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6. 8. 23:06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건칠(乾漆)[본초강목]
^^^^^^^^^^^^^^^^^^^^^^^^^^^^^^^^^^^^^^^^^^^^^^^^^^^^^^^^^^^^^^^
漆
(《本經》上品)
【釋名】
時珍曰︰許慎《說文》雲︰漆本作桼,木汁可以䰍物,其字象水滴而下之形也。
許愼(허신)의 設文(설문)에는 “漆(칠)은 월래 桼(칠)이라고 썼다. 나무의 汁(즙)은 物(물)을 䰍(휴)하는 데 使用(사용)한다. 그 字(자)느 sanf이 滴下(적하)하는 形(형)을 나타낸 것이다.” 고 하였다.
【集解】
《別錄》曰︰幹漆生漢中山穀。夏至後采,乾之。
弘景曰︰今梁州漆最甚,益州亦有。廣州漆性急易燥。其諸處漆桶中自然乾者,狀如蜂房孔孔隔者為佳。
保升曰︰漆樹高二、三丈餘,皮白,葉似椿,花似槐,其子似牛李子,木心黃。六月、七月刻取滋汁。金州者最善。漆性並急,凡取時須荏油解破,故淳者難得,可重重別製拭之。
上等清漆,色黑如 ,若鐵石者好。黃嫩若蜂窠者不佳。
頌曰︰今蜀、漢、金、峽、襄、歙州皆有之。以竹筒釘入木中,取汁。崔豹《古今注》汁則成漆也。
宗奭曰: 濕漆藥中未見,用者皆幹漆爾。其濕者,在燥熱及霜冷時則難幹;得陰濕,雖寒月亦易幹,亦物之性也。若沾漬人,以油治之。凡驗漆,惟稀者以物蘸起,細而不斷,斷而急收,更又塗於幹竹上,蔭之速幹者,並佳。
濕漆(습칠)은 藥中(약중)에는 아직 없다. 사용하는 것은 모두 乾漆(건칠)뿐이다. 그 濕(습)한 것은 燥熱(조열) 및 霜冷時(상랭시)에 乾燥(건조)하기가 어렵고, 陰濕(음습)을 얻으면 寒氣(한기)에도 쉽게 乾燥(건조)된다. 역시 物(물)의 性(성)인 것이다. 사람에게 沾漬(첨지)한 경우에는 油(유)로 治(치)한다. 대개 칠(漆)을 시험(試驗)하려면 오직 稀祈(희기)한 것을 物(물)에 蘸(잠)해 보고, 細斷(세단)하지 않고, 斷(단)하면 急(급)히 收(수)하며, 또한 다시 乾竹上(건죽상)에다 발라 蔭置(음치)하여 乾燥(건조)하는 경우에는 모두 佳品(가품)인 것이다.
時珍曰: 漆樹人多種之,春分前移栽易成,有利。其身如柿,其葉如椿。
以金州者爲佳,故世稱金漆,人多以物亂之。試訣有雲:微扇光如鏡,懸絲急似鉤。撼成琥珀色,打著有浮漚。今廣浙中出一種漆樹,似小榎而大。六月取汁漆物,黃澤如金,即《唐書》所謂黃漆者也。入藥仍當用黑漆。廣南漆作飴糖氣,沾沾無力。
즉, 唐書(당서)에는 黃漆(황칠)이라는 것이 있다. 藥(약)에 넣을 때는 黑漆(흑칠)을 使用(사용)해야 한다.
幹漆
【修治】
大明曰︰幹漆入藥,須搗碎炒熟。不爾,損人腸胃若是濕漆,煎乾更好。亦有燒存性者。
乾漆(건칠)을 藥(약)에 넣으려면 搗碎(도쇄)하여 炒熟(초숙)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腸胃(장위)가 損傷(손상)된다. 만약 濕漆(습칠)을 煎乾(전건)한 것이라면 더욱 좋다. 또한 燒(소)하여 性(성)을 保存(보존)하는 경우도 있다.
