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부자(鹽麩子)[본초강목]

2022. 6. 8. 21:59[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염부자(鹽麩子)[본초강목]

 

붉나무/염부자(鹽麩子)

 

 

 

붉나무

 

 

학명:Rhus javanica L.

분류군: Anacardiaceae(옻나무과)

 

 

 

 

잎은 호생하고 7~13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며 엽축에 날개가 있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5~12cm, 나비 2.5~6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질이 두껍다.

 

열매

과실은 핵과로 편구형이고 자황색 또는 백록색으로 짧은 털이 밀생하며 10월에 성숙하고 껍질은 산염미가 있다.

 

꽃은 이가화로 7~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5~30cm이고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조각, 꽃잎 및 수술은 각각5개이고 암꽃은 퇴화한 5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줄기

작은 가지는 황색이며 어린가지, 엽병, 잎 뒤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히말라야, 타이, 버마, 인도지나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 소교목이다.

크기

높이 7m에 달한다.

 

 

 

학명 Rhus javanica L.

 

1. Rhus chinensis Mill.

Gard. dict. ed. 18. : RHU (176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Rhus javanica var. chinensis (Mill.) T.Yamaz.

J. Jap. Bot. 68 : 240 (199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Rhus javanica var. intermedia Nakai

Bull. Natl. Sci. Mus. Tokyo 31 : 71 (195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Rhus osbeckii Decne. ex Steud.

Nom. Bot. ed. 2, 2 : 452 (184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Rhus semialata Murray

Comm. Soc. Sci. Goett. 6 : 27 (178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Rhus semialata var. osbeckii DC.

Prodr. (DC.) 2 : 67 (DC., 182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Toxicodendron semialatum (Murray) Kuntze

Revis. Gen. Pl. 1 : 154 (Kuntze, 189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문헌정보

기재문

 

국명 붉나무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굴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불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뿔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4. 오배자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일본명

ヌルデ

 

 

 

 

 

Rhus javanica L.

Sp. Pl. 1: 265. 1753 [1 May 1753]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아단자(鴉膽子)

 

Brucea javanica (Linn.) Merr.

 

 

이명(異名)

 

 

Brucea amarissima (Lour.) Desv. ex Gomez

Brucea sumatrana Roxb.

Gonus amarissimus Lour.

Rhus javanica L.

Tetradium amarissimum Poir.

Ailanthus gracilis Salisb.

Brucea glabrata Decne.

Brucea gracilis (Salisb.) DC.

Brucea sumatrensis Spreng.

 

 

 

 

灌木或小喬木高達3全體均被黃色柔毛單數羽狀複葉互生20-40厘米小葉5-11通常7,卵狀披針形5-10厘米2-4厘米基部寬楔形而常偏斜頂端短漸尖邊緣有粗鋸齒圓錐花序腋生雌雄異株雄花序長15-25厘米雌花序長爲雄花序的1/2左右花小暗紫色4裂片卵形花瓣4長橢圓狀披針形雄蕊4,著生於花盤之外子房4深裂核果橢圓形黑色具突起的網紋

 

 

分布於我國南部印度至大洋洲也有常見於山野或灌叢中種仁含油約55%入藥有殺蟲治瘧止痢之效

 

^^^^^^^^^^^^^^^^^^^^^^^^^^^^^^^^^^^^^^^^^^^^^^^^^^^^^^^^^^^^^^

 

 

 

 

염부목(鹽膚木)/오배자(五倍子)/염부자(鹽麩子)

 

 

옻나무과

 

염부목(鹽膚木)

 

Rhus chinensis Mill.

 

 

이명(異名)

 

Rhus semialata var. osbeckii DC.

Rhus osbeckii Decne. ex Steud.

Schinus indicus Burm.

