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미(粳米)/도아(稻芽)[동의보감]

2022. 9. 17. 00:54[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갱미(粳米)/도아(稻芽)[동의보감]

 

 

 

 

/갱미(粳米)

 

 

이명 : [나락]

학명 : Oryza sativa L. var. sativa

분류군 : Gramineae(벼과)

일명 : イネ(: Ine), とうか(; Touka

영명 : Rice. Paddy-field rice. Lowland rice. Swamp rice. Upland rice

漢名 : ,

 

잎은 가늘고 길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면서 뾰족하게 되고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거칠하며 길이 30cm로서 하부는 엽초가 되어 줄기를 싼다. 엽설은 2개로 갈라진다.

 

원추화서는 꽃이 필 때는 곧추서지만 익을 때는 밑으로 처지며 많은 소수가 달리고 소수는 가지에 호생하며 짧은 대가 있고 1개의 꽃으로 된다. 꽃은 7~8월경에 피며 자가수분에 의하여 결실한다. 포영(苞穎)은 퇴화되며 호영(護穎)과 내영(內穎)이 발달하는데, 호영은 장타원형이며 좌우가 편평하고 길이 6mm 가량이며 짧은 털이 있고 까락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비슷하고 수술은 6개이다.

 

줄기

높이 50-100cm이며 뿌리에 가까운 곳에서 가지를 쳐서 포기를 형성하여 자란다.

 

원산지

열대아시아 원산이다.

 

분포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일년초.

크기

높이 50~100cm.

 

 

 

 

 

생육 환경

, 밭에서 재배한다.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이용방안

 

주식작물로 재배하고 있다.

각종 의약품의 부형제(賦形劑), 강유제조(糠油製造)로 쓰인다.

벼의 각부분을 약용한다.

 

粳米(경미) - 벼의 種仁(종인)으로, 75%이상의 전분, 8% 전후의 단백질, 0.5-1%

지방이 함유되어 있다. 補中益氣(보중익기), 健脾和胃(건비화위), 除煩渴(제번갈), 止瀉痢(

사리)의 효능이 있다. 粳米粥(경미죽)은 소변을 ()하고 煩渴(번갈)()하고 腸胃(

)()한다. 炒米湯(초미탕)()補益(보익)하고 除濕(제습)한다.

 

粳米泔) (경미감) - 粳稻 種仁(경도종인-粳米(경미))의 두 번째 搗汁(도즙-쌀뜨물)으로 淸熱凉血(청열양혈), 利小便(이소변)의 효능이 있다. 熱病煩渴(열병번갈), 토혈, 鼻出血(비출혈),

風熱目赤(풍열목적)을 치료한다.

 

稻草(도초) - 벼의 莖葉(경엽)으로, 寬中下氣(관중하기)하고 消食積(소식적)의 효능이 있

. 反胃(반위), 食滯(식체), 水樣性 下痢(수양성 하리), 복통, 소갈, 황달, 白濁(백탁), 痔瘡

(치창), 熱傷(열상)을 치료한다. 牛馬肉積宿食(우마육적숙식), 小兒肉食結滯(소아육식결체), 두복동통을 치료한다.

 

稻穀芒(도곡망) - ()의 과실상의 까끄라기(芒刺(망자))로서, 황달로 신체가 황색이 된 것을 치료한다.

 

穀芽(곡아) - ()의 성숙된 과실을 가공하여 발아시킨 것이다. 전분, 단백질, 지방, diastase, 비타민 B2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補脾(보비), 和中(화중), 消食(소식)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 腸滿(장만), 下痢(하리), 식욕부진을 치료한다.

 

米皮糠(미피강) - 벼의 種皮(종피)로서, 食道狹窄(식도협착), 각기를 치료한다.

 

유사종

 

찰벼 (var.glutinosa Matsum.) : 쌀에 끈기가 있고 포영이 작으며 흑자색이고 전체가 갈자색이다.

산두 (var.terrestris Mak.) : 밭에서 자란다.

 

 

 

 

 

학명 Oryza sativa L.

