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2. 22. 02:16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사간(射幹)[본초강목]
^^^^^^^^^^^^^^^^^^^^^^^^^^^^^^^^^^^^^^^^^^^^^^^^^^^^^^^^^^^^^^^^^^^^^^^^^^^
射幹
(《本經》下品)
【釋名】
烏扇(《本經》)烏翣(《別錄》)烏吹(《別錄》)烏蒲(《本經》)鳳翼 (《拾遺》)鬼扇(《土宿》)扁竹(《綱目》)仙人掌(《土宿》)野萱花(《綱目》)草薑(《別錄》)黃遠(《吳普》)
弘景曰︰射幹方書多音夜。
射幹(사간)은 方書(방서)에는 많이들 射(사)를 夜(야)로 發音(발음)하고 있다.
頌曰︰射幹之形,莖梗疏長,正如射人長竿之狀,得名由此爾。而陶氏以夜音為疑,蓋古字音多通呼,若漢官仆射,主射事,而亦音夜,非有別義也。
射幹(사간)은 그 形狀(형상)이 莖梗(경경)이 흩어져 있고, 길며 마치 射(사)하는 矢(시)의 長竿(장간)과 같다. 名稱(명칭)은 그 形狀(형상)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陶氏(도씨)는 夜(야)의 發音(발음)을 疑問(의문)시 하고 있으나 생각하건대 古代(고대)에는 字音(자음)을 많이 通用(통용)해서 發音(발음)한 것이다. 漢(한)나라 時代(시대)의 官名(관명) 僕射(복사)는 射(사)에 關(관)한 事務(사무)를 취급한 것인데 역시 音(음)을 夜(야)로 發音(발음)하였다. 格別意義(격별의의)가 있는 것이 아니다.
時珍曰︰其葉叢生,橫鋪一面,如烏翅及扇之狀,故有烏扇、烏翣、鳳翼、鬼扇、仙人掌諸名。俗呼扁竹,謂其葉扁生而根如竹也。根葉又如蠻薑,故曰草薑。翣音所甲切,扇也。
【集解】
《別錄》曰︰射幹生南陽山穀田野。三月三日采根,陰乾。
弘景曰︰此是烏 根,黃色,庭台多種之。人言其葉是鳶尾,而複有鳶頭,此若相似爾,恐非烏 也。又別有射幹,相似而花白莖長,似射人之執竿者。故阮公詩雲︰射幹臨層城。 此不入藥用。
恭曰︰鳶尾葉都似射幹,而花紫碧色,不抽高莖,根似高良薑而肉白,名鳶頭。
保升曰︰射幹高二、三尺,花黃實黑。根多須,皮黃黑,肉黃赤。所在皆有,二月、八月採根,去皮日乾。
藏器曰︰射幹、鳶尾二物相似,人多不分。射幹即人間所種為花卉名鳳翼者,葉如鳥翅,秋生紅花,赤點。鳶尾亦人間所種,苗低下於射幹,狀如鳶尾,夏生紫碧花者是也。
大明曰︰射幹根潤,形似高良薑大小,赤黃色淡硬,五六七八月採。
頌曰︰今在處有之。人家種之,春生苗,高一、二尺。葉大類蠻薑,而狹長橫張,疏如翅羽 狀,故名烏 。葉中抽莖,似萱草莖而強硬。六月開花,黃紅色,瓣上有細紋。秋 中子黑色。一說︰射幹多生山崖之間,其莖雖細小,亦類木。故《荀子》雲︰西方有木,名曰射幹,莖長四寸,生於高山之上,是也。陶弘景所說花白者,自是射幹之類。
震亨曰︰根為射幹,葉為烏 ,紫花者是;紅花者非。
機曰︰按諸注則射幹非一種,有花白者,花黃者,花紫者,花紅者。丹溪獨取紫花者,必曾試有驗也。
