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이인(薏苡仁)[본초강목]

2022. 9. 5. 22:11[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의이인(薏苡仁)[본초강목]

 

 

 

 

^^^^^^^^^^^^^^^^^^^^^^^^^^^^^^^^^^^^^^^^^^^^^^^^^^^^^^^^^^^^^^^^^^^^^^^

 

薏苡仁

 

(《本經上品

 

校正

 

千金方》,自草部移入此

 

釋名

 

解蠡。《本經》)、芑實。《別錄》)、贛米(《別錄》。

 

陶氏作簳珠雷氏作米+感米)、回回米(《救荒本草》)、薏珠子(《圖經》)。

 

 

 

 

時珍曰薏苡名義未詳其葉似蠡實葉而解散又似芑黍之苗故有解蠡芑實之名贛米乃其堅硬者有贛強之意苗名屋菼。《救荒本草回回米又呼西番蜀秫俗名草珠兒

 

薏苡(의이)라는 名稱(명칭)意味(의미)는 알수 없다. ()蠡實(여실)()과 흡사해서 解散(해산)하고, 芑黍(기서)()와 닮은 것에서 解蠡(해려), 芑實(기실)이라는 名稱(명칭)이 있다. 贛米(공미)라는 것은 堅硬(견경)하고 贛强(공강)한 것이라는 意味(의미)가 있고, ()屋菼(옥담)이라고 名稱(명칭)한다. 救荒本草(구황본초)에서 回回米(회회미)는 또한 西番蜀秫(서번촉출)이라 부르며, 흔히 草株兒(초주아)라고도 한다.”라고 되어 있다.

 

 

集解

 

別錄薏苡仁生真定平澤及田野八月採實采根無時

 

弘景曰真定縣屬常山郡近道處處多有人家種之出交趾者子最大彼土呼為珠故馬援在交趾餌之載還為種人讒以為珍珠也實重累者為良取仁用

 

志云今多用梁漢者氣劣於真定取青白色者良

 

藏器云取子於甑中蒸使氣餾曝乾 之得仁矣亦可磨取之

 

頌曰薏苡所在有之春生苗莖高三四尺葉如黍葉開紅白花作穗六月結實青白色形如珠子而稍長故人呼為薏珠子小兒多以線穿如貫珠為戲九月十月採其實

 

斅曰凡使勿用 米顆大無味時人呼為粳 是也薏苡仁顆小色青味甘咬 著粘人齒也

 

時珍曰薏苡人多種之三月宿根自生葉如初生芭茅六月抽莖開花結實有二種一種粘牙者尖而殼薄即薏苡也其米白色如糯米可作粥飯及磨面食亦可同米釀酒一種圓而殼濃堅硬者即菩提子也其米少即粳 也但可穿作念經數珠故人亦呼為念珠云其根並白色大如匙柄結而味甘也

 

 

薏苡仁

 

修治

 

雷斅曰凡使每一兩以糯米一兩同炒熟去糯米用亦有更以鹽湯

 

대개 이것을 사용(使用)하는 데는 () 一兩(일량)糯米(나미) 一兩(일량)과 함께 ()하고 ()해서 糯米(나미)()한 후 ()한다. 또한 다시 鹽湯(염탕)으로 煮用(자용)하는 수도 있다.

 

氣味

 

微寒無毒

詵曰

 

 

 

主治

 

筋急拘攣不可屈伸久風濕痺下氣久服輕身益氣(《本經》)。

 

筋急(근급)하여 拘攣(구련)하고 屈伸(굴신)하지 못하는 것, 久風濕痺(구풍습비), ()를 내린다. 久服(구복)하면 輕身益氣(경신익기)한다.

 

 

 

除筋骨中邪氣不仁利腸胃消水腫令人能食(《別錄》)。

 

筋骨中(근골중)邪氣(사기)不仁(불인)한 것을 ()하고, 腸胃(장위)()하며, 水腫(수종)()하고, 食慾(식욕)增進(증진)한다.

