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9. 21:30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나미(糯米)[본초강목]
^^^^^^^^^^^^^^^^^^^^^^^^^^^^^^^^^^^^^^^^^^^^^^^^^^^^^^^^^^^^^^^^^^^^^^^^^^^^^
稻
(《別錄》下品)
【釋名】
稻 、糯 (亦作稬 )。
時珍曰︰稻 稌者,粳、糯之通稱。《物理論》所謂“稻者溉種之總稱”是矣。本草則專 指糯以為稻也。稻從舀,舀象人在臼上治稻之義。 則方言稻音之轉爾。其性粘軟,故謂之糯。
稻(도), 稌(도)는 秔(갱)과 糯(나)의 統稱(통칭)이다. 物理論(물리론)에 소위 “稻(도)라는 것은 溉種(개종)의 總稱(총칭)이다.” 라고 한 것이 이 意味(의미)이다. 本草(본초)에서는 오로지 糯(나)를 指稱(지칭)해서 稻(도)라고 하였다. 稻字(도자)는 舀(요)를 따랐다. 舀字(요자)는 사람이 臼(구) 위에서 稻(도)의 始末(시말)을 정리 중인 狀態(상태)를 意味(의미)한 形象(형상)이다. 稌(도)라는 方言(방언)은 稻音(도음)의 轉訛(전와)이다. 그 性(성)이 粘軟(점연)한 데서 糯(나)라고 한다.
穎曰︰糯米緩筋,令人多睡,其性懦也。
糯米(나미)는 筋(근)을 편안하게 하니 사람을 多睡(다수)하게 한다. 性(성)이 懦(나)한 것이다.
【集解】
弘景曰︰道家方藥有稻米、粳米俱用者,此則兩物也。稻米白如霜,江東無此,故通呼粳為稻耳,不知色類複雲何也?
恭曰︰稻者,穬、穀之通名。《爾雅》雲︰稌,稻也。粳者不粘之稱,一曰秫。氾勝之雲︰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即並稻也,陶謂為二,蓋不可解也。
志曰︰此稻米即糯米也。其粒大小似 米,細糠白如雪。今通呼 、糯二穀為稻,所以惑之。按︰李含光《音義》引《字書》解粳字雲︰稻也。 字雲︰稻屬也,不粘。粢字雲︰ 稻餅也。粢蓋糯也。
禹錫曰︰《爾雅》雲︰稌,稻。郭璞注雲︰別二名也。今沛國呼稌。周頌雲︰豐年多黍多。《禮記》雲︰牛宜稌。《幽風》雲︰十月獲稻。皆是一物也。《說文》雲︰秔,稻屬也。沛國謂稻為糯。《字林》雲︰糯,粘稻也。秔,不粘稻也。然秔、糯甚相類,以粘不粘為異爾。當依《說文》以稻為糯。顏師古《刊謬正俗》雲︰本草稻米,即今之糯米也。或通呼粳、糯為稻。
孔子雲︰食夫稻。周官有稻人。漢有稻田使者。並通指秔、糯而言。所以後人混稱,不知稻即糯也。
宗奭曰︰稻米,今造酒糯稻也。其性溫,故可為酒。酒為陽,故多熱。西域記︰天竺國土溽熱,稻歲四熟,亦可驗矣。
時珍曰︰糯稻,南方水田多種之。其性粘,可以釀酒,可以為粢,可以蒸糕,可以熬餳,可以炒食。其類亦多,其穀殼有紅、白二色,或有毛,或無毛。其米亦有赤、白二色,赤者酒多糟少,一種粒白如霜,長三、四分者。《齊民要術》糯有九格、雉木、大黃、馬首、虎皮、火色等名是矣。古人釀酒多用秫,故諸說論糯稻,往往費辯也。秫乃糯粟,見本條。 稻米
【氣味】
苦,溫,無毒。
思邈曰︰味甘。宗奭曰︰性溫。
頌曰︰糯米性寒,作酒則熱,糟乃溫平,亦如大豆與豉、醬之性不同也。
糯米(나미)는 性(성)이 寒(한)하고, 만든 술은 熱(열)하다. 糟(조)로 된 것은 溫(온), 平(평)하다. 역시 大豆(대두)와 豉(시), 醬(장)과 性(성)이 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詵曰︰涼。發風動氣,使人多睡,不可多食。
涼(양)하고 風(풍)을 發(발)하며, 氣(기)를 動(동)해서 사람을 多睡(다수)하게 한다. 多食(다식)하면 안 된다.
