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림삼고

2022. 5. 23. 20:44백두산 환&단&약이야기/(탕, 고, 환등)연구

수림삼고/30년 전후 년령

 

 

 

 

 

 

人參膏用人參十兩細切以活水二十盞浸透入銀石器內桑柴火緩緩煎取十盞濾汁再以水十盞煎取五盞與前汁合煎成膏瓶收隨病作湯使

 

인삼고(人參膏)

 

인삼(人參)십량(十兩)을 세절(細切)하여 활수(活水) 이십잔(二十盞)을 침투(浸透)하고 은(), 석기(石器)에 넣어서 상시화(桑柴火)로 완()하게 달이고, 십잔(十盞)으로 졸여서 즙을 여과하여 걸러낸다. 이것을 다시 물 십잔(十盞)으로 오잔(烏盞)이 되게 전()하여 앞서 거른 즙()과 합전(合煎)하여 고()로 한 뒤에 병()에 수납(收納)하여 두었다가 치료(治療)하고자 하는 병()에 따라서 이것을 탕()으로 용()한다.

 

 

 

丹溪雲多欲之人腎氣衰憊咳嗽不止用生薑橘皮煎湯化膏服之浦江鄭兄五月患痢又犯房室忽發昏暈不知人事手撒目暗自汗如雨喉中痰鳴如曳鋸聲小便遺失脈大無倫此陰虧陽絕之証也

 

 

*단계(丹溪): 주진형(朱震亨:1281~1358)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의 일인/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의 일인(一人)인 류완소(劉完素:1110~1200)의 제자/ 격치여론(格致餘論), 국방발휘(局方發揮),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 단계심법(丹溪心法),금궤구현(金匱鉤玄)등 저술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방사과도(房事過度)로 신기(腎氣)가 쇠()하고, 피로(疲勞)하고, 해수(咳嗽)가 계속될 때는 생강(生薑), 귤피(橘皮)의 전탕(煎湯)에다 이 고()를 녹여서 복용(服用)한다. 포강(浦江)의 정형(鄭兄)은 오월(五月)에 이()에 환()하고, 또한 방실(房室)을 범()하였다. 그런즉 금시 혼운(昏運)을 발()하고, 의식불명(意識不明)이 되고, 손은 살개(撒開)하고, 눈은 멀어지고, 땀이 비처럼 솟고, 후중(喉中)의 담()은 쇠 소리를 내면서 울고, 소변(小便)도 유실(遺失)하고, ()은 비상(非常)하게 뛰었다. 이것은 음휴양절(陰虧陽絕)의 증()이다.

 

 

 

 

予令急煎大料人參膏仍與灸氣海十八壯右手能動再三壯脣口微動遂與膏服一盞半夜後服三盞眼能動盡三斤方能言而索粥盡五斤而痢止至十斤而全安若作風治則誤矣

 

그때 내가 급히 대량(大量)의 인삼고(人參膏)를 전()하게 하여 우선 병인(病人)에게 기해(氣海)에 십팔장(十八壯)을 구()하니, 우수(右手)가 잘 움직이게 되었고 뒤따라서 삼장구(三壯灸)하였더니 구순(口脣)을 미동(微動)할 수 있게 되어서 이제는 상기(上記)한 고() 일잔(一盞)을 먹이고, 야반(夜半) ()에 다시 삼잔(三盞)을 복용(服用)시키니 안구(眼球)도 잘 움직이게 되었고, 삼근(三斤)까지 완전히 복용(服用)시키니 비로소 입을 열어 죽을 달라하고 말문을 열었다. 그리하여 오근(五斤)까지 복용(服用) 지리(止痢)하고, 십근(十斤)까지 복용(服用)한 뒤에야 평안(平安)을 찾았던 것이다. 이것이 많이 풍병(風病)이라 하여 치료(治療)를 시()하였다면 어처구니없는 결과(結果)가 발생(發生)했을 것이다.

 

 

 

一人背疽服內托十宣藥已多膿出作嘔發熱六脈沉數有力此潰瘍所忌也遂與大料人參膏入竹瀝飲之參盡一十六斤竹伐百餘竿而安

 

 

또 어는 배저(背疽) 환자(患者)는 내탁십선(內托十宣)의 약()을 복()하여 이미 다농(多濃)을 흐리고, ()를 내며, 발열(發熱)하며, 육맥(六脈)이 침(), ()하면서 힘이 있었다. 이것은 궤양(潰瘍)으로 기피해야 될 증상(症狀)이었다. 그래서 대량(大量)의 인삼고(人參膏)에 죽력(竹瀝)을 넣어서 마시게 하고, 인삼(人參)을 음진(飮盡)시키기를 십육근(十六斤), 죽벌(竹伐)하기를 백여본(百餘本)이나 하여 평안(平安)을 찾았다.

