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로(藜蘆)[본초강목]

2022. 5. 23. 19:46[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여로(藜蘆)[본초강목]

 

 

 

 

^^^^^^^^^^^^^^^^^^^^^^^^^^^^^^^^^^^^^^^^^^^^^^^^^^^^^^^^^^^^^^^^^^^^^^^^^^^^^

 

 

 

藜蘆

 

(《本經下品

 

 

釋名

 

山蔥(《別錄》)蔥苒(《本經》)蔥菼音毯別錄》)蔥葵豐蘆憨蔥(《綱目》)鹿蔥

 

時珍曰黑色曰黎其蘆有黑皮裹之故名根際似蔥俗名蔥管藜蘆是矣北人謂之憨蔥南人謂之鹿蔥

 

黑色(흑색)()라고 한다. ()黑皮(흑피)가 감싸고 있는 까닭에 名稱(명칭)된 것이다. () 끝이 ()과 유사한 것으로 흔히 蔥管藜蘆(총관여로)라고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北方(북방)에서는 이것을 憨蔥(감총)이고 하며, 南方(남방)에서는 鹿蔥(녹총)이라고 한다.

 

 

集解

 

別錄藜蘆生太山山穀三月採根陰乾

 

普曰大葉小根相連

 

弘景曰近道處處有之根下極似蔥而多毛用之止剔取根微炙之

 

保升曰所在山穀皆有葉似鬱金秦艽荷等根若龍膽莖下多毛夏生冬凋八月採根

 

頌曰今陝西山南東西州郡皆有之遼州均州解州者尤佳三月生苗葉青似初出棕心又似車前莖似蔥白青紫色高五六寸上有黑皮裹莖似棕皮有花肉紅色根似馬腸根長四五寸許黃白色二月三月採根陰乾此有二種 同只是生在近水溪澗石上根須百餘莖不中藥用今用者名蔥白藜蘆根須甚少只是三二十莖生高山者為佳均州土俗亦呼為鹿蔥。《範子計然雲 出河東黃白者佳.

 

 

 

修治

 

雷曰凡采得去頭用糯米泔汁煮之從巳至未曬乾用

 

대개 이것을 採取(채취)하면 去頭(거두)한 후 糯米泔(나미감)으로 午前(오전) 十時(십시)부터 午後(오후)二時(이시)까지 ()하고 曬乾(쇄건)해서 사용한다.

 

氣味

 

有毒

 

別錄微寒普曰神農雷公有毒岐伯有毒李當之大寒大毒扁鵲有毒

 

之才曰黃連為之使反細辛芍藥人參沙參紫參丹參苦參惡大黃

 

黃連(황련)使()가 되고, 細辛(세신), 芍藥(작약), 人參(인삼), 私蔘(사삼), 紫參(자삼), 丹參(단삼), 苦參(고삼)()하고 大黃(대황)()한다.

 

時珍曰畏蔥白服之吐不止飲蔥湯即止

 

蔥白(총백)()한다. 服用(복용)한 후 ()하고 멎지 않을 때는 蔥湯(총탕)을 마시면 즉시 멎는다.

 

 

主治

 

蠱毒咳逆泄痢腸癖頭瘍疥瘙惡瘡殺諸蟲毒去死肌(《本經》)。

 

蠱毒(고독), 咳逆(해역), 泄痢(설리), 腸癖(장벽), 頭瘍(두양), 疥瘙(개소), 惡瘡(악창), 諸蟲毒(제충독)()하고 邪肌(사기)()한다.

 

療噦逆喉痺不通鼻中息肉馬刀爛瘡不入湯用(《別錄》)。

 

噦逆(얼역), 喉痹不通(후비불통), 鼻中(비중)息肉(식육), 馬刀爛瘡(마도란창)()한다. ()에 넣어서는 쓰지 않는다.

 

 

主上氣去積年膿血泄痢)。

 

上氣(상기)主效(주효)가 있으며, 積年(적년)膿血泄痢(농혈설리)()한다.

 

 

吐上膈風涎暗風癇病小兒 [+]齁痰疾)。

 

上膈(상격)風涎(풍연), 暗風癇病(암풍간병) 小兒(소아)[+]齁痰疾([+]후담질)()하게 한다.