藏器曰︰久食令人身軟,緩人筋也。小貓、犬食之,亦腳屈不能行。馬食之,足重。妊婦雜肉食之,令子不利。
久食(구식)하면 身體(신체)가 軟(연)해지고, 筋(근)을 緩和(완화)시킨다. 小苗(소묘)나 犬(견)이 먹으면 역시 腳(각)이 오므라들어서 步行(보행)하기가 어렵게 되고, 馬(마)가 먹으면 足(족)이 무거워지며, 姙婦(임부)가 肉雜(육잡)해서 먹으면 子(자)가 利(이)할 수 없게된다.
蕭炳曰︰擁諸經絡氣,使四肢不收,發風昏昏。
여러 經絡(경락)의 氣(기)를 擁(옹)하고, 四肢(사지)를 거두지 못하니 風(풍)을 일으켜서 昏昏(혼혼)하게 한다.
士良曰︰久食發心悸,及癰疽瘡癤中痛。合酒食之,醉難醒。
久食(구식)한다면 心悸(심계) 및 癰疽(옹저), 瘡癤中(창절중)의 痛症(통증)을 發(발)한다. 酒(주)와 同食(동식)하면 醉氣(취기)를 거두지 못한다.
時珍曰︰糯性粘滯難化,小兒、病患最宜忌之。
糯(나)는 性(성)이 粘滯(점체)하므로 消化(소화)가기 어렵다. 小兒(소아)나 病人(병인)은 절대로 忌(기)하여야 한다.
【主治】
作飯溫中,令人多熱,大便堅(《別錄》)。
飯(반)으로 하면 溫中(온중)하고, 사람을 多熱(다열)하게 하니 大便(대변)이 堅固(견고)하게 된다.
能行營衛中血積,解芫青、斑蝥毒(士良)。
能(능)히 營衛(영위) 안의 血積(혈적)을 巡行(순행)시켜서 芫靑(원청), 斑禿(반독)의 毒(독)을 解(해)한다.
益氣止泄(思邈)。
益氣(익기)하고 止泄(지설)한다.
補中益氣。止霍亂後吐逆不止,以一合研水服之(大明)。
補中益氣(보중익기)하고 霍亂(곽란) 後(후)의 吐逆(토역)이 멎지 않는 것을 멈추는 데는 一合(일합)을 水硏(수연)해서 服(복)한다.
以駱駝脂作煎餅食,主痔疾(蕭炳)。
駱駝脂(낙타지)로 만든 煎餠(전병)을 먹으면 痔疾(치질)에 主效(주효)가 있다.
作糜一鬥食,主消渴(藏器)。
糜一鬥(미일두)를 만들어서 먹으면 消渴(소갈)에 主效(주효)가 있다.
暖脾胃,止虛寒泄痢,縮 小便,收自汗,發痘瘡(時珍)。
脾胃(비위)를 暖(난)하고, 虛寒泄痢(허한설리)를 멈추며, 小便(소변)을 縮小(축소)시키고 自汗(자한)을 거두고 痘瘡(두창)을 發(발)한다.
【發明】
思邈曰︰糯米味甘,脾之穀也,脾病宜食之。
糯米(나미)는 味(미)가 甘(감)하고, 脾(비)의 穀(곡)이다. 脾病(비병)에는 이것을 먹으면 좋아진다.