 

 

 

後經旬餘值大風拔木瘡起有膿中有紅線一道過肩胛抵右肋予曰急作參膏以芎橘皮作湯入竹瀝薑汁飲之盡三斤而瘡潰調理乃安

 

그러나 십일여(十日餘)가 경과(經過)한 후, 나무를 쓰러뜨리는 대풍(大風)을 맞아서 창()이 발기(發起)하여 화농(化膿)한 그 속에 일근(一筋)의 홍선(紅線)이 생겨서 견갑(肩胛)에서 우륵(右肋)에까지 퍼져 있었는데 이것을 보고 급히 인삼고(人參膏)를 만들고, 궁궁(芎藭), 당귀(當歸), 귤피(橘皮)를 탕()으로 하여 죽력(竹瀝), 강즙(薑汁)을 넣어서 마시게 하니 삼근(三斤)분까지 먹은 뒤 창()이 궤()하고, 그 후 조치하여 평안(平安)하게 되었다.

 

 

 

若癰疽潰後氣血俱虛嘔逆不食變証不一者以參朮等分煎膏服之最妙

 

옹저(癰疽)가 궤()한 후에 기(), ()도 허()하고, 구역(嘔逆)하고, 식이불능(食餌不能)이 되어서 병증(病症)이 종종 변화(變化)하여 일정(一定)하지 않을 때에는 인삼(人參), 황기(黃芪), 당귀(當歸), ()등을 고()로 전()하여 먹는 것이 가장 묘()하다.

 

 

 

 

 

 

治中湯頌曰張仲景治胸痺心中痞堅留氣結胸胸滿脅下逆氣搶心治中湯主之即理中湯

 

 

장중경(張仲景)은 후비(喉痺), 심중비견(心中痞堅), 유기(留氣), 결흉(結胸), 흉만(胸滿), 협하(脇下)의 역기(逆氣)가 심()을 찌르는 것을 치()하는 데에 치중탕(治中湯)을 주()로 사용했다. 즉 이중탕(理中湯)이다.

 

 

人參乾薑甘草各三兩四味以水八升煮三升每服一升日三服隨証加減此方自晉宋以後至唐名醫治心腹病者無不用之或作湯或蜜丸或為散皆有奇效

 

 

인삼(人參), (), 건강(乾薑), 감초(甘草) () 삼량(三兩), 사미(四味), 물 팔승(八升)으로 자()하여 매복(每服) 일승(一升)을 일일(一日) 삼회(三回) 복용(服用)하고, 그 병증(病症)에 따라서 가감(加減)한다. 이 방()은 진(), () 이후(以後) ()에 이르기까지의 명의(名醫)가 심복(心腹)의 병()을 치()하는데 필요불가결(必要不可缺)한 것으로 되어 있다. 혹은 탕()으로 하고, 혹은 밀()로 환()을 만들고, 혹은 산()으로 하였는데 어느 것이든 기효(奇效)가 있다.

 

 

胡洽居士治霍亂謂之溫中湯陶隱居百一方霍亂餘藥乃或難求而治中方四順湯厚樸湯不可暫缺常須預合自隨也

 

호흡거사(胡洽居士/남북조시대의 의가)는 곽란(霍亂)을 치()함에 이것을 사용(使用)하여 온중탕(溫中湯)이라고 불렀다. 도은거(陶隱居)의 백일방(百一方)에는 곽란(霍亂)의 경우, () 약제(藥劑)가 득난(得難)할 때에는 치중환(治中丸), 사순탕(四順湯), 호박탕(琥珀湯)을 용()함이 좋다. 이것은 없어서는 아니 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전에 제제(製制)하여 상비(常備)에 둘 필요(必要)가 있다.”라고 하였다,

 

 

 

唐石泉公王方慶雲數方不惟霍亂可醫諸病皆療也四順湯用人參甘草乾薑附子各二兩水六升煎二升半分四服

 

()의 석천공왕방경(石泉公王方慶)이 수방(數方)은 단지 곽란(霍亂)의 치료(治療)뿐만 아니고, 제종(諸種)의 병()에 시행(施行)하는데 모두 치효(治效)를 거두었다.”라고 말하였다. 사순탕(四順湯)이란 인삼(人參), 감초(甘草), 건강(乾薑), 부자(附子)를 포()하여 각() 이량(二兩), 물 육승(六升)을 일승반(一升半)으로 전()하여 사회(四回)로 분복(分服)하는 것이다.