【氣味】
辛,溫,無毒。
權曰︰辛、鹹。宗奭曰︰苦。
元素曰︰辛,平,有毒。降也,陽中陰也。
辛(신), 平(평), 有毒(유독)하고 降(강)이다. 陽中(양중)의 陰(음)이다.
之才曰︰半夏為之使。畏雞子,忌油脂。
弘景曰︰生漆毒烈,人以雞子和服之去蟲,猶自嚙腸胃也。畏漆人乃致死者。外氣亦能使身肉瘡腫,自有療法。
生漆(생칠)은 毒烈(독렬)하다. 鷄子(계자)로 調服(조복)하면 除蟲(제충)한다. 역시 스스로 腸胃(장위)를 嚙(교)하는 것과 같다. 漆(칠)을 畏(외)하는 사람은 致死(치사)하게 되는 것이다. 外氣(외기)도 역시 곧잘 身肉(신육)을 瘡腫(창종)하게 한다. 그것에는 自然療法(자연요법)이 있다.
大明曰︰毒發,飲鐵漿並黃櫨汁、甘豆湯、吃蟹,並可製之。
毒發(독발)한 경우에는 鐵漿(철장) 및 黃櫨汁(황로즙), 甘豆湯(감두탕)을 마시고 蟹(해)를 먹는다. 모두 다스릴 수 있는 것이다.
時珍曰︰今人貨漆多雜桐油,故多毒。《淮南子》雲︰蟹見漆而不幹。《相感志》雲︰漆得蟹而成水。蓋物性相製也。凡人畏漆者,嚼蜀椒塗口鼻則可免。生漆瘡者,杉木湯、紫蘇湯、漆姑草湯、蟹湯浴之,皆良。
지금 일반적으로 팔고 있는 漆(칠)은 대개 燈油(등유)를 섞고 있다. 그래서 毒(독)이 많다. 淮南子(회남자)에는 “蟹(해)가 漆(칠)을 보면 乾(건)하지 않는다.”라고 하였으며, 相感志(상감지)에는 “漆(칠)이 蟹(해)를 만나면 물이 된다.”라고 하였다. 역시 物性(물성)의 相制(상제)의 關係(관계)인 것이다. 대개 사람이 漆(칠)을 畏(외)하는 것은 蜀椒(촉초)를 嚼(작)하여 입, 코에 바르면 免(면)할 수 있다. 漆瘡(칠창)이 發生(발생)한 경우에는 杉木湯(삼목탕), 紫蘇湯(자소탕), 漆姑草湯(칠고초탕), 蟹湯(해탕)에 浴(욕)한다. 모두 좋은 것이다.
【主治】
絕傷,補中,續筋骨,填髓腦,安五臟,五緩六急,風寒濕痺。
絶傷(절상), 補中(보중), 筋骨(근골)을 이으며, 髓腦(수뇌)를 塡(전)하고, 五臟(오장)을 安定(안정)시키며, 五緩(오완), 六急(육급), 風寒濕痺(풍한습비).
生漆︰去長蟲。 久服,輕身耐老(《本經》)。
生漆(생칠): 長蟲(장충)을 거(去)하는데 구복(久服)하면 경신(輕身), 내로(耐老)한다.
幹漆︰療咳嗽,消瘀血痞結腰痛,女子疝瘕,利小腸,去蛔蟲(《別錄》)。
건칠(乾漆): 해수(咳嗽)를 요(療)하고, 어혈(瘀血)을 해소(解消)한다. 비결(痞結), 요통(腰痛), 여자(女子)의 산가(疝瘕), 소장(小腸)으르 이(利)하고, 회충(蛔蟲)을 제거(除去)한다.
殺三蟲,主女人經脈不通。(甄權)。
삼충(三蟲)을 살(殺)하고 여인(女人)의 경맥불통(經脈不通)에 주효(主效)하다.
