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엽(竹葉)[본경(本經)]

2022. 4. 1. 09:30[신농본초경]/중경(中經)

죽엽(竹葉)[본경(本經)]

 

 

 

 

 

솜대/죽엽(竹葉)

 

 

솜대

 

이명 : [분죽] [담죽] [분검정대]

학명 :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Bean) Stapf ex Rendle

분류군 : Gramineae(벼과)

 

잎은 피침형이며 1-5(보통2-3)개씩 달리고 길이 6-10cm, 10-15mm로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잔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중륵을 따라 잔털이 있는 것이 있고 견모(肩毛)5개 내외로서 점차 떨어진다.

 

열매

남색의 둥근 장과로서 지름 5~7mm이며 붉게 익는다.

 

60년을 주기로 개화, 결실 후 고사한다. 화서를 둘러싼 포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2-5개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2mm이며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고 내영은 3개이다. 자방은 긴 난형이며 암술머리가 3개이고 죽순은 4-5월에 나오며 연한 적갈색이다.

 

줄기

높이 10m이상, 지름 5-8cm이고 처음에는 백분으로 덮여 있지만 황록색으로 된다. 마디가 있고 내공으로 단통형이며 표면은 윤기가 있다.

 

뿌리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는다.

 

원산지

중국

 

분포

해안선을 따라 강원도 남부 및 충남 이남에 자란다.

 

형태

다년생 상록 목본

크기

키가 10m 이상, 지름 5-8cm.

 

 

 

생육 환경

인가 부근에 난다.

/번식방법

분주로 번식한다.

 

 

 

이용방안

 

솜대의 각 부분을 약용한다.

 

솜대의 莖稈(경간)竹茹(죽여)라 하며, 淸熱(청열), 凉血(양혈), 化痰(화담), 止嘔(지구)의 효능이 있다. 煩熱嘔吐(번열구토), 애역, 痰熱咳喘(담열해천), 토혈, 鼻出血(비출혈), 崩漏(붕루), 惡阻(악조), 胎動(태동), 驚癎(경간)을 치료한다.

 

淡竹根(담죽근) - 煮汁(자즙)煩熱(번열)()하고, 消痰(소담), 祛風熱(거풍열)의 효능이 있다. 驚悸迷悶(경계미민), 소아의 驚癎(경간)을 치료한다.

 

淡竹筍(담죽순)消痰(소담), 除熱狂(제열광)의 효능이 있다. 壯熱頭痛(장열두통), 頭風(두풍-신경성두통), 경계, 姙婦頭旋顚僕(임부두선전복), 溫疫(온역-급성전염병), 소아경기, 天弔(천조)를 치료한다.

 

淡竹殼(담죽각) - 目峠(목예-흑내장, 백내장)를 치료한다. 효능은 態膽(태담)과 같다.

 

竹葉(죽엽)淸熱除煩(청열제번), 生津(생진), 이뇨의 효능이 있다. 열병으로 인한 煩渴(번갈), 소아의 驚癎(경간), 咳逆(해역)에 의한 토혈, 鼻出血(비출혈), 面赤(면적), 小便短赤(소변단적), 구미설창을 치료한다.

 

말라 죽은 幼葉(유엽)竹卷心(죽권심)이라 하며, 淸心除煩(청심제번), 消暑止渴(소서지갈)의 효능이 있다. 화상을 치료할 때 바른다.

 

莖稈(경간)에서 유출한 액을 竹瀝(죽력)하며 약용한다. 淸熱滑痰(청열골담)하고 鎭痙通竅(진경통규)의 효능이 있다. 중풍에 의한 痰迷(담미), 肺熱(폐열)에 의한 痰壅(담옹), 驚風(경풍), 癲癎(전간), 壯熱(장열)로 인한 煩渴(번갈), 子煩(자번-임신시의 心中煩悶(심중번민)), 파상풍을 치료한다.

 

시들은 幼竹(유죽)莖稈(경간)仙人杖(선인장)이라 하며, 反胃(반위), 小兒吐乳(소아토유), 水腫(수종), 각기, 학질, 痔瘡(치창)을 치료한다.