 

 

 

四君子湯治脾胃氣虛不思飲食諸病氣虛者以此為主人參一錢白朮二錢白茯苓一錢炙甘草五分薑三片棗一枚水二鐘煎一鐘食前溫服隨証加減。(《和劑局方》)

 

사군자탕(四君子湯) 비위(備位)의 기허(氣虛)로 식욕(食欲)을 잃었을 때나 제병(諸病)의 기허(氣虛)를 치()하는 데는 이 약()이 주()가 된다. 인삼(人參) 일전(一錢), 백출(白朮) 이전(二錢), 백복령(白茯苓) 일전(一錢), 자감초(炙甘草) 오분(五分), () 삼편(三片), (), 일개(一個)를 물 이종(二鐘)을 일종(一鐘)으로 전()하여 식전(食前)에 온복(溫服)한다. 병증(病症)에 따라서 가감(加減)한다.

 

 

開胃化痰不思飲食不拘大人小兒人參二兩半夏薑汁浸五錢為末飛羅麵作糊丸綠豆大食後薑湯下三五十丸日三服。《聖惠方》︰加陳橘皮五錢。(《經驗後方》)

 

 

개위(開胃)하고 담화(痰化)한다. 식욕(食欲)이 없을 때는 대인(大人), 소아(小兒)를 막론하고 인삼(人參)울 배()하여 이량(二兩), 반하(半夏)를 강즙(薑汁)에 침()하여 배()하고, 오전(五錢)을 작말(作末)하여 비라면(飛羅麵)으로 만든 호()로 녹두(綠豆) 크기의 환()을 ㅁ낟르어 일일(一日) 삼회(三回) 식후(食後)에 강탕(薑湯)으로 삼()~오십환(五十丸)씩을 복용(服用)한다. 성혜방(聖惠方)에는 진귤피(陳橘皮) 오전(五錢)을 가()한다.

 

 

 

 

胃寒氣滿不能傳化易飢不能食人參二錢生附子半錢生薑二錢水七合煎二合雞子清一枚打轉空心服之。(《聖濟總錄》)

 

脾胃虛弱不思飲食生薑半斤取汁),白蜜十兩人參四兩銀鍋煎成膏每米飲調服一匙。(《普濟方》)

 

胃虛惡心或嘔吐有痰人參一兩水二盞煎一盞入竹瀝一杯薑汁三匙食遠溫服以知為度老人尤宜。(《簡便方》)

胃寒嘔惡不能腐熟水穀食即嘔吐人參丁香藿香各二錢半橘皮五錢生薑三片水二盞煎一盞溫服。(《拔萃方》)

 

反胃嘔吐 飲食入口即吐困弱無力垂死者上黨人參三大兩拍破)。水一大升煮取四合熱服日再兼以人參汁入粟米雞子白薤白煮粥與啖李直方司勛於漢南患此兩月餘諸方不瘥遂與此方當時便定後十餘日遂入京師絳每與名醫論此藥難可為儔也。(李絳兵部手集方》)

 

食入即吐 人參半夏湯用人參一兩半夏一兩五錢生薑十片水一鬥以杓揚二百四十遍取三升入白蜜三合煮一升半分服。(張仲景金匱方》)

 

霍亂嘔惡人參二兩水一盞半煎汁一盞入雞子白一枚再煎溫服一加丁香。(《衛生家寶方》)

 

霍亂煩悶人參五錢桂心半錢水二盞煎服。(《聖惠方》)

 

霍亂吐瀉煩躁不止人參二兩橘皮三兩生薑一兩水六升煮三升分三服。(《聖濟總錄》)

妊娠吐水酸心腹痛不能飲食人參乾薑等分為末以生地黃汁和丸梧子大每服五十丸米湯下。(《和劑局方》)

 

陽虛氣喘自汗盜汗氣短頭暈人參五錢熟附子一兩分作四帖每帖以生薑十片流水二盞煎一盞食遠溫服。(《濟生方》)

 

喘急欲絕上氣鳴息者人參末湯服方寸匕日五六服效。(《肘後方》)

 

產後發喘 乃血入肺竅危症也人參一兩蘇木二兩水二碗煮汁一碗調參末服神效。(《聖惠方》)