 

 

治馬疥癬宗奭)。

 

()로 하여 使用(사용)하면 馬疥癬(마개선)()한다.

 

 

 

發明

 

頌曰藜蘆服錢匕一字則惡吐人又用通頂令人嚏而別本雲治噦逆其效未詳

 

藜蘆(여로)一錢匕(일전비), 一字(일자)정도를 服用(복용)하기만 해도 極甚(극심)하게 ()하게 된다. 또 이것을 使用(사용)하면 정수리를 ()해서 재채기를 하게 된다. 別錄(별록)噦逆(얼역)()한다.”라고 있긴 하나 그 ()는 아직 詳細(상세)하지 않다.

 

時珍曰噦逆用吐藥亦反胃用吐法去痰積之義吐藥不一常山吐瘧痰瓜丁吐熱痰烏附尖吐濕痰萊菔子吐氣痰藜蘆則吐風痰者也

 

噦逆(얼역)에는 吐藥(토약)을 쓰고 또 反胃(반위)에도 吐法(토법)使用(사용)한다. 이것은 痰積(담적)()함이 目的(목적)이다. 吐藥(토약)單純(단순)하게 一定(일정)한 것이 아니고 常山(상산)瘧痰(학담)()하게 하고, 瓜丁(과정)熱痰(열담)()하게 하며, 烏附尖(오부첨)濕痰(습담)()하게 하고, 蘿葍子(나복자)氣痰(기담)()하게 한다. 藜蘆(여로) 그 자체는 風痰(풍담)()하게 하는 것이다.

 

張子和儒門事親一婦病風癇自六七歲得驚風後每一二年一作至五七年五七作三十歲 或甚至一日十餘作遂昏癡健忘求死而已

 

살펴보면 張子和(장자화)儒門事親(유문사친)風癎(풍간)을 앓는 한 婦人(부인)이 있었는데 ()~七勢(칠세) 무렵부터 驚風(경풍)에 걸려서 그 후로는 ()~二年(이년)마다 一回(일회) 정도 發作(발작)하였고, ()~肉年(육년)후에는 一年(일년)()~ 七回(칠회) 發作(발작)하였으며, 三十(삼십)~四十歲(사십세)에 와서는 날마다 發作(발작)하였는데 심할 경우에는 하루에 十餘回(십여회)發作(발작)하여 마침내 精神(정신)朦朧(몽롱)해져서 바보와 같이 되었으며, 極甚(극심)健忘症(건망증)으로 도리어 죽기를 바라는 狀態(상태)에 빠졌다.

 

 

 

值歲大飢采百草食於野中見草若蔥狀采 歸蒸熟飽食至五更忽覺心中不安吐涎如膠連日不止約一二鬥汗出如洗甚昏 困三日後遂輕健病去食進百脈皆和

 

그러던 차에 이따금 大凶作(대흉작)慘憺(참담)饑饉(기근)을 당하여 野山(야산)에서 온갖 ()를 캐먹고 ()를 간신히 면하던 중에 언뜻 ()과 같은 모양의 ()를 발견하고 그것을 採取(채취)해 와서 蒸熟(증숙)하고 남김없이 먹어 치웠다. 그러자 五更(오경)무렵에 별안간 가슴이 苦痛(고통)스럽더니 ()와 같은 ()()하고 連日(연일) 멎지 않는 채 무릇 ()~二鬥(이두) 정도를 ()했으며 同時(동시)에 씻은 듯이 땀이 나와 極端(극단)으로 衰弱(쇠약)해 졌지만 三日(삼일)후에는 마침내 輕快(경쾌)히 되었으며, ()도 없어지고 食欲(식욕)增進(증진)되어 온갖 脈理(맥리)完全(완전)하게 調和(조화)되었다.

 

 

以所食蔥訪人乃憨蔥苗也即本草藜蘆是矣

 

그래서 먹었던 ()과 같은 ()가 과연 어떤 ()인가를 世人(세인)들에게 알아 보았더니 그것은 憨蔥(감총)()였던 것이었다. 本草(본초)藜蘆(여로)이다.