 

 

 

炊飯作面食主不飢溫氣煮飲止消渴殺蛔蟲藏器)。

 

밥을 지어 ()으로 만들어 먹으면 ()하지 않고, ()()하는데 奏效(주효)가 있으며, 煮飮(자음)하면 消渴(소갈)()하고, 蛔蟲(회충)()한다.

 

 

治肺痿肺氣積膿血咳嗽涕唾上氣煎服破毒腫甄權)。

 

肺痿(폐위), 肺氣(폐기)積膿血(적농혈), 咳嗽(해수), 涕唾上氣(체수상기)()한다. 煎服(전복)하면 毒腫(독종)()한다.

 

 

去乾濕腳氣大驗孟詵)。

 

(), 湿脚气(습각기)()하는데 큰 效驗(효험)이 있다.

 

 

 

健脾益胃補肺清熱去風勝濕炊飯食治冷氣煎飲,利小便熱淋(《時珍》)。

 

()()하고, ()()하며, ()()하고 淸熱(청열)하며, 去風(거풍)하고 ()을 이긴다. ()으로 지어 먹으면 冷氣(냉기)()하고, 煎飮(전음)하면 小便熱淋(소변열림)()한다.

 

 

 

發明

 

宗奭曰薏苡仁本經微寒主筋急拘攣拘攣有兩等︰《素問注中大筋受熱則縮而短故攣急不伸此是因熱而拘攣也故可用薏苡素問言因寒則筋急者不可更用此也蓋受寒使人筋急寒熱使人筋攣若但受熱不曾受寒亦使人筋緩受濕則又引長無力 也此藥力勢和緩凡用須加倍即見效

 

薏苡仁(의이인)本經(본경)"微寒(미한)하며 筋急(근급), 拘攣(구련)奏效(주효)가 있다“.라고 하나 拘攣(구련)에는 二種(이종)이 있다. 素問註(소문주)文中(문중)大筋(대근)()을 받으면 ()해서 짧아진다. 그래서 攣急(연급)하여 伸長(신장)할 수 없다.“라고 하는 것은, ()起因(기인)되어서 拘攣(구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薏苡(의이)用劑(용제)하여야 한다. 素問(소문)에는 ()起因(기인)했을 때 筋急(근급)한다“.라고 하는데 그 경우에는 다시 이것을 用劑(용제)하면 안 된다. 하지만 ()을 받는다면 筋急(근급)()하며, 寒熱(한열)筋挛(근련)誘發(유발)하는 것이긴 하나 다만 ()을 받았을 뿐 全然(전연) ()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역시 筋緩(근완)誘發(유발)하고, ()을 받으며 또한 引長(인장)해져서 無力(무력)하게 되고 만다. ()力勢(역세)和緩(화완)하기 때문에 무릇 使用(사용)할 때 다른 ()倍加(배가)해서 ()하면 ()가 나타난다.

 

 

 

震亨曰寒則筋急熱則筋縮急因於堅強縮因於短促若受濕則弛弛則引長然寒與濕未嘗不挾熱三者皆因於濕然外濕非內濕啟之不能成病故濕之為病因酒而魚肉繼之甘滑陳久燒炙並辛香皆致濕之因也

 

()하면 筋急(근급)해지고, ()하면 筋縮(근축)해진다. ()堅强(견강)起因(기인)이 되고, ()短縮(단축)起因(기인)하는 것으로 ()을 받는 경우에는 ()하고 引長(인장)된다. 이렇듯이 ()하고 ()하면서 ()을 품지 않는 다는 것은 아직은 없는 일이니 三者(삼자)가 모두 ()起因(기인)한다. 하지만 外部(외부)에서의 ()內部(내부)로 부터의 ()開發(개발)하는 것이 아니면 外部(외부)에서의 ()만으로는 ()이 될 수 없다. 그래서 ()에서 ()이 되는 데는 술에 起因(기인)하고, 魚肉(어육)이 그 뒤를 이어가는 것이니 (), ()한 것, 燒灸(소구)해서 陳久(진구)한 것 및 辛香(신향)한 것도 모두 ()을 일으키는 原因(원인)이다.

