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맥(瞿麥)[본초강목]

2023. 8. 23. 01:30[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구맥(瞿麥)[본초강목]

 

 

^^^^^^^^^^^^^^^^^^^^^^^^^^^^^^^^^^^^^^^^^^^^^^^^^^^^^^^^^^^^^^^^^^^^^^^^^^^^

 

瞿麥

 

(《本經中品

 

釋名

 

蘧麥(《爾雅》)巨句麥(《本經》)天菊(《爾雅》)大蘭(《別錄》)石竹(《日華》)南天竺草(《綱目》)。

 

弘景曰子頗似麥故名瞿麥

 

()()과 유사하여 瞿麥(구맥)이라고 한다.

 

時珍曰按陸佃解韓詩外傳生於兩旁謂之瞿此麥之穗旁生故也。《爾雅作遽有蘧

 

살펴보면 陸佃(육전)韓詩外傳(한시외전)兩旁(양방)에 생기는 것을 ()라고 한다. ()은 이삭이 旁生(방생)하는 까닭에 붙은 ()이다.”라고 되어 있다. 爾雅(이아)에는 ()라고 記書(기서)한다.

 

日華本草一名燕麥一名杜姥草者誤矣燕麥即雀麥雀瞿二字相近傳寫之訛爾

 

日華本草((일화본초)一名(일명) 燕麥(연맥), 一名(일명) 杜姥草(두모초)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燕麥(연맥), 雀麥(작맥)으로서 ()()二字(이자)는 비슷하므로 傳寫(전사)할 때에 訛生(와생)된 것이다.

 

 

集解

 

別錄瞿麥生太山山穀立秋采實陰乾

 

弘景曰今出近道一莖生細葉花紅紫赤色可愛合子葉刈取之子頗似麥子有兩種一種微大花邊有叉丫未知何者是也今市人皆用小者複一種葉廣相似而有毛花晚而甚赤

 

頌曰今處處有之苗高一尺以來葉尖小青色根紫黑色形如細蔓荊花紅紫赤色亦似映山紅二月至五月開七月結實作穗子頗似麥河陽河中府出者苗可用淮甸出者根細村民取作刷帚。《爾雅謂之大菊,《廣雅謂之茈萎是也

 

時珍曰石竹葉似地膚葉而尖小又似初生小竹葉而細窄其莖纖細有節高尺餘梢間開花田野生者花大如錢紅紫色人家栽者花稍小而嫵媚有紅白粉紅紫赤斑爛數色俗呼為洛陽花結實如燕麥內有小黑子其嫩苗炸熟水淘過可食

 

 

 

 

修治

 

雷斅曰凡使只用蕊殼不用莖葉若一時同使即空心令人氣噎小便不禁也用時以 䈽竹瀝浸一伏時漉曬

 

이것을 使用(사용)할 때는 단지 蕊殼(예각)使用(사용)한다. 莖葉(경엽)을 써서는 안 된다. 만일 그것을 同時(동시)使用(사용)하면 空心(공심)氣噎(기일)하여 小便(소변)不禁(불금)하게 된다. 使用(사용)할 때에는 䈽竹瀝(근죽력)에 한동안 담갔다가 걸러서 曬乾(쇄건)한 후에 써야 한다.

 

 

氣味

 

無毒

 

別錄權曰

之才曰蓑草牡丹為之使惡螵蛸伏丹砂

 

蓑草(사초), 牡丹(모단)使()가 된다. 螵蛸(표소)()하고, 丹砂(단사)()한다.

 

主治

 

關格諸癃結小便不通出刺決癰腫明目去翳破胎墮子下閉血(《本經》)。

 

關格(관격), 諸癃結(제륭결), 小便不通(소변불통), ()()하고, 癰腫(옹종)()하며, 明目去翳(명목거예)하고 ()()하고 ()()하며, 閉血(폐혈)()한다.

 

養腎氣逐膀胱邪逆止霍亂長毛發(《別錄》)。

 

腎氣(신기)()하고 膀胱(방광)邪逆(사역)()하며, 霍亂(곽란)을 멎게 하고, 毛髮(모발)이 길어진다.

 

 

主五淋, 月經不通, 破血塊, 排膿(《大明》)。

 

五淋(오림), 月經不通(월경불통)主效(주효)가 있으며, 血塊(혈괴)()하고 排膿(배농)한다.