 

솜대 등에 기생하는 죽벌에 의한 상처로 생긴 유액이 응고한 塊狀物質(괴상물질)天竺黃(천축황)이라 하며 약용한다. 淸熱(청열), 化痰(화담), 心凉(심양), 利竅(이규)의 효능이 있다. 열병신혼섬언, 中風痰迷不語(중풍담비불어), 小兒驚風(소아경풍), 癲癎(전간), 肺熱痰壅(폐열담옹)으로 인한 胸悶短氣(흉민단기), 煩滿咳逆(번만해역) 등의 ()을 치료한다.

 

유사종

 

오죽 (P.nigra MUNRO) : 줄기가 검다.

반죽 (for.punctata NAK.) : 환경에 따라 색이 다르고 황색 줄기에 흑색반점이 있다.

관암죽(P.compressa UYEKI) : 잎이 3-7(보통5-6)개씩 달리며 가지 첫마디가 편압되고 초상엽에 잔털이 있으며 전북 위봉산록에서 재배한다.

 

특징

오죽과 달리 줄기는 연한 녹색이서 연한 황색으로 변한다.

 

 

 

학명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Bean) Stapf ex Rendle

J. Linn. Soc., Bot. 36 : 443 (1904)

국명 솜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담죽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분검정대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3. 분죽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모금죽(毛金竹)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이명(異名)

 

Phyllostachys montana Rendle

Phyllostachys nevinii Hance

Phyllostachys nevinii var. hupehensis Rendle

Phyllostachys nigra var. puberula (Miq.) Fiori

Phyllostachys henonis Mitford

Phyllostachys henryi Rendle

Phyllostachys fauriei Hack.

Phyllostachys stauntonii Munro

Phyllostachys puberula (Miq.) Munro

Phyllostachys nigra f. henonis (Mitford) Muroi

Bambusa puberula Miq.

Arundinaria fauriei (Hack.) E.G.Camus

Sinarundinaria nigra var. henonis A.H.Lawson

Bambos hatsik Siebold Bambusa tsintsik Siebold

Phyllostachys kwangsiensis var. stauntonii (Munro) Keng f. ex Q.F.Zheng, Y.M.Lin

Bambusa henonis Bean

Phyllostachys diversifolia Munro

 

稈高6-18直徑約25毫米稈環及籜環均甚隆起籜鞘背面無毛或上部具微毛黃綠至淡黃色而具有灰黑色之斑點和條紋籜耳及其繸毛均極易脫落籜葉長披針形有皺折基部收縮小枝具葉1-5葉鞘鞘口無毛葉片質薄深綠色無毛窄披針形1-2厘米次脈6-8分布於長江流域各省陝西秦嶺有栽培朝鮮日本也有生丘陵及平原竹材堅韌專用劈蔑編結竹器筍味美可食紫竹 P. nigra (Lodd)Munro 稈較低矮3-5亦可7-10),稈成長後漸變爲紫黑色葉片質地更薄長江流域各省及陝西多有栽培稈可作簫笛和美工用材

 

 

按省份分布

雲南省,四川省,江西省,陝西省

 

&&&&&&&&&&&&&&&&&&&&&&&&&&&&&&&&&&&&&&&&&&&&&&&&

 

 

청간죽(青竿竹)/죽엽(竹葉)

 

2.

 

청간죽(青竿竹)

Bambusa tuldoides Munro

 

 

 

이명(異名)

 

Bambusa parvifolia W. T. Lin

Bambusa fauriei Hack.

Bambusa flavonoda W. T. Lin

Bambusa angulata Munro

Bambusa breviflora Munro

Bambusa longiflora W. T. Lin

Leleba fauriei (Hackel) Nakai

Leleba tuldoides (Munro) Nakai

Tetragonocalamus angulatus (Munro) Nakai

Chimonobambusa angulata (Munro) Nakai

Bambusa pallescens (Döll) Hack.