時珍曰︰射幹即今扁竹也。今人所種,多是紫花者,呼為紫蝴蝶。其花三、四月開,六出,大如萱花。結房大如拇指,頗似泡桐子,一房四隔,一隔十餘子。子大如胡椒而色紫,極硬,咬之不破。七月始枯。陶弘景謂射幹、鳶尾是一種。蘇恭、陳藏器謂紫碧花者是鳶尾,紅花者是射幹。韓保升謂黃花者是射幹。蘇頌謂花紅黃者是射幹,白花者亦其類。朱震亨謂紫花者是射幹,紅花者非。各執一說,何以憑依?謹按︰張揖《廣雅》雲︰鳶尾,射幹也。
《易通卦驗》雲︰冬至射幹生。《土宿真君本草如之,青綠色。一種紫花,一種黃花,一種碧花。多生江南、湖廣、川、浙平陸間。八月取汁,煮雄黃,伏雌黃,製丹砂,能拒火。據此則鳶尾、射幹本是一類,但花色不同。正如牡丹、芍藥、菊花之類,其色各異,皆是同屬也。大抵入藥功不相遠。
藏器曰︰射幹之名有三︰佛經射幹貂KT ,此是惡獸,似青黃狗,食人,能緣木,阮 公雲︰射幹臨層城者,是樹,殊有高碩者,本草射幹是草,即今人所種者也。
根
【修治】
雷斅曰︰凡采根,先以米泔水浸一宿,漉出,然後以䈽竹葉煮之,從午至亥,日乾用。
대개 根(근)을 採取(채취)하면 우선 米泔水(미감수)에 一宿(일숙)하고 漉出(녹출)해서 然後(연후)에 䈽竹葉(근죽엽)을 使用(사용)하여 正午(정오)에서 午後(오후) 十時(십시)까지 煮(자)하고 日光(일광)에다 乾燥(건조)하여 使用(사용)한다.
【氣味】
苦,平,有毒。
《別錄》曰︰微溫。久服令人虛。
保升曰︰微寒。
權曰︰有小毒。
元素曰︰苦,陽中陰也。
時珍曰︰寒。多服瀉人。
【主治】
咳逆上氣,喉痺咽痛,不得消息,散結氣,腹中邪逆,食飲大熱(《本經》)。
咳逆上氣(해역상기), 喉痺咽痛(후비인통)으로 消息不能(소식불능)한 者(자)의 結氣(결기)를 散(산)한다. 腹中(복중)의 邪逆(사역), 食(식), 飮(음)의 大熱(대열)
療老血在心脾間,咳唾,言語氣臭,散胸中熱氣(《別錄》)。
老血(노혈)이 心(심), 脾間(비간)에 있어서 咳唾(해타)하고 말을 할때 口氣(구기)의 臭(취)한 것을 治療(치료)하며, 胸中(흉중)의 熱氣(열기)를 散(산)한다.
苦酒摩塗毒腫(弘景)。
苦酒(고주)에 갈아서 毒種(독종)에 바른다.
治疰氣,消瘀血,通女人月閉 消痰,破症結,胸膈滿腹脹,氣喘痃癖,開胃下食,鎮肝明目(大明)。
疰氣(주기)를 治(치)하고 瘀血(어혈)을 消(소)하며, 婦人(부인)의 月經廢止(월경폐지)를 通(통)하고, 消痰(소담)하고 癥結(징결), 胸腹滿(흉복만), 腹脹(복창), 氣喘痃癖(기천현벽)을 破(파)한다. 開胃下食(개위하식)하고, 肝(간)을 鎭(진)하며, 明目(명목)한다.
治肺氣喉痺為佳(宗奭 )。
肺氣(폐기), 喉痺(후비)를 治(치)하는데 좋다.
去胃中癰瘡(元素)。
胃中(위중)의 癰瘡(옹창)을 去(거)한다.
利積痰, 疝毒 消結核(震亨)。
積痰(적담), 疝毒(산독)을 利(이)하고 結核(결핵)을 消(소)한다.
下實火, 利大腸, 治瘧母(時珍)。
實火(실화)를 내리고, 大腸(대장)을 利(이)하며, 瘧母(학모)를 治(치)한다.
