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9. 20:42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모향(茅香)[본초강목]
향모/모향(茅香)
향모
이명 : [참기름새] [향기름새] [털향모]
학명 : Hierochloe odorata (L.) P.Beauv.
분류군 : Gramineae(벼과)
일명 : コウボウ(Kobo)
영명 : Vanillagrass. Sweet grass. Holy grass
잎
엽초에는 보통 짧은 털이 있으며 끝에 부드러운 털이 있기도 하다. 화경(花莖)에 달린 잎은 길이 1-4cm이지만 근생엽은 자라서 길이 20-40cm로 되며 안으로 말리거나 편평하고 폭 2-5mm이며 표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고 뒷면에는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짧은 가시털이 있다. 엽설(葉舌)은 막질로 길이 1.5-3mm이며 절두 또는 둔두이고 끝이 갈라지며 털이 없으나 때로는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꽃은 4-5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넓은 난형으로서 길이 4-8cm, 폭 1.5-3.5cm이고 마디에 가지가 2-3개씩 달리며 옆으로 벌어진다. 소수(小穗)는 넓은 도란형이고 다소 편평하며 길이 4-6mm로서 황갈색이 돌고 까락이 없으며 광택이 난다. 포영은 난형으로서 안으로 접히며 예두이고 첫째 포영은 1맥, 둘째 포영은 첫째 것보다 다소 길고 3맥이 있다. 수꽃의 호영 하반부에는 잔점이 있으며 윗부분이 거칠고 보통 까락이 없다. 밑부분에는 총생하는 털이 없거나 간혹 있다. 양성화의 외영은 길이 2.5-3mm로 끝이 뾰족하며 윗부분에 잔털이 있다.
줄기
높이 20~50cm로서 원줄기는 매끄럽고 곧게 서며 총생하지 않고 작은 군락을 형성한다.
뿌리
백색의 가늘고 긴 지하경이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형성하고 향기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아시아, 유럽, 미주의 온대에 분포한다.
▶제주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이다.
크기
높이 20-50cm이다.
생육 환경
▶볕이 잘 드는 낮은 지대의 풀밭에서 흔히 자란다.
이용방안
▶향내나는 지하경을 말려서 옷장에 두면 좀벌레를 막을 수 있다.
▶지하경은 토혈, 혈뇨, 신염, 부종 등에 쓰이며 꽃이삭은 복통, 중풍예방에 쓰인다.
특징
▶전체에서 향기가 난다.
▶4월에 꽃이 피는 벼과식물은 거의 없으므로 식별하기 쉽다.
학명 Hierochloe odorata (L.) P.Beauv.
Ess. Agrostogr. 62, 164 (1812)
1. Holcus odoratus L.
Sp. pl. 2 : 1048 (1753)
1) Grasses of Japan and its neighboring regions (T.Koyama, 1987)
국명 향모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참기름새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털향모
1) 한조식물명칭사전 (한진건, 장굉문, 왕용, 풍지원, 1982)
3. 향기름새
영문명 :Vanillagrass
일본명 :コウボウ
북한명 :향모
Hierochloe odorata ( L. ) P.Beauv.
Ess. Agrostogr. 62, 164, f. 5. 1812
62, 164, f. 5. 1812
Links:
basionym:Poaceae Holcus odoratus L.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향모(香茅)
Hierochloe odorata (L.) P.Beauv.
이명(異名)
Torresia odorata (L.) A.S. Hitchc.
Hierochloe nashii (Bickn.) Kaczmarek
Savastana nashii Bickn.
Savastana odorata (L.) Scribn.
Hierochloe fragrans (Willd.) Roemer & J.A. Schultes
Hierochloe odorata var. fragrans (Willd.) Richter
Hierochloe odorata f. eamesii Fernald
Hierochloe odorata var. annulata Petrov
Hierochloe annulata Petrov
Holcus arcticus Sommerf.
Avena odorata (L.) Koeler
Hierochloe odorata subsp. baltica G.Weim.
Hierochloe hirta var. annulata (Petrov) Vilyasoo
Hierochloe hirta subsp. arctica (J.Presl) G.Weim.