治傳屍勞,除風。(大明)。
전시로(傳屍勞)를 치(治)하고 풍(風)을 제거(除去)한다.
削年深堅結之積滯,破日久凝結之瘀血。(元素)
장년(長年)의 堅結積滯(견결적체)을 削(삭)하고, 오랫동안 凝結(응결)되 瘀血(어혈)을 破(파)한다.
【發明】
弘景曰︰仙方用蟹消漆爲水,煉服長生。《抱樸子》雲:淳漆不粘者,服之通神長生。或以大蟹投其中,或以雲母水,或以玉水合之服,九蟲悉下,惡血從鼻出。服至一年,六甲、行廚至也。
仙方(선방)에서는 蟹(해)를 使用(사용)하면 漆(칠)을 消(소)하여 물이 된다고 하였으며, 鍊服(연복)하면 長生(장생)한다고 하였고, 抱樸子(포박자)에는 “淳漆(순칠)이 粘(점)하지 않는 것을 服用(복용)하면 通神長生(통신장생)한다. 혹은 大蟹(대해)를 그 속에 投(투)하고, 혹은 雲母水(운모수), 玉水(옥수)로 合服(합복)하면 九蟲(구충)이 모두 下(하)하고, 惡血(악혈)이 코에서 나온다. 服用(복용)한지 一年(일년)이 되면 六甲行廚(육갑행주)에 이른다.” 고 하였다.
震亨曰:漆屬金,有水與火,性急而飛補。用爲去積滯之藥,中節則積滯去後,補性內行,人不知也。
漆(칠)은 金(금)에 屬(속)하고, 水(수)와 火(화)를 가졌으며, 性急(성급)하여 난다. 補(보)로서 사용하면 積滯(적체)를 除去(제거)하는 藥(약)이 되고, 節(절)에 닿으면 積滯(적체)가 除去(제거)되고, 後(후)에 補性(보성)이 內行(내행)하는 것인데 一般(일반)은 모르고 있다.
時珍曰: 漆性毒而殺蟲,降而行血。所主諸證雖繁,其功只在二者而已。
漆(칠)은 性(성)이 有毒(유독)하여 殺蟲(살충)하고 降(강)함으로써 行血(행혈)하게 한다. 주가 되는 諸証(제증)은 繁多(번다)하나, 그 功(공)은 다만 二者(이자)에 있을 뿐이다.
【附方】
舊四,新七。
小兒蟲病胃寒危惡證與癇相似者。
幹漆搗燒煙盡、白蕪荑等分,爲末。
米飲服一字至一錢。《杜壬方》。
九種心痛及腹脅積聚滯氣。
筒內幹漆一兩,搗炒煙盡,研末,醋煮面糊丸梧子大。
每服五丸至九丸,熱酒下。《簡要濟眾》。
女人血氣婦人不曾生長,血氣疼痛不可忍,及治丈夫疝氣、小腸氣撮痛者,並宜服二聖丸。
濕漆一兩,熬一食頃,入幹漆末一兩,和丸梧子大。
每服三四丸,溫酒下。怕漆人不可服。《經驗方》。
女人經閉《指南方》萬應丸:治女人月經瘀閉不來,繞臍寒疝痛徹,及產後血氣不調,諸癥瘕等病。
用幹漆一兩,打碎,炒煙盡,牛膝末一兩,以生地黃汁一升,入銀、石器中慢熬,俟可丸,丸如梧子大。
每服一丸,加至三五丸,酒、飲任下,以通爲度。
《產寶方》治女人月經不利,血氣上攻,欲嘔,不得睡。
用當歸四錢,幹漆三錢,炒煙盡,爲末,煉蜜丸梧子大。
每服十五丸,空心溫酒下。
《千金》治女人月水不通,臍下堅如杯,時發熱往來,下痢羸瘦,此爲血瘕。若生肉症,不可治也。
幹漆一斤燒研,生地黃二十斤取汁和,煎至可丸,丸梧子大。
每服三丸,空心酒下。
產後青腫疼痛,及血氣水疾。
幹漆、大麥芽等分,爲末,新瓦罐相間鋪滿,鹽泥固濟,鍛赤,放冷研散。