 

이것은 피가 폐규(肺竅)에 들어가는 위험증상(危險症狀)이다. 인삼(人參)() 일량(一兩),소목(蘇木)이량(二兩), 물 이완(二碗)에다 자즙(煮汁) 일완(一碗)으로 인삼말(人參末)을 조화(調和)하여 복()하면 신효(神效)가 있다.[성혜방(聖惠方)]

 

 

產後血暈人參一兩紫蘇半兩以童尿水三合煎服。(《醫方摘要》)

 

產後不語人參石菖蒲石蓮肉等分每服五錢水煎服。(《婦人良方》)

 

產後諸虛發熱自汗人參當歸等分為末用豬腰子一個去膜切小片以水三升糯米半合蔥白二莖煮米熟取汁一盞入藥煎至八分食前溫服。(《永類方》)

 

產後秘塞出血多以人參麻子仁枳殼麩炒)。為末煉蜜丸梧子大每服五十丸米飲下。(《濟生方》)

 

橫生倒產人參)、乳香各一錢丹砂五分研勻雞子白一枚入生薑自然汁三匙攪勻冷服即母子俱安神效此施漢卿方也。(《婦人良方》)

 

開心益智人參一兩煉成 豬肥肪十兩以淳酒和勻每服一杯日再服服至百日耳目聰明骨髓充盈肌膚潤澤日記千言兼去風熱痰病。(《千金方》)

 

 

聞雷即昏一小兒七歲聞雷即昏倒不知人事此氣怯也以人參當歸麥門冬各二兩五味子五錢水一鬥煎汁五升再以水五升煎滓取汁二升合煎成膏每服三匙白湯化下服盡一斤自後聞雷自若矣。(楊起簡便方》)

 

忽喘悶絕方見大黃下

 

 

離魂異疾有人臥則覺身外有身一樣無別但不語蓋人臥則魂歸於肝此由肝虛邪襲魂不歸舍病名曰離魂用人參龍齒赤茯苓各一錢水一盞煎半盞調飛過朱砂末一錢睡時服一夜一服三夜後真者氣爽假者即化矣。(夏子益怪証奇疾方》)

 

이혼병(離魂病):잠이 들면 자신(自身) 이외(以外)에 또 다른 일개(一個)의 신체(身體)가 있다고 여기게 되면 그 환신(幻身)은 실제(實際) 신체(身體)와 똑 같은데 다만 말을 못하는 기병(奇病)이다. 대개 인간(人間)은 잠이 들면 혼()이 간()에 귀입(歸入)하는 것이지만, 이 병()은 간()이 허()하고, 사악(邪惡)이 침()하여 그 귀입(歸入)을 방해(妨害)하는 것ㄷ으로서 이것을 이혼병(離魂病)이라고 한다. 인삼(人參), 용뇌(龍腦), 적복령(赤茯苓) () 일전(一錢)을 물 일잔(一盞)에다 반잔(半盞)으로 전()하고, 비과(飛過)시킨 주사말(朱砂末) 일전(一錢)을 조(調)하여 잠이 들려 할때에 복용(服用)한다. 하룻밤에 일복(一服)씩 삼일 밤을 경과(經過)하면 본래(本來)의 신체(身體)의 기()를 되찾고 환신(幻身)이 사라진다.

 

 

怔忡自汗心氣不足也人參半兩當歸半兩用 豬腰子二個以水二碗煮至一碗半取腰子細切人參當歸同煎至八分空心吃腰子以汁送下其滓焙乾為末以山藥末作糊丸綠豆大每服五十丸食遠棗湯下不過兩服即愈此昆山神濟大師方也一加乳香二錢。(王璆 百一選方》)

 

 

정충자한(怔忡/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自汗) 신기부족(腎氣不足)이다. 인삼(人參) 반량(半兩), 당귀(當歸) 반량(半兩)을 사용하여, 저요자이개(豬腰子二個)를 물 이완(二盌)으로써 일완반(一碗半)이 되도록 자()하고 요자(腰子)를 거()한 뒤 즙()의 찌껴기를 배건(焙乾)하여 말()로 만들어 산약말(山藥末)로 만든 풀로써 녹두(綠豆) 크기의 환()으로 하여 오십환(五十丸)씩을 식간(食間)에 맞추어 조탕(棗湯)으로 복용(服用)한다. 양복(兩服)이 되기전에 치유(治癒)된다. 이것은 곤산신제대사(昆山神濟大師)의 방()이다. 유향(乳香) 이전(二錢)을 첨가하는 경우도 있다.