Bambusa breviflora var. hainanensis G.A.Fu

Leleba faurei (Hack.) Nakai

Leleba breviflora (Munro) Nakai

Guadua pallescens Döll

Arundarbor brevifolia Kuntze

Arundarbor angulata (Munro) Kuntze

Arundarbor tuldoides (Munro) Kuntze

Arundarbor breviflora (Munro) Kuntze

Arundinaria angulata (Munro) Porterf.

 

 

 

Bambusa tuldoides Munro

Trans. Linn. Soc. London 26(1): 93. 1868 [5 Mar-11 Apr 1868]

26(1): 93 1868

Original Data:

Notes: China

 

 

형태특정(形態特征)

 

 

竿高610直徑35厘米尾梢略下彎節間長3036厘米幼時薄被白蠟 粉無毛竿壁厚節處微隆起基部第一至二節於籜環之上下方各環生一圈灰白色絹 毛分枝常自竿基第一或第二節開始以數枝乃至多枝簇生主枝較粗長籜鞘早落背 面無毛,幹時縱肋稍隆起常於靠近外側的一邊有13條黃白色縱條紋先端向外側一 邊稍向下傾斜呈不對稱的寬弧拱形籜耳不相等靠外側的籜耳較大卵形至卵狀橢 圓形長約25厘米114厘米略有皺褶邊緣具波曲狀細弱繼毛靠內側的籜 耳較小斜升卵圓形至橢圓形約爲大耳的一半邊緣具波曲狀細弱繼毛籜舌高34毫米條裂邊緣密生長2毫米的短流蘇狀毛籜片直立易脫落呈不對稱的卵狀三角形至狹三角形背面疏生脫落性棕色貼生小刺毛腹面脈間被棕色或淡棕色小刺毛先 端漸尖具銳利硬尖頭基部稍作圓形收窄後便向兩側外延而與籜耳相連其相連部分爲 57毫米籜片基部寬度約爲籜鞘先端寬的3423其兩側邊緣近基部略有皺褶並 被波曲狀縫毛葉鞘背面無毛邊緣僅一側被短纖毛葉耳無或存在當存在時則爲狹 卵形至鐮刀形邊緣具直或曲的縫毛葉舌極低矮近截形全緣被極短的纖毛葉 片披針形至狹披針形1018厘米152厘米上表面無毛或近基部疏生柔毛下表面密被短柔毛先端漸尖而具粗糙鑽狀細尖頭基部近圓形或寬楔形假小穗以數 枚簇生於花枝各節簇叢基部托以鞘狀苞片淡綠色稍扁線狀披針形23厘米34毫米先出葉具2脊上被纖毛具芽苞片2無毛先端鈍小穗含小花 67位於上下兩端者不孕中間的小花爲兩性小穗軸節間扁平34毫米頂 端膨大呈杯狀而被微毛穎常1卵狀長圓形85毫米無毛先端急尖外稃 卵狀長圓形11-14毫米19無毛先端鈍並具短尖頭內稃與其外桴近等 長或稍較短兩脊的上部疏生極短白色纖毛近頂端的毛較長脊間和脊外的每邊均具 4並生有小橫脈先端略鈍並有一簇畫筆狀白毛鱗被3倒卵形邊緣被長纖毛前方2片偏斜寬短25毫米後方一片狹長長約3毫米花藥長3毫米先端微凹子房倒卵形具柄1. 2毫米頂部增厚並被長硬毛花柱長07毫米被長硬毛柱頭355毫米羽毛狀穎果圓柱形稍彎8毫米直徑15毫米頂端鈍圓而增厚並被長硬毛和殘留的花柱

 

 

 

 

 

&&&&&&&&&&&&&&&&&&&&&&&&&&&&&&&&&&&&&&&&&&&&&&&&

 

대두전죽(大頭典竹) /죽엽(竹葉)

3.

 

대두전죽(大頭典竹)

Bambusa beecheyana var. pubescens (P. F. Li) W. C. Lin

 

 

이명(異名)

Dendrocalamopsis beecheyana var. pubescens (P. F. Li) Keng f.