楊士瀛曰︰痘疹用 米,取其解毒,能釀而發之也。
痘疹(두진)에 대해서 糯米(나미)를 使用(사용)하는 것은 그 解毒(해독)의 功(공)을 理容(이용)하기 위해서이다. 能(능)히 釀(양)해서 發(발)하는 힘이 있다.
時珍曰︰糯米性溫,釀酒則熱,熬餳尤甚,故脾肺虛寒者宜之。若素有痰熱風病,及脾病不能轉輸,食之最能發病成積。孟詵、蘇頌或言其性涼、性寒者,謬說也。
糯米(나미)의 性(성)은 溫(온)하여 釀酒(양주)하게 되면 熱(열)하므로 熬(오)해서 엿으로 만든 것이 가장 甚(심)하다. 그래서 脾肺(비폐)가 虛寒(허한)한 사람에게는 適當(적당)하지만, 처음부터 痰熱(담열), 風病(풍병) 및 脾病(비병)이 있어 轉輸(전수)의 作用(작용)이 充分(충분)하지 못한 사람이 이것을 먹게 되면 能(능)히 病(병)을 發(발)하여 積(적)이 되고 만다. 孟詵(맹선)이나 蘇頌(소송)이, 性(성)이 涼(양)하다든가, 性(성)이 寒(한)하다는 등 말하고 있지만, 謬妄(유망)한 說(설)이다.
《別錄》已謂其溫中堅大便,令人多熱,是豈寒涼者乎?今人冷泄者,炒食即止。老人小便數者,作粢糕 或丸子,夜食亦止。其溫肺暖脾可驗矣。痘証用之,亦取此義。
別錄(별록)에 이미 “中(중)을 溫(온)하고, 大便(대변)을 굳게 하니 多熱(다열)해진다.” 라고 단정하지 않은가. 이것을 寒(한), 涼(양)이라 할 수는 없다. 現在(현재) 冷泄(냉설)한 것은 炒食(초식)하면 멈추어지고 老人(노인)의 小便(소변)이 頻數(빈삭)한 것은 粢糕(자고)하며, 혹은 丸(환)을 만들어 夜半(야반)에 먹으면 멎는 것은 一般的(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事實(사실)로 이것은 그 自體(자체)가 肺(폐)를 溫(온)하고 脾(비)를 暖(난)하게 하는 實證(실증)이다. 痘症(두증)에 이것을 사용하는 것도 역시 이 作用(작용)을 利用(이용)하는 것이다.
【附方】舊五,新十六。
霍亂煩渴不止︰糯米三合,水五升,蜜一合,研汁分服,或煮汁服。(楊氏《產乳》)。
消渴飲水︰方同上。
三消渴病︰梅花湯︰用糯穀(炒出白花)、桑根白皮等分。每用一兩,水二碗,煎汁飲之。
下痢禁口︰糯穀一升(炒出白花去殼,用薑汁拌濕再炒),為末。每服一匙,湯下,三服久泄食減︰糯米一升。水浸一宿瀝乾,慢炒熟,磨篩,入懷慶山藥一兩。每日清晨用半盞,入砂糖二匙,胡椒末少許,以極滾湯調食。其味極佳,大有滋補。久服令人精暖有子,秘方也。(《松篁經驗方》)。
鼻衄不止,服藥不應︰獨聖散︰用糯米微炒黃,為末。每服二錢,新汲水調下。仍吹少許
勞心吐血︰糯米半兩,蓮子心七枚,為末,酒服。孫仲盈雲︰曾用多效。或以墨汁作丸服自汗不止︰糯米、小麥麩同炒,為末。每服三錢,米飲下。或煮豬肉點食。
