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핵인(李核仁)[본초강목]

2022. 11. 29. 17:21[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이핵인(李核仁)[본초강목]

 

 

^^^^^^^^^^^^^^^^^^^^^^^^^^^^^^^^^^^^^^^^^^^^^^^^^^^^^^^^^^^^^^^^^^^

 

 

(《別錄下品

 

釋名

 

嘉慶子

 

時珍曰羅願爾雅翼李乃木之多子者故字從木竊謂木之多子者多矣何獨李稱木子耶

 

羅願(나원)爾雅翼(이아익)에서는 ()()으로서 ()가 많은 것이다. 그래서 ()()()에 따른다.”라고 하였는데 생각하건데 ()으로서 ()가 많은 것은 많이 있다. 어찌 唯獨(유독) ()만을 木子(목자)라고 해야 할 까닭이 있겠는가?

 

 

︰《素問李味酸屬肝東方之果也則李於五果屬木故得專稱爾今人呼干李為嘉慶子

 

素問(소문)()味酸(미산)하고, ()()한다. 東方(동방)()이다.” 라고 하였다. 이것을 보면 ()五果(오과) 중에서 ()에 속하기 때문에 그 名稱(명칭)을 얻은 것이다. 오늘날 一般的(일반적)으로 乾李(건이)嘉慶子(가경자)라고 한다.

 

 

韋述兩京記東都嘉慶坊有美李人稱為嘉慶子久之稱謂既熟不複知其所自矣梵書名李曰居陵迦

 

韋述(위술)兩京記(양경기)에는 東部(동부)嘉慶坊(가경방)甘美(감미)()가 있었다.” 라고 하였다. 世間(세간)에서 그것을 嘉慶子(가경자)라 하였고, 稱號(칭호)가 오랜 歲月(세월)이 지나는 동안에 習慣(습관)이 된 나머지 出處(출처)를 전혀 알수 없게 된 것이다. 梵書(범서)에는 ()의 이름을 居陵迦(거릉가)라고 한다.

 

 

 

集解

 

弘景曰李類甚多京口有麥李麥秀時熟小而肥甜核不入藥姑熟有南居李解核如杏子形者入藥為佳

 

志曰李有綠李黃李紫李牛李水李並甘美堪食核不中用有野李味苦核仁入藥

 

頌曰李處處有之郭璞注爾雅》︰乃無實李也一名趙李音磋),乃接慮李也一名麥李細熟有溝道與麥同熟乃赤李也陶氏所謂南居李今不複識醫家但用核若杏核者

 

宗奭曰李樹大者高丈許一種御李子大如櫻桃紅黃色先諸李熟醫家用者亦少

 

時珍曰綠葉白花樹能耐久其種近百其子大者如杯如卵小者如彈如櫻其味有甘澀數種其色有青縹綺胭脂青皮紫灰之殊

其形有牛心馬肝柰李杏李水李離核合核無核匾縫之異其產有武陵房陵諸李早則麥李御李四月熟遲則晚李冬李十月十一月熟又有季春李冬花春實也王禎農書北方一種御黃李形大而肉濃核小甘香而美江南建寧一種均亭李紫而肥大味甘如蜜有擘李熟則自裂有糕李肥粘如糕皆李之嘉美者也

今人用鹽曝糖藏蜜煎為果惟曝乾白李有益其法夏李色黃時摘之以鹽 去汁合鹽晒萎去核複晒乾荐酒作 皆佳

 

 

 

氣味

 

微溫無毒

 

時珍曰李味甘酸其苦澀者不可食不沉水者有毒不可食

 

()()甘酸(감산)하다. 苦濇(고색)한 것은 먹을 수 없다. 물에 ()하지 않는 것은 有毒(유독)하기 때문에 먹어서는 안 된다.

 

 

大明曰多食令人臚脹發虛熱

 

多食(다식)하면 사람을 臚脹(여창)하게 하고, 虛熱(허열)이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詵曰臨水食之令發痰瘧不可合雀肉食合蜜食損五臟

 

水邊(수변)에서 먹으면 痰瘧(담학)()하게 한다. 雀肉(작육)同食(동식)해서는 안 된다. ()同食(동식)하면 五臟(오장)損傷(손상)된다.

 

 

宗奭曰不可合漿水食發霍亂澀氣而然服朮人忌之

 

漿水(장수)同食(동식)하면 안 된다. 霍亂(곽란)을 일으키고 澁氣(삽기)한다. 그래서 ()服用(복용)하는 사람을 이것을 ()한다.

 

 

 

主治

 

暴食去痼熱調中(《別錄》)。

 

暴食(폭식)하면 痼熱(고열)()하고 調中(조중)한다.

 

 

去骨節間勞熱孟詵)。

 

骨節間(골절간)勞熱(노열)除去(제거)한다.

 

 

肝病宜食之思邈)。

 

肝病(간병)에는 이것을 먹는 것이 좋다.

 

 

 

核仁

 

 

氣味

 

無毒

 

 

主治

 

僵仆 踒折瘀血骨痛(《別錄》)。

 

僵仆(강부), 踒折(위절)瘀血(어혈), 骨痛(골통)

 

 

令人好顏色吳普)。

 

顔色(안색)을 좋게 한다.

