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봉초(萍蓬草)[본초강목]

2023. 9. 9. 21:52[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평봉초(萍蓬草)[본초강목]

 

 

 

 

왜개연꽃/평봉초자(萍蓬草子)

 

 

왜개연꽃

 

이명:물개구리연, 북개연, 왜개련꽃().애기좀련꽃.왜개련

학명:Nuphar pumilum (Timm) DC.

분류군:Nymphaeaceae(수련과)

일본명:Hime-kohone

 

잎은 근경 끝에서 나오며 엽병이 길고 엽병은 밑부분이 반원주형이며 2개의 능선이 있고 윗부분은 거의 세모가 지며 수면에 떠 있는 잎은 넓은 난형,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8cm, 6-9cm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뒷면에 잔털이 밀생한다. 잎은 두껍고 표면은 광택이 난다.

 

 

열매

열매는 장과상으로 난형이며 길이 3cm로 다실이며 8-9월에 익는다.

 

꽃은 8-9월에 긴 화경이 나와 물 위에서 피고 지름 2.5cm정도로서 황색이며 꽃받침은 5개이고 꽃잎같으며 넓은 도란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12-20mm로서 끝이 둥글다. 꽃잎은 주걱같은 도란형이며, 길이는 5~7mm로서 끝이 둥글고 많으며 꽃밥은 길이 2.5~3mm로서 타원형이고 수술대는 3~10배 길다. 꽃의 주두반(柱頭盤)은 직경 6~8mm로서 연한 황색이거나 일부분에 붉은빛이 돌며 중앙부에는 돌기가 있고, 10~20개의 암술대가 있다.

 

뿌리

근경은 굵고 진흙 속을 옆으로 뻗어가며 굵은 뿌리가 내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남부와 중부의 늪에서 자생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수생식물이며, 관엽 관화식물이다.

 

크기

길이는 6~18cm, 폭은 6~12cm

 

 

 

 

생육환경

늪에서 자란다.

충분한 광을 요하며,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번식방법

근경을 분주로 한다.

 

재배특성

수생식물로 주로 늪에서 자생한다. 심한 수질오염에는 죽으며, 이식이 용이하다.

 

결실기

8,9

 

이용방안

 

수재화단에 이용하여 관상한다.

왜개연꽃, 개연꽃의 종자를 萍蓬草子(평봉초자), 뿌리를 萍蓬草根(평봉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萍蓬草子(평봉초자)

 

약효 : 助脾(조비), 厚腸(후장), 滋養強壯(자양강장), 健胃(건위), 調經(조경)의 효능이 있다. 體虛衰弱(체허쇠약), 소화불량, 월경불순, 산전산후의 출혈, 기타 부인병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萍蓬草根(평봉초근)

 

근경을 가을에 채취한다.

약효 : 補虛(보허), 健胃(건위), 調經(조경)의 효능이 있다. 病後衰弱(병후쇠약), 소화불량,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보호방안

심한 수질오염에 죽는다.

 

 

유사종

본속에는 2종이 있으며, 본종 외에 개연꽃(Nuphar japonicum DC.)이 있다.

 

 

 

 

 

학명 Nuphar pumilum (Timm) DC.

Syst. Veget. 2 : 59 (1821)

1. Nuphar minima (Willd.) Smith

Engl. Bot. 32 : t. 2292 (181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2. Nuphar shimadae Hayata

Fl. China (C.Y.Wu & P.H.Raven, vol. 16, 1995; vol. 17, 1994; vol. 18, 1996)

3. Nuphar subpumilum Miki

Stud. Hist. & Nat. Monum. in Kyoto 18(1937):in Jap. Journ. Bot. 9 Abst. : (55) n. 213(193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Florae of Koreae (Y.N.Lee, 1996)

3)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4. Nymphaea lutea subsp. pumila (Tumm) Bonnier & Layens

Fl. China (C.Y.Wu & P.H.Raven, vol. 16, 1995; vol. 17, 1994; vol. 18, 1996)

5. Nymphaea lutea var. minima Willd.

Sp. Pl. 2 : 1151 (179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6. Nymphaea lutea var. pumila Timm

Mag. Naturf. Mwcklenb. 2 : 250 (179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3) Fl. China (C.Y.Wu & P.H.Raven, vol. 16, 1995; vol. 17, 1994; vol. 18, 1996)

7. Nymphaea minima (Willd.) Willd.

Enum. Pl. Hort. Berol. Suppl. 38 (181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8. Nymphaea pumila (Timm) Hoffm.

Deutsch. Fl. ed. 2 : 1 : 240 (180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3) Fl. China (C.Y.Wu & P.H.Raven, vol. 16, 1995; vol. 17, 1994; vol. 18, 1996)

9. Nymphozanthus pumilus (Timm) Fernald

Rhodora 21 : 186 (191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국명 왜개연꽃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물개구리연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북개연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3. 왜개련꽃()

 

 

 

Nuphar pumila ( Timm ) DC.

Syst. Nat. [Candolle] 2: 61. 1821 [late May 1821]

2: 61 1821

Links:

basionym:Nymphaeaceae Nymphaea lutea L. var. pumila Timm Mag. Naturk. Oekon. Mecklenburgs 2: 250. 1795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萍蓬草(평봉초)

Nuphar pumila (Timm) DC.