 

 

心下結氣凡心下硬按之則無常覺膨滿多食則吐氣引前後噫呃不除由思慮過多氣不以時而行則結滯謂之結氣人參一兩橘皮去白四兩為末煉蜜丸梧子大每米飲下五六十丸。(《聖惠方》)

 

심하(心下)의 결기(結氣): 무릇 심하(心下)가 경()하고, 안진(按診)할 때에 그 부위(部位)가 일정(一定)하지 않고, 팽만(膨滿)하고, 다식(多食)하면 토()하고, ()가 전후(前後)로 당겨서 희애(噫呃)하며 유()하지 않는다. 이 경우는 과려(過廬)가 원인(原因)으로 기()가 일정(一定)하게 순행(順行)되지 못하여 결체(結滯)하기 때문이다.l 이것을 결기(結氣)라고 한다. 인삼(人參) 일량(一兩), 귤피(橘皮)의 흰 곳을 거()하고, 사량(四兩)을 말()로 하여 연밀(煉蜜)로 오자(梧子) 크기의 환()으로 만들어 오십(五十)~ 육십환(六十丸)씩을 미음(米飮)으로 복용(服用)한다.

 

 

房後困倦人參七錢陳皮一錢水一盞半煎八分食前溫服日再服千金不傳。(趙永庵方

 

虛勞發熱愚魯湯用上黨人參銀州柴胡各三錢大棗一枚生薑三片水一鐘半煎七分食遠溫服日再服以愈為度。(《奇效良方》)

 

肺熱聲啞人參二兩訶子一兩為末噙咽。(《丹溪摘玄》)

 

肺虛久咳人參二兩鹿角膠一兩每服三錢用薄荷豉湯一盞蔥少許入銚子煎一二沸傾入盞內遇咳時溫呷三五口甚佳。(《食療本草》)

 

止嗽化痰人參一兩明礬二兩以釅醋二升熬礬成膏入參末煉蜜和收每以豌豆大一丸放舌下其嗽即止痰自消。(《簡便方》)

 

小兒喘咳發熱自汗吐紅脈虛無力者人參天花粉等分每服半錢蜜水調下以瘥為度。(《經濟方》)

 

喘咳嗽血咳喘上氣喘急嗽血吐血脈無力者人參末每服三錢雞子清調之五更初服便睡去枕仰臥只一服愈年深者再服咯血者服盡一兩甚好一方以烏雞子水磨千遍自然化作水調藥尤妙忌醋面酢醉飽將息乃佳。(沈存中靈苑方》)

 

咳嗽吐血人參黃耆飛羅面各一兩百合五錢為末水丸梧子大每服五十丸食前茅根湯下。《朱氏集驗方

用人參乳香辰砂等分為末烏梅肉和丸彈子大每白湯化下一丸日一服虛勞吐血甚者先以十灰散止之其人必困倦法當補陽生陰獨參湯主之好人參一兩肥棗五枚水二鐘煎一鐘服熟睡一覺即減五繼服調理藥。(葛可久十藥神書》)

 

吐血下血因七情所感酒色內傷氣血妄行口鼻俱出心肺脈破血如湧泉須臾不救用人參)、側柏葉)、荊芥穗燒存性各五錢為末用二錢入飛羅面二錢以新汲水調如稀糊服少傾再啜一服立止。(華佗中藏經》)

 

衄血不止人參柳枝寒食採者等分為末每服一錢東流水服日三服無柳枝用蓮子心。(《聖濟總錄》)

 

齒縫出血人參赤茯苓麥門冬各二錢水一鐘煎七分食前溫服日再蘇東坡得此

 

謂神奇後生小子多患此病予累試之累如所言。(《談野翁試驗方》)

 

陰虛尿血人參)、黃耆鹽水炙等分為末用紅皮大蘿蔔一枚切作四片以蜜二兩將蘿蔔逐片蘸炙令乾再炙勿令焦以蜜盡為度每用一片蘸藥食之仍以鹽湯送下以瘥為度。(《三因方》)

 

沙淋石淋方同上

 

消渴引飲人參為末雞子清調服一錢日三四服。《集驗》︰用人參栝蔞根等分生研為末煉蜜丸梧子大每服百丸食前麥門冬湯下日二服以愈為度名玉壺丸忌酒面炙爆。《鄭氏家傳消渴方人參一兩粉草二兩以雄豬膽汁浸炙腦子半錢為末蜜丸芡子大每嚼一丸冷水下。《聖濟總錄》︰用人參一兩葛粉二兩為末發時以 豬湯一升入藥三錢蜜二兩慢火熬至三合狀如黑餳以瓶收之每夜以一匙含咽不過三服取效也

