而芡味甘平腴而不膩食之者能使華液流通轉相灌溉其功勝於乳石也

 

생각하건대 孫升(손승)談圃(담포)에는 ()元來(원래) 사람에게 ()이 없다. 그런데도 이것을 水流黃(수류황)이라고 俗稱(속칭)하는 까닭은 一般的(일반적)으로 ()을 먹는 경우에는 반드시 詛嚼(저작)하여 終日(종일) 囁囁(섭섭)하고 있기 때문에 ()은 맛이 달고 平腴(평유)하면서 이()하지 않으며, 먹는 사람이 곧잘 華液(화액)流通(유통)시킴으로써 서로 灌漑(관개)하기 때문이다. ()乳石(유석)보다 좋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淮南子狸頭愈癙雞頭已瘻注者云即芡實也

 

淮南子(희남자)에는 狸頭(이두)癒癙(유서)하고, 鷄頭(계두)已瘻(이루)한다.” 라고 하였는데. 註者(주자)芡實(검실)이다.” 라고 하였다.

 

 

 

附方

 

舊一新三

 

雞頭粥益精氣強志意利耳目雞頭實三合煮熟去殼),粳米一合煮粥日日空心食。(《經驗後方》)

玉鎖丹治精氣虛滑用芡實蓮莖方見藕節下)。

四精丸治思慮色欲過度損傷心氣小便數遺精用秋石白茯苓芡實蓮肉各二兩為末蒸棗和丸梧桐子大每服三十丸空心鹽湯送下。(《永類方》)

釐清丸治濁病用芡實粉白茯苓粉黃蠟化蜜和丸梧桐子大每服百丸鹽湯下。(《摘玄方

 

 

雞頭菜即䓈菜芡莖也

 

 

氣味

 

, , , 無毒.

 

 

主治

 

止煩渴除虛熱生熟皆宜時珍)。

 

 

煩渴(번갈)을 멎게 하고, 虛熱(허열)除去(제거)한다. (), () 어느 것이나 좋다.

 

 

 

 

 

氣味

 

同莖

 

主治

 

小腹結氣痛煮食之士良)。

 

小腹結氣痛(소복결기통)에 이것을 煮食(자식)한다.

 

 

附方

 

新一

 

偏墜氣塊雞頭根切片煮熟醋食之。(《法天生意》)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모(仙茅)[본초강목]  (2) 2023.09.24
수선화(水仙花)  (0) 2023.09.24
순채(蓴菜)[본초강목]  (0) 2023.09.10
연우(蓮藕)[본초강목]  (1) 2023.09.09
평봉초(萍蓬草)[본초강목]  (0)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