 

 

1. Oryza formosana Masam. & S.Suzuki

 

국명 벼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나락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북한명 벼

외국명 영문명

Rice

일본명

イネ

 

 

 

Oryza sativa L.

Sp. Pl. 1: 333. 1753 [1 May 1753]

1: 333 1753

Original Data:

Notes: As. tro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

 

Oryza sativa Linn.

 

이명(異名)

 

Oryza formosana Masam. et S. Suzuki

Oryza sativa var. fatua Prain

Oryza denudata Steud.

Oryza mutica Steud.

Oryza marginata Steud.

Oryza pumila Steud.

Oryza sorghoidea Steud.

Oryza pubescens Steud.

Oryza rubribarbis (Desv.) Steud.

Oryza elongata Steud.

Oryza nepalensis G.Don ex Steud.

Oryza sativa var. savannae Körn.

Oryza repens Buch.-Ham. ex Steud.

Oryza segetalis Russell ex Steud.

Oryza sativa var. rubribarbis Desv.

Oryza sativa var. plena Prain

Oryza palustris Salisb.

Oryza perennis Moench

Oryza glutinosa Lour.

Oryza praecox Lour.

Oryza communissima Lour.

Oryza plena (Prain) N.P.Chowdhury

Oryza sativa var. denudata Desv.

Oryza sativa var. glutinosa (Lour.) K?rn.

Oryza sorghoides Desv. ex Steud.

Oryza emarginata Desv. ex Steud.

Oryza sativa f. elongata Kanevs.

 

 

 

一年生稈直立30-100厘米左右葉舌膜質披針形8-25毫米幼時有明顯的葉耳葉片披針形至條狀披針形6-15毫米圓錐花序疏松小穗矩圓形兩側壓扁6-8毫米3小花下方2小花退化僅存極小的外稃而位於一兩性小花之下穎強烈退化在小穗柄的頂端呈半月狀的痕跡退化外稃長3-4毫米兩性小花外稃常具細毛有芒或無芒內稃 3雄蕊6廣泛栽培品種極多爲主要糧食作物之一也用於釀酒制醋提取澱粉等米糠是良好飼料稈葉供造紙和作飼料稈又可搓繩編制器物等

 

 

 

^^^^^^^^^^^^^^^^^^^^^^^^^^^^^^^^^^^^^^^^^^^^^^^^^^^^^^^^^^^^^^^^^^^^^^^^^^^

 

粳米

 

갱미(粳米)

 

 

됴한니性平味甘苦無毒

 

()은 평()하고 미()는 감(), ()하고 무독(無毒)하다.

 

 

平胃氣長肌肉溫中止痢益氣除煩本草

 

위기(胃氣)를 평()하고 기육(肌肉)을 장()하며, 온중(溫中)하고 지리(止痢)하며, 익기(益氣)하고 제번(除煩)한다. [본초].

 


粳硬也堅硬於姎米也入手太陰少陰經氣精皆從米變化而生故字皆從米入門

 

()은 경()하다. 나미(糯米)보다 견경(堅硬)하다. 수태음(手太陰), 소음경(少陰經)에 들어 간다. (), ()은 미()가 변화(變化)하여 생()한 자()이므로 모두 미자(米字)가 들어 있다. [입문].

 


作飯及粥食之稍生則不益脾過熟則佳本草

 

() 및 죽()을 만들어 먹는다. ()것은 비()를 익()할 수 없다. 잘 숙()한 것라야 좋다.[본초].

 


白晩米爲第一早熟米不及也本草

 

만백미(晩白米)를 제일(第一)로 친다. 조숙미(早熟米)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본초].

 


卽晩米也霜後收者佳日用

 

() 만미(晩米)이다. 상후(霜後)에 수확(收穫)한 것이 좋다.[일용].

 

 

 

 

 

[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미(稷米)[동의보감]  (1) 2022.10.05
소맥(小麥)[동의보감]  (1) 2022.09.17
대맥얼(大麥蘖)[동의보감]  (1) 2022.09.17
대맥(大麥)[동의보감]  (1) 2022.09.17
고량(高粱)[동의보감]  (0) 2022.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