 

 

 

灌木或小喬木5-10小枝葉柄及花序都密生褐色柔毛單數羽狀複葉互生葉軸及葉柄常有翅小葉7-13紙質5-12厘米2-5厘米邊有粗鋸齒下面密生灰褐色柔毛圓錐花序頂生花小雜性黃白色萼片5-6花瓣5-6,核果近扁圓形直徑約5毫米紅色有灰白色短柔毛

 

除青海新疆外分布幾遍全國朝鮮日本馬來西亞生疏林灌叢中枝葉上寄生的五倍子蟲瘦用於輕工業及醫藥根有消炎利尿作用種子油可制皂

 

 

Rhus chinensis Mill.

Gard. Dict., ed. 8. n. 7. 1768 [16 Apr 1768]

n. 7 1768

 

 

 

^^^^^^^^^^^^^^^^^^^^^^^^^^^^^^^^^^^^^^^^^^^^^^^^^^^^^^^^^^^^^^^^^^^

 

鹽麩子

 

(《開寶》)

 

校正

 

自木部移入此

 

釋名

 

(木備)鹽膚子(《綱目》)、鹽梅子)、)、木鹽(《通志》)、天鹽(《靈草篇》)、叛奴鹽 拾遺》、酸桶拾遺》。

 

藏器曰蜀人謂之酸桶亦曰酢桶吳人謂之鹽麩戎人謂之木鹽

 

蜀地方(촉지방)에서는 이것을 酸桶(산통) 또는 酢桶(초통)이라고 하고, 吳地方(오지방)에서는 鹽麩(염부)라 한다. 戎地方(융지방)에서는 이것을 木鹽(목염)이라 한다.

 

時珍曰其味酸故有諸名。《山海經橐山多(木備)郭璞注雲(木備)木出蜀中八月吐穗成時如有鹽粉可以酢羹即此也後人訛爲五倍矣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諸名(제명)이 있는 것이다. 山海經(산해경)에는 橐山(탁산)(木備)이 많다.” 라고 하였으며, 郭璞(곽박)()에는 (木備)蜀中(촉중)産出(산출)된다. ()~八月(팔월)()가 나오고, 成熟(성숙)하면 鹽粉(염분)이 있는 것과 같은 것인데 ()를 사용하여 ()을 만든다.”라고 한 것이 곧 이것이다. 後世(후세)에는 轉訛(전와)하여 五倍(오배)가 된 것이다.

 

 

 

 

 

集解

 

藏器曰鹽麩子生吳蜀山穀樹狀如椿七月子成穗粒如小豆上有鹽似雪可為羹用嶺南人取子為末食之酸鹹止渴將以防瘴

 

時珍曰膚木即(木備)東南山原甚多木狀如椿其葉兩兩對生長而有齒面青背白有細毛味酸正葉之下節節兩邊有直葉貼莖如箭羽狀六月開花青黃色成穗一枝累累七月結子大如細豆而扁生青熟微紫色其核淡綠狀如腎形核外薄皮上有薄鹽小兒食之蜀人采為木鹽葉上有蟲結成五倍子八月取之詳見蟲部。《後魏書勿吉國水氣鹹凝鹽生樹上即此物也別有鹹平樹鹹草酸角皆其類也附見於下

 

 

 

 

 

氣味

 

微寒無毒

 

鹽霜製汞

 

鹽霜(염상)(), ()()한다.

 

 

主治

 

除痰飲瘴瘧喉中熱結喉痺止渴解酒毒黃疸飛屍蠱毒天行寒熱痰嗽變白生毛發去頭上白屑搗末服之藏器)。

 

痰飮(담음), 瘴瘧(장학), 喉中(후중)熱結(열결), 喉痺(후비)除去(제거)하고, 止渴(지갈)하며, 酒毒黃疸(주독황달), 飛屍蠱毒(비시고독), 天行寒熱(천행한열), 咳嗽(해수)解消(해소)하고, 白髮(백발)()하며, 毛髮(모발)을 나오게 하고, 頭上(두상)白屑(백설)除去(제거)한다. 搗末(도말)하여 服用(복용)한다.

