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29. 00:01ㆍ[신농본초경]/중경(中經)
해백(薤白)[본경/동의보감]
염부추 /해백(薤白)
염부추
과 명
Liliaceae (백합과) 속 명
Allium (부추속)
전체학명
Allium chinense G.Don
Monograph of the genus Allium 83 (1827)
국명정보
추천명 염부추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염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외국명정보
북한명 염부추(염교
염지)
학명 Allium chinense G.Don
Monograph of the genus Allium 83 (1827)
1. Allium bakeri Regel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3(2) : 141 (187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Caloscordum exsertum Lindl.
Bot. Reg. 33: sub. t. 5 (184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염부추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염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영문명 :
일본명 :
북한명 : 염부추(염교,염지)
Allium chinense G.Don
Mem. Wern. Soc. vi. (1827) 83.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
효두(藠頭)
Allium chinense G.Don
이명(異名)
Allium bodinieri H. Lév. et Vaniot
Allium martini H. Lév. et Vaniot
Allium bakeri Regel
Caloscordum exsertum Lindl.
Allium martinii H.Lév. & Vaniot
日本名 ラッキョウ
學名 Allium chinense G. Don
草本,具很短的根狀莖。鱗莖長卵形,粗1-1.5厘米,簇生;鱗莖外皮白色或帶紅色,膜質,全緣。花葶圓柱形,高20-40厘米,側生。葉基生,2-5枚,具5棱的條狀柱形,中空,近與花葶等長,寬1-3毫米。總苞膜質,2裂,宿存;傘形花序半球形,松散;花梗爲花被的2-4倍長,具苞片;花淡紫色到藍紫色;花被片6,長4-6毫米,寬橢圓形至近圓形,鈍頭;花絲爲花被片的1.5倍長,長7.3-9毫米,僅基部合生並與花被貼生,內輪的基部擴大,兩側各具1齒,外輪的錐形;子房寬倒卵形,基部具3個有蓋的凹穴;花柱伸出花被。 在長江流域和南部各省區廣泛栽培;
在日本,印度,印度支那和美國亦有栽培。
原產我國。鱗莖供食用。
&&&&&&&&&&&&&&&&&&&&&&&&&&&&&&&&&&&&&&&&&&
대화구(大花韭)/ 해백(薤白)
대화구(大花韭)
Allium macranthum Baker
이명(異名)
Allium oviflorum Regel
Allium simethis H. Lév. et Giraudias
식물형태(植物形態)
大花韭 大花韭,本種以長的小花梗,大而下垂的花極易識別。鱗莖圓柱狀,具粗壯的根;鱗莖外皮白色,膜質,不裂或很少破裂成纖維狀。葉條形,扁平,具明顯的中脈,近與花葶等長,寬4—10毫米。花葶棱柱狀,具2—3縱棱或窄翅,高20—50(一60)厘米,中部粗(1.5一)2—3.毫米,下部被葉鞘;總苞2—3裂,早落;傘形花序少花,松散;小花梗近等長,比花被片長2—5倍,頂端常俯垂,基部無小苞片;花鍾狀開展,紅紫色至紫色;花被片長8—12毫米,先端平截或凹缺,外輪的寬矩圓形,舟狀,內輪的卵狀矩圓形,比外輪的稍長而狹;花絲等長,略長於或等長於花被片,錐形,在最基部合生並與花被片貼生;子房倒卵狀球形,頂端有時具6枚角狀突起,花柱伸出花被。花果期8—10月。
Allium macranthum Baker
J. Bot. 12: 293. 1874
Original Data:
Notes: Reg. Himal
출처:IPNI
&&&&&&&&&&&&&&&&&&&&&&&&&&&&&&&&&&&&&&&&&&
릉엽구(棱葉韭) /해백(薤白)
릉엽구(棱葉韭)
Allium caeruleum Pall.
이명(異名)
Allium viviparum Kar. et Kir.