 

虛瘧寒熱人參二錢二分雄黃五錢為末端午日用粽尖搗丸梧子大發日侵晨井華水吞下七丸發前再服忌諸般熱物立效一方加神曲等分。(《丹溪纂要》)

 

冷痢厥逆六脈沉細人參大附子各一兩半每服半兩生薑十片丁香十五粒粳米一撮水二盞煎七分空心溫服。(《經驗方》)

下痢噤口人參蓮肉各三錢以井華水二盞煎一盞細細呷之或加薑汁炒黃連三錢。(《經驗良方》)

 

老人虛痢不止不能飲食上黨人參一兩鹿角去皮炒研五錢為末每服方寸匕米湯調下日三服。(《十便良方》)

 

傷寒壞証凡傷寒時疫不問陰陽老幼妊婦誤服藥餌困重垂死脈沉伏不省人事七日以後皆可服之百不失一此名奪命散又名複脈湯人參一兩水二鐘緊火煎一鐘以井水浸冷服之少頃鼻梁有汗出脈複立瘥蘇韜光侍郎雲用此救數十人予作清流宰縣 申屠行輔之子婦患時疫三十餘日已成壤病令服此藥而安。(王璆百一選方》)

 

상한(傷寒)의 괴증(壞症): 무릇 상안(商顏)의 시질(時疾)에는 음(), (), (), ()와 임부(姙婦)를 기릴 것 없이 또한 약이(藥餌)를 오복(誤服)하여 중체(重體)에 빠지고, 수사상태(垂死狀態)가 되어 맥()이 침(), ()하면서 인사불성(人事不省)이 되어 미이 칠일(七日)이 경과(經過)한 자()는 모두 하기(下記)의 방()을 복용(服用)하면 좋아진다. ()에 하나도 과오(過誤)는 없다. 이 방()은 탈명산(奪命散)이라 부르며, 또 복맥탕(複脈湯)이라고도 한다. 인삼(人參) 일량(一兩), 물 이종(二鐘)을 긴화(緊火)로써 일종(一鐘)으로 전()하여 정수(井水)에 적셨다가 냉복(冷服)한다. 얼마간 지나서 비량(鼻梁)에 땀을 내면서 맥()이 부활(復活)하여 금방 채()한다. 시랑(侍郞)의 소도광(蘇韜光)은 이 방()으로 수십인(數十人)의 인명(人命)을 구했다고 한다. 내가 청류현(淸流縣)의 지사(知事)로 재직중(在職中)에 부지사(副知事)로 신도행보(申屠行輔)의 며느리가 시역(時疫)에 이병(罹病)이 되어 삼십여일(三十餘日)이 경과(經過)되어 이미 괴병(壞病)이 되었으나 그 약()을 복용(服用)하고 평안(平安)해졌다.

 

 

 

 

傷寒厥逆身有微熱煩躁六脈沉細微弱此陰極發躁也無憂散用人參半兩水一鐘煎七分調牛膽南星末二錢熱服立蘇。(《三因方》)

 

夾陰傷寒先因欲事後感寒邪陽衰陰盛六脈沉伏小腹絞痛四肢逆冷嘔吐清水不假此藥無以回陽人參乾薑各一兩生附子一枚破作八片)。水四升半煎一升頓服脈出身溫即愈。(吳綬傷寒蘊要》)

 

筋骨風痛人參四兩酒浸三日曬乾),土茯苓一斤山慈菇一兩為末煉蜜丸梧子大每服一百丸食前米湯下。(《經驗方》)

小兒風癇螈 用人參蛤粉辰砂等分為末以 豬心血和丸綠豆大每服五十丸金銀湯下一日二服大有神效。(《衛生寶鑒》)

 

脾虛慢驚黃耆湯見黃耆發明下痘疹險証保元湯見黃耆發明下驚後瞳斜小兒驚後瞳人不正者人參阿膠糯米炒成珠各一錢水一盞煎七分溫服日再服愈乃止。(《直指方》)

 

小兒脾風多困人參冬瓜仁各半兩南星一兩漿水煮過為末每用一錢水半盞煎二三分溫服。(《本事方》)

 

 