Savastana odorata var. fragrans (Willd.) Farw.
Hierochloe arctica J.Presl
Savastana hirta Schrank
Hierochloe odorata subsp. hirta (Schrank) Tzvelev
Dimesia fragrans (Willd.) Raf.
Hierochloe odorata subsp. praetermissa (G.Weim.) B.Walln.
Hierochloe odorata subsp. kolymensis Prob.
Hierochloe glauca Gliem. ex Bab.
Anthoxanthum hirtum (Schrank) Y.Schouten & Veldkamp
Hierochloe hirta subsp. praetermissa G.Weim.
Torresia nashii (C.Bicknell) House
Hierochloe borealis (Schrad.) Roem. & Schult.
Hierochloe odorata subsp. arctica (C.Presl) Tzvelev
Hierochloe odorata subsp. fragrans (Willd.) K.Richt.
Hierochloe odorata var. firma F.Nyl.
Holcus fragrans Willd.
Anthoxanthum hirtum subsp. arcticum (J.Presl) G.C.Tucker
Holcus borealis Schrad.
Hierochloe baltica (G.Weim.) Czerep.
^^^^^^^^^^^^^^^^^^^^^^^^^^^^^^^^^^^^^^^^^^^^^^^^^^^^^^^^^^^^^^^^^^^^^^^^^^^
茅香
(宋《開寶》)
【校正】
並入宋《圖經》香麻。
【釋名】
屍羅(《金光明經》)、香麻。
時珍曰︰蘇頌《圖經》複出香麻一條,雲出福州,煎湯浴風甚良,此即香茅也,閩人呼 茅如麻故爾。今並為一。
蘇頌(소송)의 圖經(도경)에 香麻(향마)의 一條(일조)를 重複(중복)하여 揭(게)한다. 福州(복주)에 産(산)하는 것으로 湯(탕)에 煎(전)하여 風(풍)을 浴(욕)하기에 매우 좋은 것이라 한 것이 바로 이 香茅(향모)를 말함이다. 閩地方(민지방)에서는 茅(모)를 麻(마)라 불렀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다. 지금 여기는 一條(일조)에 倂入(병입)하였다.
【集解】
志曰︰茅香生劍南道諸州,其莖葉黑褐色,花白色,即非白茅香也。
頌曰︰今陝西、河東、汴東州郡亦有之,遼、澤州充貢。三月生苗,似大麥。五月開白花,亦有黃花者。有結實者,有無實者。並正月、二月採根,五月採花,八月採苗。
宗奭曰︰茅香根如茅,但明潔而長。可作浴湯,同 本尤佳。仍入印香中,合香附子用。
時珍曰︰茅香凡有二︰此是一種香茅也;其白茅香,別是南番一種香草。《唐慎微本草》 不知此義,乃以白香詣註引入茅 香之下今並提歸各條。
花
【氣味】
苦,溫,無毒。
【主治】
中惡,溫胃止嘔吐,療心腹冷痛(《開寶》)。
中惡(중악)에 胃(위)를 溫(온)하고, 嘔吐(구토)를 止(지)하며, 心腹(심복)의 冷痛(냉통)을 治療(치료)한다.
【附方】
新一。
冷勞久病︰茅香花、艾葉四兩,燒存性,研末,粟米飯丸梧子大。初以蛇床子湯下二十丸至三十丸,微吐不妨,後用棗湯下,立效。(《聖濟總錄》)
苗、葉
【主治】
作浴湯,辟邪氣,令人身香(《開寶》)。
浴湯(욕탕)에서 使用(사용)하면 邪氣(사기)를 물리치고, 身體(신체)를 香氣(향기)롭게 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귤(金橘)[본초강목] (0) | 2022.08.18 |
---|---|
나미(糯米)[본초강목] (0) | 2022.08.09 |
식수유(食茱萸)[본초강목] (0) | 2022.07.27 |
오수유(吳茱萸)[본초강목] (0) | 2022.07.27 |
등자피(橙子皮)[본초강목]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