Allium coerulescens G. Don
형태특정(形態特征)
多年生草本。鱗莖近球形,粗1—2cm,鱗莖外皮暗灰色,內皮白色,膜質。葉3—5枚,條形,有時爲三棱狀條形,於時常扭卷,比花葶短,到花期逐漸枯死,葉路和葉片光滑或沿縱脈具細齒。花葶圓柱狀,高25一85cm。總苞2裂,遠比傘形花序短;傘形花序球形或半球形,多花、密集;花被鍾形,天藍色或藍紫色,花被片矩圓形至矩圓狀披外形,花絲等長,無齒,略比花被片長;子房近球形,花柱稍伸出花被外
Allium caeruleum Pall.
Reise ii. 737.
ii. 737 0
Original Data:
Notes: Sibir
출처:IPNI
&&&&&&&&&&&&&&&&&&&&&&&&&&&&&&&&&&&&&&&&&&&&&&&&&&&&&&&&&
산달래/해백(薤白)
산달래
이명 : [돌달래] [달래] [큰달래] [들달래]] [원산부추] [달룽게]
학명 : Allium macrostemon Bunge
분류군 : Liliaceae(백합과)
일명 : No-biru
잎
잎은 2~9개이고 선형으로 길이 20~30cm, 나비 2~3mm이며 밑부분은 엽초로 되어 화경을 둘러싸고 밀랍분이 있으며 단면은 반원형으로 중공이고 표면에 홈이 있다.
열매
열매는 삭과이다.
꽃
꽃은 5∼6월에 백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산형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15~20mm이다. 화피편은 6개이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4~6mm이며 수술과 암술대는 화피보다 몹시 길고 화서중의 1부 또는 전부가 살눈으로 변한다. 화경은 곧추서며 높이 40~80cm이다.
줄기
인경은 구형으로 지름 1.2~1.5cm이고 포지 끝에 새로운 인경이 생기며 백색 막질로 덮여 있다.
분포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몽고,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이다.
생육 환경
원야나 길가
이용방안
전초를 식용 및 약용.
특징
고온기에 휴면한다.
학명 Allium macrostemon Bunge
Mem. Sav. Etr. Acad. Petersb. 2: 139 (1835)
1. Allium chanetii Lev.
Feddes Repert. 12: 184 (191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Allium grayi Regel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3(2) : 125 (187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Allium macrostemon var. uratense (Franch.) AiryShaw
Nat. Roy. Bot. Gard. Edinb. 14: 136 (1931)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4. Allium nereidum Hance
Ann. Sci. Nat. Bot. 5 : 244 (186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Allium nipponicum Franch. & Sav.
Enum. Pl. Jap. 2 : 76 (18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Allium ouensanense Nakai
Bot. Mag. (Tokyo) 27 : 215 (1913)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7. Allium uratense Franch.
Pl. David. 1 : 304 (1884)
1) Lin. Fl. Manshur. (Kitag., Oct-39)
국명 산달래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1. 달래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3)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2. 달룽게
1)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3. 돌달래
1)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4. 들달래
1)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5. 원산부추
1)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6. 큰달래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Allium macrostemon Bunge
Enum. Pl. Chin. Bor. 65 (-66). 1833 [Mar 1833]
65 (-66) 1833
Original Data:
Notes: China bo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해백(薤白)
Allium macrostemon Bunge
이명(異名)
Allium grayi Regel Allium chanetii H. Lév.
Allium iatasen H. Lév.
Allium nereidum Hance
Allium ouensanense Nakai
Allium uratense Franch.
Allium nipponicum Franch. et Sav.
Allium grayi var. chanetii (H. Lév.) H. Lév.