【發明】
震亨曰︰射幹屬金,有木與火,行太陰、厥陰之積痰,使結核自消甚捷。又治便毒,此足厥陰濕氣,因疲勞而發。取射幹三寸,與生薑同煎,食前服,利三兩行,甚效。
射幹(사간)은 金(금)에 屬(속)하고 木(목)과 火(화)를 가진다. 太陰(태음), 厥陰(궐음)의 積痰(적담)을 行利(행리)하고 自消(자소)시키는 것이 빠르다. 또한 便毒(변독)을 治(치)한다. 이것은 足厥陰(족궐음)의 濕氣(습기)로서 疲勞(피로) 때문에 發病(발병)하는 것이다. 射幹(사간) 三寸(삼촌)으로 生薑(생강)과 함께 달여서 食前(식전)에 服用(복용)한다. 二(이)~三回(삼회) 便痛(변통)이 있지만, 甚效(심효)가 있다.
時珍曰︰射幹能降火,故古方治喉痺咽痛為要藥。孫真人《千金方》,治喉痺有烏翣膏。張仲景《金匱玉函方》,治咳而上氣,喉中作水雞聲,有射幹麻黃湯。
射幹(사간)은 能(능)히 火(화)를 下(하)한다. 그래서 古方(고방)에서는 喉痹咽痛(후비인통)을 治療(치료)하는 要藥(요약)으로서 孫真人(손진인)의 千金方(천금방)에는 喉痺(후비)를 治(치)하는 烏翣膏(오삽고)가 있고, 張仲景(장중경)의 金匱玉函方(금궤옥함방)에는 核(핵)으로 上氣(상기)되어서 喉中(후중)에 水鷄(수계)와 같은 溪聲(계성)을 내는 것을 治(치)하는 射幹麻黃湯(사간마황탕)이 있다.
又治瘧母鱉甲煎丸,亦用烏扇燒過,皆取其降厥陰相火也。火降則血散腫消,而痰結自解,癥瘕自除矣。
또 瘧母(학모)를 治(치)하는 鼈甲煎丸(별갑전환)에도 역시 烏扇(오선)을 구운 것을 使用(사용)하고 있다. 이 모두가 厥陰(궐음)의 相火(상화)를 내리는 點(점)을 취하는 것으로 火(화)가 내리면 散血(산혈)되어 種(종)이 사라지고 痰結(담결)은 스스로 풀리며, 癥瘕(징가)는 절로 除去(제거)되고 만다.
【附方】舊二,新八。
咽喉腫痛︰射幹花根、山豆根、陰乾為末,吹之如神。(《袖珍方》)
傷寒咽閉腫痛︰用生射幹、豬脂各四兩,合煎令微焦,去滓,每噙棗許取瘥。(龐安常
《傷寒論》)
喉痺不通,漿水不入︰《外台秘要》︰用射幹一片,含咽汁良。《醫方大成》︰用扁竹新根擂汁咽之,大腑動即解。或醋研汁噙,引涎出亦妙。《便民方》︰用紫蝴蝶根一錢,黃芩、生甘草、桔梗各五分,為末,水調頓服,立愈。名奪命散。 二便不通,諸藥不效︰紫花扁竹根,生水邊者佳,研汁一盞服,即通。(《普濟》)
水蠱 腹大,動搖水聲,皮膚黑︰用鬼扇根搗汁,服一杯,水即下。(《肘後方》)
陰疝腫刺,發時腫痛如刺︰用生射幹搗汁與服取利。亦可丸服。(《肘後方》)
乳癰初腫︰扁竹根如僵蠶者,同萱草根為末,蜜調敷之,神效。(《永類方》)
中射工毒,生瘡者。烏翣、升麻各二兩,水三升,煎二升,溫服。以滓敷瘡上。(姚僧 坦《集驗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관화(鷄冠花)[본초강목] (0) | 2023.02.02 |
---|---|
산사(山楂)[본초강목] (1) | 2023.01.21 |
이핵인(李核仁)[본초강목] (1) | 2022.11.29 |
화목피(桦木皮)[본초강목] (1) | 2022.11.06 |
급성자(急性子)[본초강목] (1) | 202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