酒毒目盲一人形實好飲熱酒忽病目盲而脈澀此熱酒所傷胃氣汙濁血死其中而然以蘇木煎湯調人參末一錢服次日鼻及兩掌皆紫黑此滯血行矣再以四物湯加蘇木桃仁紅花陳皮調人參末服數日而愈。(《丹溪纂要》)

 

주독(酒毒)의 목맹(目盲): 어느 환자(患者)는 평상(平常)에도 체질(體質)이 실()하여 좋아하는 열주(熱酒)를 마시고 그것이 돌연(突然) ()으로 목맹(目盲)이 되어 맥()마저 오그라들었다. 이것은 열주(熱酒)가 위기(胃氣)를 상해(傷害)하고, 오탁(汚濁)된 혈()이 그 안에서 사()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소목전탕(蘇木煎湯)에다 인삼말(人參末) 일전(一錢)을 조화(調和)해서 복용(服用)시키니 다음날 코와 양쪽 손바닥이 모두 자흑색(紫黑色)이 되었다. 이는 체혈(滯血)을 행()하게 했던 것이다. 다시 사물탕(四物湯)에 소목(蘇木), 도인(桃仁), 홍화(紅花), 진피(陳皮)를 첨가하고, 인삼말(人參末)을 조화(調和)하여 복용(服用)시키니 수일(數日)후에 치유(治癒)되었다.

 

酒毒生疽一婦嗜酒胸生一疽脈緊而澀用酒炒人參酒炒大黃等分為末薑湯服一錢得睡汗出而愈。(《丹溪醫案》)

 

 

狗咬風傷腫痛人參置桑柴炭上燒存性以碗覆定少頃為末摻之立瘥。(《經驗後方》)

 

蜈蚣咬傷嚼人參塗之。(《醫學集成》)

 

蜂蠆螫傷人參末敷之。(《証治要訣》)

 

脅破腸出急以油抹入煎人參枸杞汁淋之內吃羊腎粥十日愈。(危氏得效方》)

氣奔怪疾方見虎杖

 

 

 

 

 

독삼탕(獨蔘湯)

 

虛勞吐血甚者先以十灰散止之其人必困倦法當補陽生陰獨參湯主之好人參一兩肥棗五枚水二鐘煎一鐘服熟睡一覺即減五繼服調理藥。(葛可久十藥神書》)

 

 

 

 

 

 

古今治勞莫過於葛可久其獨參湯保真湯何嘗廢人參而不用耶節齋之說誠未之深思也

 

古今(고금)()하여 ()()하는 名醫(명의)로서 葛可久(갈가구) 以上(이상)達人(달인)은 없을 것이다. 葛可久(갈가구)獨蔘湯(독삼탕:아래 참고), 保真湯(보진탕:아래 참고)에는 어느 것 할 것 없이 人參(인삼)除外(제외)하고 ()한 것은 없었다. 節齋王綸(절재왕륜)()은 여기에 관하여 誠意(성의)있는 硏究(연구)()하고 있다.

 

葛可久(갈가구:1305~1353:十藥神書(십약신서)》《醫學啟蒙(의학계몽))

人參2030去蘆

 

 

內經曰怯然少氣者是水道不行形氣消索也言而微終日乃復言者奪氣也宜生怴散(方見暑門)人參膏獨參湯黃妉湯

 


내경(內經)에는 몸이 몹시 나른해서 기운이 없는 것 같은 것은 수기(水氣)가 잘 돌아가지 못하고 살이 빠지고 기운이 소모된 것이다. 말할 힘이 없어서 한마디하고는 하루 종일 하지 않다가 또 한마디 하는 것은 기운이 빠진 것이다. 이때는 생맥산(生脈散, 처방은 서문에 있다), 인삼고(人參膏), 독삼탕(獨蔘湯), 황기탕(黃芪湯) 등을 쓴다고 씌어 있다.

 

獨參湯

 

독삼탕(獨蔘湯)

 

治虛勞吐血後羸弱氣微少大人參二兩去蘆右犫作一貼入棗五枚以長流水濃煎服新書

 

허로(虛勞)로 토혈(吐血)후 몸이 몹시 여위고 기운이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인삼(人參/去蘆頭) 두냥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첩으로 하여 대추 오매(五枚)와 함께 물에 넣고 진하게 달여 먹는다[신서].

 

 

 

補肺中陽氣

 

()의 양기(陽氣)를 보()한다.