 

 

時珍曰薏苡仁屬土陽明藥也故能健脾益胃虛則補其母故肺痿肺癰用之筋骨之病以治陽明為本故拘攣筋急風痺者用之土能勝水除濕故泄痢水腫用之古方小續命湯注云中風筋急拘攣語遲脈弦者加薏苡仁亦扶脾抑肝之義

 

薏苡仁(의이인)()()하는 陽明(양명)()이다. 그래서 ()()()하고 ()()하는 것으로서 ()할 때는 그 ()()한다.”라는 法則(법칙)이다. 肺痿(폐위), 肺癰(폐옹)을 이것으로 ()하여 筋骨(근골)()陽明(양명)()하므로 根本(근본)으로 삼기 때문에 拘攣(구련), 筋急(근급), 風痹(풍비)와 같은 것에는 이것을 使用(사용)한다. ()()히 물에 이겨서 ()()하는 것이므로 泄痢(설리), 水腫(수종)에 이것을 使用(사용)한다. 살펴보면 古方(고방)小續命湯(소속명탕)()에서 中風(중풍)으로 筋急(근급), 拘攣(구련)되어 言語(언어)가 늦어지고, 弦脈(현맥)하는 데는 薏苡仁(의이인)()한다.”라고 하는 것은 역시 ()를 도와서 ()을 다스린다는 意味(의미)이다.

 

 

後漢書馬援在交趾常餌薏苡實云能輕身省欲以勝瘴氣也又張師正倦游錄辛稼軒忽患疝疾重墜大如杯一道人教以薏珠用東壁黃土炒過水煮為膏服數服即消程沙隨病此稼軒授之亦效。《本草薏苡乃上品養心藥故此有功

 

後漢書(후한서)에는 馬援(마원)交趾(교지)에 있을 때 늘 薏苡實(의이실)()하여 몸이 가벼워지고 慾心(욕심)이 많아져서 이로 인해 瘴氣(장기)를 이길 수 있었다. 라고 말했다. 張師正(장사정)倦游錄(권유록)에는 辛稼軒(신가헌)이 갑자기 疝疾(산질)을 앏게 되어 重墜(중추)되고 ()만 한 크기로 변했을 때 어느 道人(도인)으로부터 薏珠(의주)東壁土(동벽토)와 함께 ()하여 水煮(수자)한 후 ()를 만들어 ()하는 ()敎示(교시)받아 數服(수복)했더니 사라졌다. 程沙隨(정사수)가 이 ()을 앏았을 때는 稼軒(가헌)이 그 ()授示(수시)받아서 역시 奏效(주효)하였다. 本草(본초)에서는 薏苡(의이)上品(상품)()으로서 ()()하는 ()으로 치고 있다. 그래서 이렇듯 攻果(공과)가 있는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頌曰薏苡仁心肺之藥多用之故范汪治肺癰張仲景治風濕胸痺並有方法。《濟生方治肺損咯血以熟豬肺切蘸薏苡仁末空心食之薏苡補肺豬肺引經也趙君猷言屢用有效

 

 

薏苡仁(의이인)心肺(심폐)()多用(다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范汪(범왕)肺癰(폐옹)()하고, 張仲景(장중경)風濕胸痺(풍습흉비)()하는 ()에 모두가 이것을 使用(사용)하는 方法(방법)이 있으며, 濟生方(제생방)肺損咯血(폐손각혈)()하는 데는 熟豬肺(숙저폐)를 잘라서 薏苡仁末(의이인말)을 묻혀 空腹(공복)에 먹는다. 薏苡(의이)()()하기 때문이고, 猪肺(저폐)()을 당기기 때문이다. 趙君猷(조군유)자주 使用(사용)해서 効果(효과)를 보았다”. 라고 말한 바 있다.