 

 

圖經言能吐風病此亦偶得吐法耳

 

圖經(도경)에는 ()風病(풍병)()하게 한다.” 라고 하지만 이 婦人(부인)의 경우는 偶然(우연)하게 그 吐法(토법)合致(합치)했던 것을 먹었던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我朝荊和王妃劉氏年七十病中風不省人事牙關緊閉群醫束手先考太醫吏目月池翁診視藥不能入自午至子不獲已打去一齒濃煎藜蘆湯灌之少頃噫氣一聲遂吐痰而蘇調理而安

 

우리 明朝(명조)荊和王妃(형화왕비) 劉氏(유씨)가 나이 七十(칠십)中風(중풍)을 앓았을 때 人事不省(인사불성)이 되어 牙關(아관)緊閉(긴폐)해서 많은 醫師(의사)들은 모두 가망이 없다고 포기했다. 그때 내가 先考(선고) 太醫吏目(태의이목)月池翁(월지옹)診察(진찰)을 했는데 正午(정오)부터 午後(오후) 十二時(십이시)까지 온갖 힘을 다했어도 ()()할 수 없었기 때무에 부득이 한 개의 ()를 깨뜨리고 그 곳에다 濃煎(농전)藜蘆湯(여로탕)灌入(관입)시켰다. 얼마 후에 一聲(일성)噫氣(애기)를 지르고 同時(동시)()()하더니 마침내 되살아났다. 이로부터 비로소 治療(치료)()하니 平安(평안)을 되찾게 되었다.

 

 

 

藥弗瞑眩厥疾弗瘳誠然

 

瞑眩(명현)하지 않는 ()으로서는 그 ()治癒(치유)하지 못한다고 하지만 참으로 그 말 그대로였다.

 

 

附方舊六新十三

 

諸風痰飲藜蘆十分鬱金一分為末每以一字溫漿水一盞和服探吐。(《經驗方》)

中風不省牙關緊急者藜蘆一兩去蘆頭),濃煎防風湯浴過焙乾碎切炒微褐色為末每服半錢中風不語喉中如曳鋸聲口中涎沫取藜蘆一分天南星一個去浮皮於臍上剜一坑納入陳醋二橡鬥四面火逼黃色)。研為末生面丸小豆大每服三丸溫酒下。(《經驗後方》)

諸風頭痛和州藜蘆一莖日乾研末入麝香少許吹鼻又方通頂散藜蘆半兩黃連三分搐鼻。(《聖惠》)

久瘧痰多不食欲吐不吐藜蘆末半錢溫齏水調下探吐。(《保命集》)

痰瘧積瘧藜蘆皂莢各一兩巴豆二十五枚熬黃)。研末蜜丸小豆大每空心服一丸未發時一丸臨發時又服一丸勿用飲食。《肘後黃疸腫疾藜蘆灰中炮為末水服半錢匕小吐不過數服(《百一方》)。 胸中結聚如駭駭不去者巴豆半兩去皮心炒搗如泥),藜蘆炙研一兩蜜和搗丸麻子大每吞一二丸。(《肘後》)

身面黑痣藜蘆灰五兩水一大碗淋汁銅器重湯煮成黑膏以針微刺破點之不過三次鼻中息肉藜蘆三分雄黃一分為末蜜和點之每日三上自消勿點兩畔。(《聖濟 方》)

牙齒蟲痛藜蘆末內入孔中勿吞汁神效。(《千金翼》)

白禿蟲瘡藜蘆末豬脂調塗之。(《肘後方》)

頭生蟣虱藜蘆末摻之。(《直指》)

頭風白屑癢甚藜蘆末沐頭摻之緊包二日夜避風效。(《本事方》)

反花惡瘡惡肉反出如米藜蘆末豬脂和敷日三五上。(《聖濟錄》)

疥癬蟲瘡藜蘆末生油和塗。(《鬥門方》)

羊疽瘡癢藜蘆二分附子八分為末敷之蟲自出也。(陶隱居方

誤吞水蛭藜蘆炒為末水服一錢必吐出。(《德生堂方》)

 

 

附錄

 

山磁石別錄

 

有名未用曰無毒主女子帶下生山之陽正月生葉如藜蘆莖有衣一名爰茈

 

參果根

 

又曰有毒主鼠 生百餘根根有衣裹莖三月三日采根一名百連一名烏蓼一名鼠莖一名鹿蒲

 

馬腸根

 

圖經》)

頌曰有毒主蠱除風療瘡疥生秦州葉似桑三月採葉五月六月採根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