小便白濁︰白糯丸︰治人夜小便腳停白濁,老人、虛人多此証,令人卒死,大能耗人精液,主頭昏重。用糯米五升(炒赤黑),白芷一兩,為末,糯粉糊丸梧子大。每服五十丸,木饅頭煎湯下。無此,用《局方》補腎湯下。若後生稟賦怯弱,房室太過,小便太多,水管蹇澀,小便如膏脂,入石菖蒲、牡蠣粉甚效。(《經驗良方》)。
女人白淫︰糙糯米、花椒等分。炒為末,醋糊丸梧子大。每服三、四十丸,食前醋湯下。 (楊起《簡便方》)。
胎動不安,下黃水︰用糯米一合,黃 、芎 各五錢,水一升,煎八合,分服。(《產寶》)。
小兒頭瘡︰糯米飯燒灰,入輕粉,清油調敷。(《普濟方》)。
纏蛇丹毒︰糯米粉和鹽,嚼塗之。(《濟急方》)。
打撲傷損諸瘡︰寒食日浸糯米,逐日易水,至小滿取出,日乾為末,用水調塗之。(《便民圖纂》)。
金瘡癰腫,及竹木簽刺等毒︰用糯米三升,於端午前四十九日,以冷水浸之,一日兩換 水,輕淘轉,勿令攪碎。至端午日取出陰乾,絹袋盛,掛通風處。每用旋取,炒黑為末,冷水調如膏藥,隨瘡大小,裹定瘡口,外以布包定勿動,直候瘡瘥。若金瘡犯生水作膿腫甚者,急裹一、二食久,即不作膿腫也。若癰疽初發,才覺 腫,急貼之,一夜便消。(《靈苑方》)。
喉痺吒腮︰用前膏貼項下及腫處,一夜便消。乾即換之,常令濕為妙。
竹木簽刺︰用前膏貼之,一夜刺出在藥內也。
顛犬咬傷︰糯米一合,斑蝥七枚同炒,蝥黃去之;再入七枚,再炒黃去之;又入七枚,待米出煙,去蝥為末。油調敷之,小便利下佳。(《醫方大成》)。
荒年代糧︰稻米一鬥淘汰,百蒸百曝,搗末。日食一飧,以水調之。服至三十日止,可一年不食。(《肘後》)。
虛勞不足︰糯米,入豬肚內蒸乾,搗作丸子,日日服之。
腰痛虛寒︰糯米二升,炒熟,袋盛,拴靠痛處。內以八角茴香研酒服。(談野翁《試驗方》)
米泔
【氣味】
甘,涼,無毒。
【主治】
益氣,止煩渴霍亂,解毒。食鴨肉不消者,頓飲一盞,即消(時珍)。
益氣(익기)하고, 煩渴(번갈), 霍亂(곽란)을 멈추며, 解毒(해독)한다. 鴨肉(압육)을 먹고 消化(소화)가 안 될 때 一盞(일잔)을 가볍게 마시면 消化(소화)된다.
【附方】舊一。
煩渴不止︰糯米泔任意飲之,即定。研汁亦可。(《外台》)
糯稻花
【主治】
陰乾,入揩牙、烏須方用(時珍)。
陰乾揩牙(음건개아)하고 닦고 鬚(수)를 검게 하는 方(방)에 넣어서 使用(사용)한다.
稻穰(即稻稈)
【氣味】
辛、甘,熱,無毒。
【主治】
黃病如金色,煮汁浸之;仍以穀芒炒黃為末,酒服(藏器)。
蟥蛢(황병)으로 金(금) 같은 色(색)으로 변했을 때는 煮汁(자즙)에 담고, 또 穀芒(곡망)을 黃炒末(황초말)해서 酒服(주복)한다.
燒灰,治墜撲傷損(蘇頌)。
燒灰(소회)는 墜撲傷損(추박상손)을 治(치)한다.
燒灰, 浸水飮, 止消渴. 淋汁, 浸腸痔. 挪穰籍靴鞋, 暖足, 去寒濕氣(時珍)。
燒灰(소회)를 水浸(수침)해서 마시면 消渴(소갈)이 멎는다. 淋汁(임즙)에 腸痔(장치)를 담근다. 穰(양)을 주물러 靴底(화저)에 깔아서 足(족)을 따뜻하게 하고, 寒濕氣(한습기)를 去(거)한다.