 

生津降火化痰潤肺滋腎消毒止痢收汗治風濕眼病時珍)。

 

生津(생진)하고 降火(강화)하며, 潤肺(윤폐)하고, 滋腎消毒(자신소독)하며, 止痢(지리)하고 收汗(수한)하며, 風濕眼病(풍습안병)()한다.

 

 

 

發明

 

時珍曰鹽麩子氣寒味酸而鹹陰中之陰也鹹能軟而潤故降火化痰消毒酸能收而澀故生津潤肺止痢腎主五液入肺為痰入脾為涎入心為汗入肝為淚自入為唾其本皆水也

 

鹽麩子(염부자)()(), ()(),()하다. 陰中(음중)()인 것이다. ()()하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降火化痰(강화화담)하고, 消毒(소독)한다. ()은 곧잘 收澀(수삽)하는 것이기 때문에 生津潤肺(생진윤폐)하고 止痢(지리)하는 것이다. ()主管(주관)하는 五液(오액)()에 들어가 ()이 되고, ()에 들어가 ()이 되며, ()에 들어가 ()이 되고, ()에 들어가 ()가 되며, 自體(자체)()에 들어가 ()가 된다. ()은 모두 물인 것이다.

 

鹽麩五倍先走腎有救水之功所以痰涎盜汗風濕下淚涕唾之証皆宜用之

 

鹽麩(염부), 五倍(오배)는 먼저 腎肝(신간)으로 走行(주행)하여 물을 ()하는 ()이 있다. 그래서 痰涎(담연), 盜汗(도한), 風濕(풍습), 下淚(하루), 涕唾(체타)()은 모두 이것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樹白皮

 

 

主治

 

破血止血蠱毒血痢殺蛔蟲並煎服之開寶》。

 

破血止血(파혈지혈)한다. 蠱毒血痢(고독혈리), 蛔蟲(회충)()하기 위해서는 ()하녀 煎服(전복)한다.

 

 

 

 

根白皮

 

主治

 

酒疸搗碎米泔浸一宿平旦空腹溫服一二升(《開寶》)。

 

酒疸(주달)에는 搗碎(도쇄)하여 米泔(미감)에 하룻밤 ()하고, 早朝(조조)空腹(공복)()~二升(이승)溫服(온복)한다.

 

 

諸骨鯁以醋煎濃汁時呷之時珍)。

 

諸骨哽(제골경)에는 醋煎(초전)濃汁(농즙)을 수시로 ()한다.

 

 

發明

 

時珍曰︰《本草集議鹽麩子根能軟雞骨岑公雲有人被雞骨鯁項腫可畏用此根煎醋啜至三碗便吐出也

 

本草集議(본초집의)鹽麩子根(염부자근)는 곧잘 鷄骨(계골)()하게 한다. 岑公(잠공)은 어떤 사람이 雞骨鯁(계골경)으로 ()()하고, 危險(위험)한 상태에 빠졌는데 이 뿌리를 醋煎(초전)하여 三椀(삼완)까지 ()하자 吐出(토출)하였다.

 

又彭醫官治骨鯁以此根搗爛入鹽少許綿裹以線系定吞之牽引上下亦釣出骨也

 

彭醫官(팽의관)骨鯁(골경)()할 때 이 뿌리를 사용하여 搗爛(도란)한 다음 () 少量(소량)()하고 솜으로 싸서 ()으로 ()하여 삼키고, 그것을 上下(상하)牽引(견인)하여 역시 그 ()釣出(조출)하였다.”라고 하였다.

 

 

[本草綱目(본초강목)]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연(香櫞)[본초강목]  (0) 2022.06.27
건칠(乾漆)[본초강목]  (0) 2022.06.08
오배자(五倍子)[본초강목]  (0) 2022.06.08
산구(山韭)[본초강목]  (0) 2022.05.31
여로(藜蘆)[본초강목]  (0) 2022.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