 

 

 

 

 

 

附方舊七新七

 

薏苡仁飯治冷氣用薏苡仁舂熟炊為飯食氣味欲如麥飯乃佳或煮粥亦好。(《廣濟方》)

薏苡仁粥治久風濕痺補正氣利腸胃消水腫除胸中邪氣治筋脈拘攣薏苡仁為末同粳米煮粥日日食之。(《食醫心鏡》)

風濕身疼日晡劇者張仲景麻黃杏仁薏苡仁湯主之麻黃三兩杏仁二十枚甘草薏水腫喘急用郁李仁三兩)。以水濾汁煮薏苡仁飯日二食之。(《獨行方》)。

沙石熱淋痛不可忍用玉秫即薏苡仁也根皆可用水煎熱飲夏月冷凍飲料以通為度。(《楊氏經驗方》)。

消渴飲水薏苡仁煮粥飲並煮粥食之

周痺緩急偏者薏苡仁十五兩大附子十枚),為末每服方寸匕日三。(張仲景方)。 肺痿咳唾膿血薏苡仁十兩杵破),水三升煎一升酒少許服之。(《梅師》)。

肺癰咳唾心胸甲錯者以淳苦酒煮薏苡仁令濃微溫頓服肺有血當吐出愈。(《范汪方》)。

肺癰咯血薏苡仁三合搗爛),水二大盞煎一盞入酒少許分二服。(《濟生》)

喉卒癰腫吞薏苡仁二枚。(《外台》)。

癰疽不潰薏苡仁一枚吞之。(姚僧坦方)。

孕中有癰薏苡仁煮汁頻頻飲之。(《婦人良方補遺》)。

牙齒 痛薏苡仁桔梗生研末點服不拘大人小兒。(《永類方》)。

 

 

 

 

氣味

 

微寒無毒

 

 

主治

 

下三蟲(《本經》)。

 

三蟲(삼충)()한다.

 

汁糜(즙미)煮食(자식)하면 매우 ()하고, 蛔蟲(회충)()하는데 大效(대효)가 있다.

 

煮汁糜食甚香去蛔蟲大效弘景)。

 

煮服(자복)하면 墮胎(타태)한다.

 

 

煮服墮胎藏器)。

 

治卒心腹煩滿及胸脅痛者銼煮濃汁服三升乃定蘇頌肘後方》)。

 

 

搗汁和酒服治黃疸有效時珍)。

 

搗汁(도즙)酒和(주화)해서 ()하면 黃疸(황달)()하는데 有效(유효)하다.

 

 

附方舊二新二

 

黃疸如金薏苡根煎湯頻服

蛔蟲心痛薏苡根一斤),水七升煮三升服之蟲死盡出也。(《梅師》)。

經水不通薏苡根一兩水煎服之不過數服。(《海上方》)。

牙齒風痛薏苡根四兩水煮含漱冷即易之。(《延年秘錄》)

 

 

 

主治

 

作飲氣香益中空膈蘇頌)。

 

마시면 ()()하고, 益中(익중)하며, ()이 없어진다.

 

 

暑月煎飲暖胃益氣血初生小兒浴之無病時珍瑣碎錄》)。

 

署期(서기)에는 이것을 煎飮(전음)하면 ()()하고, 氣血(기혈)()한다. 初生(초생)小兒(소아)를 목욕시키면 無病(무병)한다. (李時珍(이시진) 記載(기재)瑣碎錄(쇄쇄록)에 있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량(高粱)[본초강목]  (0) 2022.09.05
옥촉서(玉蜀黍)[본초강목]  (1) 2022.09.05
금귤(金橘)[본초강목]  (0) 2022.08.18
나미(糯米)[본초강목]  (0) 2022.08.09
모향(茅香)[본초강목]  (0) 202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