Neosinocalamus beecheyanus var. pubescens (P. F. Li) Keng f. et T. H. Wen

Sinocalamus beecheyanus var. pubescens P. F. Li

Sinocalamus pubescens (P. F. Li) Keng f.

 

 

 

地下莖爲合軸型主幹高20501030厘米節間長45厘米莖籜質地堅脆背部稀疏貼生易落的深棕色小刺毛籜葉呈卵狀兼披針形615厘米35厘米上面具有淡棕色小刺毛枝條常反生於主莖之上部每小枝具葉710葉鞘上部貼生黃棕色細毛葉片寬披針狀或披針狀矩圓形長橢圓形1 535厘米47厘米次脈1115小橫脈顯著小穗長1215毫米713毫長68紅色或深紫色

 

 

 

^^^^^^^^^^^^^^^^^^^^^^^^^^^^^^^^^^^^^^^^^^^^^^^^^^^^^^^^^^^^^^^^

 

 

 

 

 

竹葉

 

味苦平

 

主欬逆上氣溢筋急惡瘍殺小蟲

 

作湯益氣止渴補虛下氣

 

主風痓.通神明輕身益氣

 

名醫生益州

說文冬生草也象形下者箬也

 

 

 

[本經/中經]

 

 

^^^^^^^^^^^^^^^^^^^^^^^^^^^^^^^^^^^^^^^^^^^^^^^^^^^^^^^^^^^^^^^^

 

 

 

淡竹葉

 

담죽엽(淡竹葉)

 

 

소옴댓닙性寒味甘無毒

 

()은 한()하고 미()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消痰淸熱主中風失音不語壯熱頭痛止驚悸溫疫狂悶治咳逆上氣眩暈倒地小兒驚癎天弔本草

 

소담(消痰)하고 청열(淸熱)하며, 중풍실음불어(中風失音不語) 장열두통(壯熱頭痛)에 주효(主效)하다. 경계(驚悸), 온역(溫疫), 광민(狂悶)을 지()하며, 해역(咳逆), 상기(上氣), 현훈(眩暈)하여 넘어지는 것, 소아(小兒)의 경간(驚癎), 천조풍(天弔風)을 치()한다.[본초].

 

 

 

 

夑竹葉

 

근죽엽(䈽竹葉)

 

 

왕댓닙性寒味甘一雲苦無毒

 

()은 한()하고 미()는 감()하며<일운(一雲)()> 무독(無毒)하다.

 

 

止咳逆上氣除煩熱止消渴壓丹石毒療風眙喉痺嘔吐主吐血熱毒風惡瘍殺小盤

 

해역상기(咳逆上氣)를 지()하고 , 번열(煩熱)을 지()하며, 소갈(消渴)을 멎게 하고, 단석(丹石)의 독()을 압()한다. 풍경(風痙), 후비(喉痺), 구토(嘔吐)를 요()하며, 토혈(吐血), 열독풍(熱毒風), 악창(惡瘡)에 주효(主效)하고 소충(小蟲)을 살()한다.

 


竹有夑淡苦三種夑竹體圓而質勁大者宜刺船細者可爲苗甘竹似夑而茂卽淡竹也苦竹有白有紫本草

 

()에는 근죽(䈽竹), 담죽(淡竹), 고죽(苦竹), 삼종(三種)이 있다. 근죽(䈽竹)은 체()는 원(), ()은 경()한데 큰 것은 배의 상앗대를 만들 수 있고 가는 것은 피리를 만든다. 감죽(甘竹)은 황()화 같은데 번무(繁茂)하다. 즉 담죽(淡竹)이다. 고죽(苦竹)은 흰 것과 자줏빛 나는 것이 있다[본초].