每服一二錢,熱酒下。但是產後諸疾皆可服。《婦人經驗方》。
十丸至百丸。(《直指方》)。
五勞七傷補益方:用幹漆、柏子仁、山茱萸、酸棗仁各等分,爲末,蜜丸梧子大。
每服二七丸,溫下,日二服。《千金方》。
喉痹欲絕不可針藥者。
幹漆燒煙,以筒吸之。《聖濟總錄》。
解中蠱毒平胃散末,以生漆和,丸梧子大。
每空心溫酒下七十丸至百丸。《直指方》。
下部生瘡生漆塗之良。《肘後方》。
漆葉
【氣味】
缺。
【主治】
五屍勞疾,殺蟲。曝乾研末,日用酒服一錢匕(時珍)。
五屍勞疾(오시노질)에 殺蟲(살충)한다. 暴乾硏末(폭건연말)하고, 每日(매일) 酒(주)로 一錢匕(일전비)를 服用(복용)한다.
【發明】
頌曰︰《華佗傳》載︰彭城樊阿,少師事佗。佗授以漆葉青粘散方,雲服之去三蟲,利五臟,輕身益氣,使人頭不白。阿從其言,年五百餘歲。漆葉所在有之。青粘生豐沛、彭城及朝歌。一名地節,一名黃芝。
華佗傳(화타전)의 記載(기재)에 “彭城(팽성)의 樊阿(번아)는 小時(소시)에 華佗(화타)에게 師事(사사)하였다. 華佗(화타)는 漆葉青粘散(칠엽청점산)의 方(방)을 傳授(전수)하면서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三蟲(삼충)이 除去(제거)되고, 五臟(오장)이 通利(통리)하며, 輕身益氣(경신익기)하고, 頭髮(두발)이 하얗게 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樊阿(번아)는 그 말에 따르면 나이가 五百餘歲(오백여세)였다. 漆葉(칠엽)은 到處(도처)에 있다. 青粘(청점)은 豐沛(풍패)、彭城(팽성) 및 朝歌(조가)에서 나온다. 一名(일명) 地節(지절), 一名(일명) 黃芝(황지)라고 한다.
主理五臟,益精氣。本出於迷人入山,見仙人服之,以告佗。佗以為佳,語阿。阿秘之。近者人見阿之壽而氣力強盛,問之。因醉誤說,人服多驗。後無複有人識青粘,或雲即黃精之正葉者也。
五臟(오장)을 理(이)하고, 精氣(정기)를 補益(보익)하는데 主效(주효)가 있다. 元來(원래)는 山(산)에 迷入(미입)한 사람이, 仙人(선인)이 이것을 먹는 것을 본 데서 비롯한 것인데 그 사람이 華佗(화타)에게 傳(전)하였고 華佗(화타)는 그것을 佳品(가품)이라고 樊阿(번아)에게 말했던 것을 樊阿(번아)는 秘密(비밀)로 하고 있었으나 近頃(근경)의 世人(세인)이 樊阿(번아)가 長壽(장수)하면서 氣力(기력)이 強盛(강성)한 것을 보고 그 까닭을 묻자 樊阿(번아)는 醉(취)해 있던 때라서 잘못하여 이야기하고 말았다. 그로부터 世人(세인)이 服用(복용)하게 되었는데 많은 效驗(효험)이 있었다고 한다. 後世(후세)에서 青粘(청점)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 全無(전무)하다. 或者(혹자)는 이것을 黃精(황정)의 正葉(정엽)이라고도 한다.