【發明】
頌曰︰稻稈灰方,出劉禹錫《傳信方》。雲︰湖南李從事墜馬撲傷損,用稻稈燒灰,以新熟酒連糟入鹽和,淋取汁,淋痛處,立瘥也。
稻稈灰(도간회)의 方(방)은 劉禹錫(유우석)의 傳信方(전신방)에 나와 있다. 걱기에 의하면 “湖南(호남)의 李從事(이종사)가 落馬(낙마)해서 傷損(상손)했을 때 稻稈(도간)의 燒灰(소회)를 新熟酒(신숙주)의 糟(조)에 鹽(염)을 넣어서 和(화)한 것으로 灰(회)의 淋汁(임즙)을 내어 rrjt을 患部(환부)에 淋(임)하였더니 卽愈(즉유)하였다.”라고 한다.
時珍曰︰稻穰煮治作紙,嫩心取以為鞋,皆大為民利。其紙不可貼瘡,能爛肉。按︰《江湖紀聞》雲︰有人壁虱入耳,頭痛不可忍,百藥不效。用稻稈灰煎汁灌入,即死而出也。
稻釀(도양)을 煮(자)하고 加工(가공)해서 종이를 만들어 嫩心(눈심)은 뽑아버리고 鞋(혜)를 만든다. 모두 産葉(산엽)을 裨補(비보)하는 것이다. 그 종이는 瘡(창)에 붙이면 안 된다. 能(능)히 肉(육)을 爛(난)하게 하기 때문이다. 살펴보면 江湖紀聞(강호기문)에 “어떤 사람이 壁蝨(벽슬)이 귀에 들어가서 견디기 힘든 頭痛(두통)이 생겼는데 여러 가지의 藥(약)도 效(효)가 없었으나 稻稈灰(도간회)의 煎汁(전즙)을 灌入(관입)했더니 그 蟲(충)이 죽어서 나왔다.”라고 되어 있다.
【附方】舊一,新八。
消渴飲水︰取稻穰中心燒灰。每以湯浸一合,澄清飲之。(危氏)
喉痺腫痛︰稻草燒取墨煙,醋調吹鼻中,或灌入喉中,滾出痰,立愈。(《普濟》)。
熱病餘毒,攻手足疼痛欲脫︰用稻穰灰,煮汁漬之。(《肘後方》)。
下血成痔︰稻 燒灰淋汁,熱漬三、五度,瘥。(崔氏《纂要》)。
湯火傷瘡︰用稻草灰,冷水淘七遍,帶濕攤上,乾即易。若瘡濕者,焙乾油敷,二、三次
惡蟲入耳︰香油合稻稈灰汁,滴入之。(《聖濟總錄》)。
噎食不下︰赤稻細梢,燒灰,滾湯一碗,隔絹淋汁三次,取汁,入丁香一枚,白豆蔻半枚,米一盞,煮粥食,神效。(《摘玄妙方》)。
小便白濁︰糯稻草,煎濃汁,露一夜,服之。(同上)。
解砒石毒︰稻草燒灰,淋汁,調青黛三錢服。(《醫方摘要》)。
穀穎(穀芒也。作穩,非)
【主治】
黃病,為末酒服。(藏器)又解蠱毒,煎汁飲(《日華》)。
黃病(황병)에는 作末(작말)해서 酒服(주복)한다. 또 蠱毒(고독)을 解(해)하는 데는 煎汁(전즙)을 마신다.
糯糠
【主治】
齒黃,燒取白灰,旦旦擦之(時珍)。
齒(치)가 黃色(황색)인 데에는 구운 白灰(백회)를 아침마다 닦는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이인(薏苡仁)[본초강목] (1) | 2022.09.05 |
---|---|
금귤(金橘)[본초강목] (0) | 2022.08.18 |
모향(茅香)[본초강목] (0) | 2022.08.09 |
식수유(食茱萸)[본초강목] (0) | 2022.07.27 |
오수유(吳茱萸)[본초강목] (0) | 2022.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