 

 

참고

 

頌曰竹處處有之其類甚多而入藥惟用 䈽竹淡竹苦竹三種人多不能盡別︰《竹譜》︰竹堅而促節體圓而質勁皮白如霜大者宜刺船細者可為笛苦竹有白有紫甘竹似篁而茂即淡竹也然今之刺船者多用桂竹竹笛自有一種亦不名 竹苦竹亦有二種一出江西閩中本極粗大筍味殊苦不可啖一出江浙肉濃而葉長闊筍微有苦味俗呼甜苦筍是也今南人入藥燒瀝惟用淡竹一品肉薄節間有粉者

 

 


夑竹淡竹爲上苦竹次之入門

 


근죽(䈽竹), 담죽(淡竹)이 상품이고 고죽(苦竹)은 그 다음 간다[입문].

 

 

 

 

 

苦竹葉

 

고죽엽(苦竹葉)

 

 

靂性冷味苦無毒

 

()은 냉()하고 미()는 고()하며 무독(無毒)하다.

 

 

 

治不睡止消渴解酒毒除煩熱發汗治中風失音本草

 

불면(不眠)을 치()하고 소갈(消渴)을 지()하며, 주독(酒毒)을 해소(解消)하고, 번열(煩熱)을 제거(除去)하고 발한(發汗)한다. 중풍실음(中風失音)을 치()한다.[본초].

 

 

 

竹瀝

 

죽력(竹瀝)

 

 

主暴中風胸中大熱止煩悶卒中風失音不語痰熱昏迷止消渴治破傷風及産後發熱小兒驚癎一切危急之疾

 

 

폭중풍(暴中風), 흉중(胸中)의 대열(大熱)에 주효(主效)하며 번민(煩悶), 갑자기 중풍실음불어(中風失音不語), 담열(痰熱)로 혼미(昏迷)한 것을 지()하고, 소갈(消渴)을 멎게 하며 파상풍(破傷風)과 산후(産後)의 발열(發熱), 소아(小兒)의 경간(驚癎), 일체(一切)의 위급(危急)한 질()을 치()한다.

 


苦竹瀝療口瘡明目利九竅本草

 

고죽력(苦竹瀝)은 구창(口瘡), 명목(明目)하며, 구규(九竅)를 통리(通利)한다.[본초].

 


竹瀝非薑汁不能行經竹瀝六分加薑汁一分用入門


죽력(竹瀝)은 강즙(薑汁)이 아니면 행경(行俓)하지 못한다. 죽력(竹瀝) 육분(六分), 강즙(薑汁) 일분(一分)을 가()하여 용()한다.[입문].

 


取瀝法見雜方


죽력(竹瀝)의 법()은 잡방(雜方)에 있다.

 

 

 

 

竹實

 

죽실(竹實)

 

 

生於竹木茂盛蒙密之中大如鷄子竹葉層層包嚸味甘通神明令心膈淸涼輕身益氣入門

 

죽림(竹林)의 몽밀(蒙密)하고 무성(茂盛)한 곳에서 생()하는데 크기가 계자(鷄子) 정도이며, 죽엽(竹葉)이 층층(層層)으로 감싸고 있는 것인데 미()는 감()하며, 신명(神明)을 통()하고 심격(心膈)을 청냉(淸冷)하게 하고 경신익기(輕身益氣)한다.[입문].

 


一雲狀如小麥堪可爲飯喫本草


상태(狀態)는 소맥(小麥)과 같으며, ()으로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竹根

 

죽근(竹根)

 

 

煮湯服除煩熱止渴補虛下氣小毒又主風痙本草

 

자탕(煮湯)하여 복용(服用)하면, 번열(煩熱)을 제()하고 지갈(止渴)하며 보허(補虛), 하기(下氣), 소독(消毒)하며, 또 풍경(諷經)에 주효(主效)하다.[본초].

 

 

 

竹茹

 

죽여(竹茹)

 

 

主嘔籖咳逆止肺潯吐唾血鼻婼崩中卽刮靑竹皮也本草

 

구완(嘔啘), 해역(咳逆)에 주효(主效)하며, 폐위(肺痿)의 타혈(唾血), 비뉵(鼻衄), 붕중(崩中)을 멎게 한다. 즉 청죽(靑竹)의 피()를 긁어 낸 것이다[본초].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