 

 

治女子少腹腫滿利小腸下水氣除浮腫甄權)。

 

婦人(부인)少腹腫滿(소복종만)()하고, 小腸(소장)通利(통리)하며, 水氣(수기)()하고, 浮腫(부종)除去(제거)한다.

 

 

治面䵟 黑子蘇頌)。

 

面䵟(면간), 黑子(흑자)()한다.

 

 

 

附方

 

舊一新一

 

女人面 用李核仁去皮細研以雞子白和如稀餳塗之至旦以漿水洗去後塗胡粉

不過五六日效忌見風。(崔元亮海上方》)。

 

蠍蠆螫痛苦李仁嚼塗之。(《古今錄驗》)。

 

 

根白皮

 

修治

 

時珍曰李根皮取東行者刮去皺皮炙黃入藥用。《別錄不言用何等李根亦不言其味藥性論入藥用苦李根皮味鹹而張仲景治奔豚氣奔豚湯中用甘李根白皮則甘苦二種皆可用歟

 

李根皮(이근피)東行(동행)인 것을 ()하고, 皺皮(추피)刮去(괄거)하여 黃炙(황자)하고, 藥用(약용)에 넣는다. 別錄(별록)에는 어떤 ()李根(이근)을 사용하는지 指定(지정)하지 않았고, 또한 그 ()에 대한 說明(설명)도 하지 않았는데 다만 药性论(약성론)()에 넣는 것은 苦李根皮(고이근피)를 사용한다. ()()하다.” 라고 하였다. 그러나 張仲景(장중경)奔豚氣(분돈기)()하는 奔豚湯中(분돈탕중)甘李根白皮(감이근백피)를 사용한 것을 보면 (), ()二種中(이종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氣味

 

大寒無毒

 

大明曰無毒

 

 

主治

 

消渴止心煩逆奔豚氣(《別錄》)。

 

消渴(소갈), 心煩逆(심번역), 奔豚氣(분돈기)를 멎게 한다.

 

 

治瘡吳普)。

 

治瘡(치창)한다.

 

 

煎水含漱治齒痛弘景)。

 

水煎(수전)하여 含漱(함수)하면 齒痛(치통)()한다.

 

 

煎汁飲主赤白痢大明)。

 

煎服(전복)하면 赤白痢(적백리)主效(주효)하다.

 

 

炙黃煎湯日再飲之治女人卒赤白下有驗孟詵)。

 

 

 

黃炙煎湯(황자전탕)하여 一日(일일) 泥灰(이회) 服用(복용)하면 婦人(부인)卒然(졸연)赤白下(적백하)()하는 데 效驗(효험)이 있다.

 

 

治小兒暴熱解丹毒時珍)。

 

小兒(소아)暴熱(폭열)()하고 丹毒(단독)解除(해제)한다.

 

 

苦李根皮味鹹治脚下氣主熱毒煩躁煮汁服止消渴甄權)。

 

苦李根皮(고이근피)()()脚下氣(각하기)()하고, 熱毒煩燥(열독번조)主效(주효)가 있다. 煮汁(자즙)服用(복용)하면 消渴(소갈)을 멎게 한다.

 

 

 

 

附方

 

新二

 

小兒丹毒從兩股走及陰頭用李根燒為末以田中流水和塗之。(《千金》)。

咽喉卒塞無藥處以皂角末吹鼻取嚏仍以李樹近根皮磨水塗喉外良驗。(《菽園雜記》)。

 

 

氣味

 

無毒

 

主治

 

令人面澤去粉滓䵟䵳時珍)。

 

顔面(안면)光宅(광택)있게 하고, 粉滓䵟䵳(분재간회)除去(제거)한다.

 

 

 

附方

 

新一

 

面黑粉滓用李花梨花櫻桃花白蜀葵花白蓮花紅蓮花旋覆花秦椒各六兩桃花木瓜花丁香沉香青木香鐘乳粉各三兩珍珠玉屑各二兩蜀水花一兩大豆末七合為細末瓶收每日盥 用洗手面百日光潔如玉也。(《普濟方》)。

 

 

 

 

氣味

 

無毒

 

 

主治

 

小兒壯熱痁疾驚癇煎湯浴之大明)。

 

小兒(소아)壯熱(장열), 痁疾(점질), 驚癎(경간)에는 煎湯(전탕)하여 ()하는 것이 좋다.

 

 

 

附方

 

新一

 

惡刺瘡痛李葉棗葉搗汁點之。(《千金》)。

 

 

樹膠

 

氣味

 

無毒

 

主治

 

目翳定痛消腫時珍)。

 

目翳(목예), 定痛消腫(정통소종)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사(山楂)[본초강목]  (1) 2023.01.21
사간(射幹)[본초강목]  (2) 2022.12.22
화목피(桦木皮)[본초강목]  (1) 2022.11.06
급성자(急性子)[본초강목]  (1) 2022.11.06
식염(食鹽)[본초강목]  (1) 202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