 

異名(이명)

 

 

 

Nuphar pumilum (Hoffm.) DC.

Nuphar bornetii Lévl. et Vant.

Nymphaea lutea var. minima Willd.

Nymphaea lutea var. pumila Timm

Nuphar shimadae Hayata

Nuphar minima (Willd.) Sm.

Nymphaea lutea subsp. pumila (Timm) Bonnier et Layens

Nymphaea pumila (Timm) Hoffm.

Nenuphar pumila (Timm) Bluff & Fingerh.

Nuphar kalmiana (Michx.) W.T. Aiton

Nuphar lutea subsp. pumila (Timm) Beal

Nuphar lutea var. pumila (Timm) A.Gray

Nuphar microphylla (Pers.) Fernald

Nuphar subpumila Miki

Nuphar tenella Rchb.

Nymphaea microphylla Pers.

Nymphozanthus pumilus (Timm) Fernald

Nyphar pumilum (Timm) Walp.

 

 

평봉초(萍蓬草)

 

 

Nymphaea lutea Linnaeus var. pumila Timm, Mag. Naturk. Oekon. Mecklenburgs 2: 250. 1795; Nuphar shimadae Hayata; Nymphaea lutea subsp. pumila (Timm) Bonnier & Layens; Nymphaea pumila (Timm) Hoffmann.

 

Rhizomes stout, 1--3 cm in diam. Petiole 20--50 cm, pubescent; floating leaf blade broadly ovate to ovate, seldom elliptic, 6--17 × 6--12 cm, abaxially glabrous to densely pubescent, adaxially glabrous, base cordate and basal lobes remote from each other. Flower 1--4.5(--6) cm in diam. Peduncle 40--50 cm, pubescent. Sepals yellow, oblong to elliptic, 1--2.5 cm. Petals narrowly cuneate to broadly linear, 5--7 mm, apex emarginate. Anthers yellow, 1--6 mm. Stigmatic disc deeply lobed, 4--7.5 mm in diam., rays 8--13(--14). Fruit 1--2 cm in diam. Seeds brown, oblong to ovoid, 3--5 mm. Fl. May--Sep. 2n = 34.Lakes, ponds. Anhui, Fujian, Guangdong, Guangxi, Guizhou, Hebei, Heilongjiang, Henan, Hubei, Jiangsu, Jiangxi, Jilin, Nei Mongol, Taiwan, Xinjiang, Zhejiang [Japan, Korea, Mongolia, Russia; N Europe].

 

The description of Nuphar shimadae clearly indicates that this taxon is conspecific with N. pumila ; however, it remains unclear as to which subspecies the plants in Taiwan should be referred, since no specimens were examined from that region.

 

 

^^^^^^^^^^^^^^^^^^^^^^^^^^^^^^^^^^^^^^^^^^^^^^^^^^^^^^^^^^^^^^^^^^^^^^^^^^^^

 

萍蓬草

 

(《拾遺》)

 

釋名

 

水粟(《綱目》)水栗子

 

 

時珍曰陳藏器拾遺》︰萍蓬草即今水粟也其子如粟如蓬子也俗人呼水粟包又雲水栗子言其根味也或作水笠

 

陳藏器(진장기)拾遺(습유)記載(기재)萍蓬草(평봉초)라는 것은 지금의 水粟(수속)을 이른 것이다. ()()과 같고, 蓬子(봉자)와 같은 것으로 俗間(속간)에서는 이것을 水粟包(수속포)라고 呼名(호명)하였다. 水栗子(수속자)라는 것은 그 ()()를 말한 것이다. 혹은 水笠(수립)이라고 쓰기도 한다.

 

 

集解

 

藏器曰萍蓬草生南方池澤葉大如荇花亦黃未開時狀如算袋其根如藕飢年可以當穀

 

時珍曰水粟三月出水莖大如指葉似荇葉而大徑四五寸初生如荷葉七月開黃花結實狀如角黍長二寸許內有細子一包如罌粟澤農采之洗擦去皮蒸曝舂取米作粥飯食之其根大如栗亦如雞頭子根儉年人亦食之作藕香味如栗子昔楚王渡江得萍實大如鬥赤如日食之甜如蜜者蓋此類也若水萍安得有實耶四月採莖葉取汁煮硫黃能拒火又段公路北戶錄有睡蓮亦此類也其葉如荇而大其花布葉數重當夏晝開花夜縮入水晝複出也

 

 

 

氣味

 

無毒

 

主治

 

助脾厚腸令人不飢時珍)。

 

()()하고 ()()하며, 사람들로 하여금 不飢(불기)하게 한다.

 

 

 

氣味

 

無毒

 

 

主治

 

煮食補虛益氣力久食不飢厚腸胃藏器)。

 

煮食(자식)하면 補虛(보허)하고, 氣力(기력)()한다. 久食(구식)하면 不飢(불기)하고 腸胃(장위)()하게 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채(蓴菜)[본초강목]  (0) 2023.09.10
연우(蓮藕)[본초강목]  (1) 2023.09.09
마치현(馬齒莧)[본초강목]  (0) 2023.09.09
쇄양(鎖陽)[본초강목]  (0) 2023.09.09
양자목(椋子木)[본초강목]  (0)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