Allium ousensanense Nakai
Allium macrostemon var. uratense (Franch.) Airy Shaw
Allium pallasii var. uratense (Franch.) Regel
草本。鱗莖近球形,粗1-2厘米;鱗莖外皮灰黑色,紙質。花葶高30-60(-90)厘米,1/4-1/3具葉鞘。葉3-5枚,半圓柱形或條形,長15-30厘米。總苞約爲花序的1/2長,宿存;傘形花序半球形或球形,密聚珠芽,間有數朶花或全爲花;花梗等長,爲花被的(2-) 3-4倍長,具苞片;花被寬鍾狀,紅色至粉紅色;花被片具1深色脈,長4-5毫米,矩圓形至矩圓狀披針形,鈍頭;花絲比花被片長1/4-1/3,基部三角形向上漸狹成錐形,僅基部合生並與花被貼生,內輪基部比外輪基部略寬或寬爲1.5倍;花柱伸出花被。
分布於長江流域和北部各省區;蘇聯遠東地區,朝鮮,日本也有。生濕地。鱗莖藥用。
^^^^^^^^^^^^^^^^^^^^^^^^^^^^^^^^^^^^^^^^^^^^^^^^^^^^^^^^^^^^^^^^^^^
蔥實
味辛溫。
主明目補中不足,其莖可作湯,主傷寒寒熱,出汗,中風面目腫。
(左上佔左下貝右上又右下韭),味辛溫。主金創,創敗,輕身不飢耐老。生平澤。
《名醫》曰:生魯山。
案《說文》雲:(左上佔左下貝右上又右下韭)菜也,葉似韭。《廣雅》雲:韭、(左上佔左下貝右上又右下韭)、蕎,其華謂之菁。《爾雅》雲:(左上佔左下貝右上又右下韭)、鴻薈。郭璞雲:即(左上佔左下貝右上又右下韭)菜也,又勁山賁。陶宏景雲:蔥(左上佔左下貝右上又右下韭)異物,而今共條,本經既無韭,以其同類,故也。
[本經/中經]
^^^^^^^^^^^^^^^^^^^^^^^^^^^^^^^^^^^^^^^^^^^^^^^^^^^^^^^^^^^^^^^^^^^
穧菜
해채(薤菜)
염교性溫味辛苦無毒
성(性)은 온(溫)하고 미(味)는 신(辛)하며 무독(無毒)하다.
調中止久痢冷瀉除寒熱去水氣肥健人
조중(調中)하고 구리(久痢), 냉사(冷瀉)를 멎게 하고, 한열(寒熱)을 제(除)하며, 수기(水氣)를 거(去)하고, 사람을 비건(肥健)하게 한다.
穧性溫補仙方及服食家皆須之
해백(薤白)은 성(性)이 온보(溫補)하는 것으로 선방(仙方) 및 복식가(服食家) 모두 이것을 사용한다.
歸於骨菜芝也
귀골(歸骨)하는 채지(菜芝)다.
生圃中似堛而葉簧多白無實雖辛而不糨五藏故道家常餌之補虛最宜人
밭에서 자라는데 부추 비슷하면서 잎이 넓고 흰빛이 많으며 씨가 없다. 맛이 맵기는 하나 냄새가 오장(五臟)에 배지 않기 때문에 도가(道家)들이 늘 먹는다. 보허(補虛)하는 데는 제일 좋다.
作羹粥食之濠作燜灨拄得
국이나 죽을 쑤어 먹으며 데쳐서 나물을 하거나 김치를 담근다.
穧葉簧而更光故古人言穧露者以其光滑難灝之義也《本草》
해백(薤白)의 엽(葉)은 넓고 광택이 있다. 그러므로 고인(古人)은 薤葉(해엽)은 光滑(광활)하여 露(노)마저 멎고 있을 수 없다는 것을 비유해서 한 말이다[본초].
[동의보감]
'[신농본초경] > 중경(中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백(蔥白)[본경/동의보감] (0) | 2022.04.29 |
---|---|
패모(貝母)[본경/동의보감] (0) | 2022.04.29 |
상백피(桑白皮)[본경/동의보감] (0) | 2022.04.21 |
방기(防己)[본경/동의보감] (0) | 2022.04.10 |
죽엽(竹葉)[본경(本經)]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