 

卒上氣喘鳴肩息氣欲絶此將肺絶之候人參膏獨參湯或作末日五六服本草

 

 

갑자기 기가 치밀어 올라서 숨이 차고 가래가 끓으며 어깨를 들먹이면서 숨을 쉬다가 숨이 끊어질 것같이 되는 것은 폐기(廢棄)가 끊어지려는 증상이다. 이런 데는 인삼고(人蔘膏)나 독삼탕(獨蔘湯)을 쓰며 인삼(人參)을 가루 내어 하루에 다섯~여섯 번씩 먹는다.[본초].

 

 

 

急喉閉其聲如秵有如痰在喉響者此爲肺絶之候宜用人參膏救之用薑汁竹瀝放開頻頻服之如未得參膏先煎獨參湯救之早者十全七八次則十全四五遲則十不全一也綱目

 

 

급후폐(急喉閉)로 코 고는 소리를 내는 것도 있고 목에서 가래소리가 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폐기(肺氣)가 끊어진 증상이다. 이런 때에는 인삼고(人蔘膏)를 써서 살린 다음 입을 벌리고 생강즙(生薑汁)과 죽력(竹瀝)을 자주 떠먹어야 한다. 그리고 인삼고(人參膏)를 써도 살아나지 못하면 독삼탕(獨蔘湯)을 달여 먹어서 살려야 한다. 이 병은 빨리 치료해야 열명에 일곱-여덟명이 나을 수 있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뒤늦게 치료하면 열명에 넷-다섯명밖에 낫게 할 수 없다. 몹시 늦게 치료하면 열명에 한명도 낫게 할 수 없다[강목].

 

 

治傷寒壞證昏沈垂死或陰陽一證不明過經不解及或因誤服藥困重垂死一切危急之證

 

상한괴증(傷寒壞證)으로 정신이 흐릿하여 죽을 것 같고 혹 음증(陰証)과 양증(陽症)이 명확치 못한 것과 과경(過經)이 되어도 낫지 않는 것과 혹 잘못 치료하여 죽게 된 것 등 일체 위급한 증상들을 치료한다.

 

好人參一兩犫作一服水二升於銀石器內煎至一升去滓以新水沈冷一服而盡汗自鼻梁上出涓涓如水是藥之效也一名獨參湯丹心

 

좋은 인삼(人參) 한냥(一兩) 위의 약들을 썰어서 일첩(一貼)으로 하여 물 이승(二升)를 둔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달여 일승(一升)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새로 길어온 물에 채워 식힌 다음 한번에 먹는다. 콧등에서 땀이 줄줄 흘러내리면 약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일명 독삼탕(獨蔘湯)이라고도 한다[단심].

 

 

 

單人參湯

 

단인삼탕(單人蔘湯)

 

治氣虛喘急人參一兩犫水煎頻服之入門

 

기가 허하여 생긴 천식을 치료한다. 인삼(人參) 한냥을 썰어서 물에 달여 자주 먹는다[입문].

 


一人傷寒咳嗽喉中聲如糞與獨參湯一服秵聲除服至二斤乃愈綱目


어떤 사람이 찬 기운에 상하여 기침하고 목구멍에서 코 고는 듯한 소리가 났는데 이때에 독삼탕(獨蔘湯)을 한번 먹으니 코 고는 듯한 소리가 없어지고 두근 까지 먹고 다 나았다고 한다[강목].

 

 

 

主肺虛氣短氣促咳嗽喘急人參膏(方見氣門)獨參湯(方見上)皆有奇效丹心

 

폐허(肺虛)하여 숨결이 밭고 몹시 빠르며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 쓴다. 인삼고(人蔘膏), 독삼탕(獨蔘湯)을 쓰면 특이한 효과가 있다[단심].

 

 

 

産後喘急命在須臾宜用奪命散(方見上)童便好酒各半盞調和熱服惡血卽下喘自定或用獨參湯亦可(方見氣門)入門或人參茯巔水煎服

 

해산 후에 숨이 차서 생명이 위급한 데는 탈명산(奪命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되 좋은 술 반잔에 타서 뜨겁게 해서 먹으면 궂은 피가 곧 나오고 숨찬 것이 저절로 멎는다. 혹 독삼탕(獨蔘湯)을 써도 좋다[입문]. 혹 인삼과 백복령(白茯苓)을 물에 달여 먹기도 한다.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탕, 고, 환등)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령선고[2]  (0) 2022.11.19
수림삼고 완성  (0) 2022.05.23
밀몽화고(密蒙花膏)  (0) 2022.04.29
위령선고 완성  (0) 2022.04.01
위령선고(威靈仙膏)  (0) 2022.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