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8. 22. 23:4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번루(繁縷)[본초강목]
^^^^^^^^^^^^^^^^^^^^^^^^^^^^^^^^^^^^^^^^^^^^^^^^^^^^^^^^^^^^^^^^^^^^^^^^^
繁縷
(《別錄》下品)
【釋名】
䕅縷(《爾雅》)蔜、 藔縷(郭璞)、滋草(《千金》)、鵝腸菜。
時珍曰︰此草莖蔓甚繁,中有一縷,故名。俗呼鵝兒腸菜,象形也。易於滋長,故曰滋草。
이 草(초)는 莖(경)의 蔓(만)이 繁茂(번무)하고, 속에 一縷(일루)가 있다. 그래서 붙여진 이름인 것이다. 俗稱(속칭), 鵝腸菜(아장채)라 부르는 것은 그 모양의 形容(형용)이다. 滋長(자장)하기 쉽기 때문에 紫草(자초)라고 한다.
《古樂府》云︰為樂當及時,何能待來滋。滋乃草名,即此也。
古樂府(고악부)에 “藥(약)을 行爲(행위)할 때가 이른 것 같다. 어찌 굳이 來玆(내자)를 기다리겠는가.” 라고 한 滋(자)란 草(초)의 이름으로 이 草(초)를 두고 한 말인 것이다.
【集解】
《別錄》曰︰繁縷,五月五日日中采,乾用。
恭曰︰此即是雞腸也。多生濕地坑渠之側。流俗通謂雞腸,雅士總名繁縷。
詵曰︰繁縷即藤也。又恐白軟草是。
保升曰︰葉青花白,采苗入藥。
頌曰︰即雞腸也。南中多有之,生於田野間。近汴下濕地亦或有之。葉似荇菜而小。夏秋間生小白黃花。其莖梗作蔓,斷之有絲縷。又細而中空,似雞腸,因得此名。《本草》繁縷、雞腸作兩條,蘇恭以為一物。
謹按︰郭璞注《爾雅》云︰ 縷一名雞腸草,實一物也。今南北所生,或肥瘠不同,故人疑為二物。而葛洪《肘後方》治卒淋云︰用雞腸及繁縷。如此又似是二物。其用大概主血,故人宜食之。
時珍曰︰繁縷即鵝腸,非雞腸也。下濕地極多。正月生苗,葉大如指頭。細莖引蔓,斷之中空,有一縷如絲。作蔬甘脆。三月以後漸老。開細瓣白花。結小實大如稗粒,中有細子如葶藶子。吳瑞《本草》謂黃花者為繁縷,白花者為雞腸,亦不然。二物蓋相似。但鵝腸味甘,莖空有縷,花白色;雞腸味微苦,咀之涎滑,莖中無縷,色微紫,花亦紫色,以此為別。
【氣味】
酸,平,無毒。
權曰︰苦。
時珍曰︰甘,微鹹。
詵曰︰溫。合䱉鮓
思邈曰︰黃帝云︰繁縷合䱉鮓食,發消渴,令人多忘。
䱉鮓(저자)에 合(합)하여 먹으면 消渴(소갈)을 發(발)하고, 사람으로 하여금 대개 健忘(건망)하게 한다.
【主治】
積年惡瘡、痔不愈(《別錄》)。
積年(적년)의 惡氣(악기), 痔(치)가 不治(불치)되는 者(자)
破血,下乳汁,產婦宜食之。產後腹有塊痛,以酒炒絞汁溫服。又曝乾為末,醋糊和丸,空腹服五十丸,取下惡血(藏器)。
破血(파혈), 下乳汁(하유즙)한다. 産婦(산부)가 먹으면 좋다. 産後(산후) 腹(복)에 塊痛(괴통)이 이Tsms 것에는 酒炒(주초)하여 汁(즙)을 짜서 溫服(온복)한다. 또한 曝乾作末(폭건작말)하여 醋糊(초호)로 作丸(작환)하여 空腹(공복)에 五十丸(오십환)을 服用(복용)하면 惡血(악혈)을 取下(취하)한다.
【發明】
弘景曰︰此菜五月五日采,曝乾,燒作屑,療雜瘡有效。亦雜百草服之,不止此一種也。
이 採(채)는 五月(오월)五日(오일)에 採收(채수)하여 曝乾燒屑(폭건소설)한다. 雜瘡(잡창)을 療(요)하는데 有效(유효)하다. 百草(백초)에 섞어 服用(복용)한다. 단지 이 一種(일종)만은 아니다.
詵曰︰治惡瘡有神效之功,搗汁塗之。作菜食,益人。須五月五日者乃驗。
惡瘡(악창)을 治(치)하는 데 神效(신효)가 있다. 搗汁(도즙)을 塗布(도포)한다. 菜(채)로 만들어 먹으면 人體(인체)을 補益(보익)한다. 五月(오월) 五日(오일)에 採收(채수)한 것에 限(한)하여 效驗(효험)이 있다.
又曰︰能去惡血。不可久食,恐血盡。
곧잘 惡血(악혈)을 除去(제거)한다. 久食(구식)해서는 안 된다. 盡血(진혈)할 憂慮(우려)가 있다.
【附方】
舊二,新二。
食治烏髭︰繁縷為齏,久久食之,能烏髭髮。(《聖惠方》)。
小便卒淋︰繁縷草滿兩手,水煮,常常飲之。(《范汪東陽方》)。
產婦有塊作痛︰繁縷方見上。
丈夫陰瘡,莖及頭潰爛,痛不可忍,久不瘥者。以五月五日繁縷燒焦五分,入新出蚯蚓屎二分,入少水,和研作餅,貼之。乾即易。禁酒、面、五辛及熱食等物。
甚效。(《扁鵲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수유(山茱萸)[본초강목] (2) | 2023.08.31 |
---|---|
구맥(瞿麥)[본초강목] (1) | 2023.08.23 |
왕불류행(王不留行)[본초강목] (0) | 2023.08.09 |
신근초(伸筋草)[본초강목] 석송(石松) (0) | 2023.08.08 |
강황(薑黃)[본초강목] (0) | 2023.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