時珍曰︰按︰葛洪《抱樸子》雲︰漆葉、青粘,凡藪之草也。樊阿服之,得壽二百歲,而耳目聰明,猶能持針治病。此近代之實事,良史所記注者也。洪說猶近於理,前言阿年五百歲者,誤也。或雲青粘即葳蕤。
생간하건데 葛洪(갈홍)의 抱樸子(포박자)에는 “漆葉(칠엽), 青粘(청점)은 凡藪(범수)의 草(초)이다. 樊阿(번아)는 이것을 먹고 二百歲(이백세)로 長壽(장수)하였고, 耳目(이목)이 聰明(총명)하였으며, 곧잘 鍼(침)으로 病(병)을 治療(치료)하였다. 이것은 近代(근대)의 事實(사실)로서 良史(양사)가 記註(기주)한 바이다.”라고 하였다. 洪(홍)의 說(설)이 理致(이치)에 가까운 것 같다. 前項(전항)에 나이가 五百歲(오백세)라는 것은 틀린 것이다. 또한 青粘(청점)이란 葳蕤(위유)를 말한 것이라고도 한다.
漆子
【主治】
下血(時珍)。
下血(하혈)
漆花
【主治】
小兒解顱、腹脹、交脛不行方中用之(時珍)。
小兒(소아)의 解顱(해로), 腹脹(복창), 交脛(교경)하여 不進(부진)하는 것의 方中(방중)에 이것을 使用(사용)한다.
[本草綱目]
아래는 읽어 보시라고 인용합니다.
☯칠엽청점산(漆葉青粘散)☯
漆葉青黏散,相傳是三國時期名醫華佗所遺下之古方,距今已有近兩千年的曆史。
青黏之說有兩種,一種認爲是玉竹,另一種認爲是黃精。漆葉一物,本草記載較少,《本草圖經》認爲是漆樹葉。
樊阿向華佗求取可以服用而對人體有好處的東西(藥物),華佗傳授給他“漆葉青黏散”:漆葉的粉末一升,青黏的粉末十四兩,按這個做比例,說是長期服用此藥能打掉三種寄生蟲(蛔蟲、赤蟲、蟯蟲),對五臟有利,使身體輕便,使人的頭發不會變白。樊阿遵照他的話去做,活到一百多歲。漆葉到處都有,青黏據說生長在豐、沛、彭城和朝歌一帶。
☯《本草新編》 > 卷之三(角集)
葳蕤
葳蕤,味甘,氣平,無毒。一名玉竹,即華佗所食漆葉青粘散中之青粘也。入心、腎、肺、肝、脾五臟。補中益氣,潤津除煩。主心腹結氣,虛熱濕毒。治腰腳冷痛,定狂止驚,眼目流淚,風淫手足,皆治之殊驗。去黑 ,澤容顏,烏發須,又其小者。此物性純,補虛熱,且解濕毒。凡虛人兼風濕者,俱宜用之,但其功甚緩,不能救一時之急,必須多服始妙。近人用之於湯劑之中,冀目前之速效,難矣。且葳蕤補陰,必得人參補陽,乃陰陽既濟之妙,所收功用實奇。故中風之症,葳蕤與人參煎服,必無痿廢之憂。驚狂之病,葳蕤與人參同飲,斷少死亡之病。蓋人參得葳蕤益力,葳蕤得人參鼓勇也。
或問葳蕤,華元化加入漆葉,以黑髭須,近人用之不驗,何也?蓋葳蕤原不能烏須,因得漆葉,乃能黑矣,然漆葉離葳蕤又無效,二味兩相制,兩相成,今人用之不效者,非輕重之不同,即服食之不如法。猶記楚大中丞林公諱天擎者,曾服此方,年七旬而須髯如漆。問其服食方法,二味各等分,子、午、卯、酉之時,各服三分,數十年如一日也。天下能如林公之服法者乎。或一日服、一日不服,或早服、晚不服,或分兩之多寡不同,安得盡效哉。
或問葳蕤功用甚緩,今人皆比於人參之補益,謂人參之功驗無力,葳蕤之功緩有成,然乎?