 

 

 

 

主治

 

痔瘻並瀉血作湯粥食又治小兒蛔蟲及丹石藥發並眼目腫痛及腫毒搗敷治浸淫瘡並婦人陰瘡大明)。

 

痔瘻(치루) 瀉血(사혈)에는 湯粥(탕죽)을 만들어 먹는다. 小兒(소아)蛔蟲(회충) 丹石藥(단석약)發動(발동) 또한 眼目(안목)腫痛(종통) 腫毒(종독)()한다. 塗傅(도부)하면 浸淫瘡(침음창)을 비롯한 婦人(부인)陰瘡(음창)()한다.

 

 

發明

 

杲曰瞿麥利小便為君主之用

 

瞿麥(구맥)小便(소변)()하는데 君主(군주)와 같은 역할을 한다.

 

 

頌曰古今方通心經利小腸為最要

 

古今(고금)()心經(심경)()하고 小腸(소장)()하는 最要(최요)()으로 되어 있다.

 

 

宗奭曰八正散用瞿麥今人為至要藥若心經雖有熱而小腸虛者服之則心熱未退而小腸別作病矣蓋小腸與心為傳送故用此入小腸本草並不治心熱若心無大熱止治其心或製之不盡當求其屬以衰之可也

 

八正散(팔정산)瞿麥(구맥)使用(사용)하였으며, 이미 一般(일반)에게 至要(지요)()으로 되어 있으나 만일 心經(심경)()이 있다 하더라도 小腸(소장)()한 사람이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心熱(심열)이 물러가기 전에 小腸(소장)에 다른 ()이 생기고 만다. 대개 小腸(소장)()傳送(전송)을 이루는 까닭에 이것을 쓰게 되면 小腸(소장)에 들어가는 것이다. 本草(본초)에는 어느 쪽도 心熱(심열)治療(치료)한다고 한 바는 없다. 만일 ()大熱(대열)이 없다면 그 ()()하는 것으로 끝이 나야 하며 혹은 完全(완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類屬(유속)求得(구득)해서 그것으로 이를 補充(보충)만 하면 되는 것이다.

 

時珍曰近古方家治產難有石竹花湯治九孔出血有南天竺飲皆取其破血利竅也

 

近古(근고)方家(방가)에서는 産難(산난)治療(치료)하는 ()石竹花湯(석죽화탕)이 있으며, 九孔出血(구공출혈)治療(치료)하는 ()으로는 南天竺飲(남천축음)이 있다. 어느 쪽도 이 ()破血(파혈)하고 利竅(이규)하는 ()應用(응용)한 것이다.

 

 

附方舊六新五

 

小便石淋宜破血瞿麥子搗為末酒服方寸匕日三服三日當下石。(《外台秘要》)

 

小便不利有水氣栝蔞瞿麥丸主之瞿麥二錢半栝蔞根二兩大附子一個茯苓山芋各三兩為末蜜和丸梧子大一服三丸日三未知益至七八丸以小便利腹中溫為知也。(張仲景金匱方》)

 

下焦結熱小便淋閉或有血出或大小便出血瞿麥穗一兩甘草七錢五分山梔子仁半兩為末每服七錢連須蔥頭七個燈心五十莖生薑五片水二碗煎至七分時時溫服名立效散。(《千金方》)

 

子死腹中或產經數日不下以瞿麥煮濃汁服之。(《千金方》)

 

九竅出血服藥不止者南天竺草即瞿麥拇指大一把山梔子仁三十個生薑一塊甘草半兩燈草一小把大棗五枚水煎服。(《聖濟總錄》)

 

目赤腫痛浸淫等瘡瞿麥炒黃為末以鵝涎調塗 頭即開或搗汁塗之。(《普濟方》)

 

瞇目生翳其物不出者生膚翳者瞿麥乾薑為末井華水調服二錢日二服。(《聖惠方》)

 

魚臍疔瘡瞿麥燒灰和油敷之甚佳。(崔氏方

 

咽喉骨哽瞿麥為末水服方寸匕日二。(《外台秘要》)

 

竹木入肉瞿麥為末水服方寸匕或煮汁日飲三次。(《梅師方》)

 

箭刀在肉及咽喉胸膈諸隱處不出酒服瞿麥末方寸匕日三服。(《千金方》)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