否乎?嗟乎!葳蕤、人參,烏可同日論。人參有近功,更有後力,豈葳蕤之可比。惟是葳蕤功緩,久服實有專效,如中風痿症,佐人參爲調理之藥,殊有益耳。
或疑葳蕤爲黃精之別種,黃精功用甚緩,宜葳蕤之功久緩,先生刪黃精,取葳蕤,又謂之何?夫葳蕤實與黃精相同,刪黃精而不刪葳蕤者,取其治痿廢之症,宜於緩圖而得效,爲不同於黃精也。
☯《本草經解》 > 附餘
葳蕤
本經主中風暴熱.不能動搖.跌筋結肉諸不足.久服去面黑 .好顏色.潤澤.輕身不老.解要主別錄也.綱目雲.治諸不足.用代參 .不寒不燥.大有殊功.解要內同漆葉方.即華佗漆葉青粘散.青粘世無能識.或雲黃精之正葉者.或雲即葳蕤也.然吾鄉有兩老儒.先後服此方皆致殞.或雲漆葉乃五茄皮葉.本經名豺漆也.裏有兵子臂痛不能挽弓.或教用葳蕤一斤五加皮四兩浸酒飲.盡一卣.健旺勝常.豈古方正爾.綱目殆誤附漆樹下耶.漆本有毒.本經久服輕身.即抱樸子雲通神長生.皆難信.綱目謂因貨漆人雜桐油.故多毒.亦非.有割漆人誤覆漆.遍體瘡至莫救.向在中山親見.況服食乎.弘景雲.生漆毒烈是也.古無用葉者.故氣味缺.綱目殆因古方.臆立主治耳.
☯《本草圖經》 > 草部上品之上卷第四
黃精
黃精(圖缺),舊不載所出州郡,但雲生山穀,今南北皆有之。以嵩山、茅山者爲佳。三月生苗,高一、二尺以來;葉如竹葉而短,兩兩相對;莖梗柔脆,頗似桃枝,本黃末赤;四月開細青白花,如小豆花狀;子白如黍,亦有無子者。根如嫩生薑,黃色;二月采根,蒸過曝幹用。
今通八月采,山中人九蒸九曝,作果賣,甚甘美,而黃黑色。江南人說黃精苗葉,稍類鉤吻,但鉤吻葉頭極尖,而根細。
蘇恭注雲∶鉤吻蔓生,殊非此類,恐南北所產之異耳。初生苗時,人多采爲菜茹,謂之筆菜,味極美,采取尤宜辨之。隋·羊公服黃精法雲∶黃精是芝草之精也。一名葳蕤,一名仙人餘糧,一名苟格,一名菟竹,一名垂珠,一名馬箭,一名白芨。二月、三月采根,入地八、九寸爲上。細切一石,以水二石五鬥,煮去苦味,漉出,囊中壓取汁,澄清,再煎如膏乃止。以炒黑豆黃末相和,令得所,捏作餅子如錢許大。初服二枚,日益之,百日知。亦焙幹篩末,水服,功與上等。
《抱樸子》雲∶服黃精花勝其實。花,生十斛,幹之可得五、六鬥,服之十年,乃可得益。又
《博物志》雲∶天老謂黃帝曰∶太陽之草,名黃精,餌之可以長生。
世傳華佗漆葉青粘散雲∶青粘是黃精之正葉者,書傳不載,未審的否。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문동(麥門冬)[본초강목] (0) | 2022.06.27 |
---|---|
향연(香櫞)[본초강목] (0) | 2022.06.27 |
염부자(鹽麩子)[본초강목] (0) | 2022.06.08 |
오배자(五倍子)[본초강목] (0) | 2022.06.08 |
산구(山韭)[본초강목]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