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21. 15:26ㆍ[신농본초경]/중경(中經)
상백피(桑白皮)[본경/동의보감]
뽕나무/상(桑)
뽕나무
이명: [오듸나무] [새뽕나무]
학명: Morus alba L.
분류군: Moraceae(뽕나무과)
일어: トウグワ
영명: White Mulberry
잎
잎는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둔두 또는 첨두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 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도 길이 2-2.5cm로서 잔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액질(液質)이다. 과실이삭은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2.5cm로 6월에 검붉에 익는다. 산뽕나무에 비해 화주가 짧다.
꽃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고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는 꼬리화서에 달리며 긴 타원형이다. 암꽃 이삭은 길이 5-10mm이고 넓은 타원형이며 암꽃은 4개이고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고 길이2mm이며 자방은 털이 없다.
줄기
수피는 회갈색이며 소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뿌리
근피(根皮)를 상백피(桑白皮)라 한다.
원산지
중국
분포
수직적으로 표고 100~1,100m, 수평적으로 거의 전국에 식재한다.
형태
낙엽 활엽 교목 또는 관목.
크기
높이가 3m 정도에 이른다.
학명 Morus alba L.
Sp. pl. 986 (1753)
1. Morus alba var. integrifolia K.Koch
Linnaea, 22 : 603 (1849)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2. Morus alba var. romana Lodd.
Cat. Pl. ed. 16 (1836)
1) Bibliography of the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T.B.Lee, 1966)
3. Morus alba var. tatarica Ser.
Descr. Mur. 203 (185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Morus alba var. vulgaris Bureau
Prodr. (DC.) 17 : 238 (DC., 1873)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5. Morus romana Lodd.
Spach. Hut. Veh. 11: 42 (1842)
1) Bibliography of the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T.B.Lee, 1966)
국명 뽕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새뽕나무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오듸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영문명 :White Mulberry
일본명 :トウグワ
북한명 :뽕나무
Morus alba L.
Sp. Pl. 2: 986. 1753 [1 May 1753]
2: 986 1753
Original Data:
Notes: As. tem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桑
Morus alba L.
이명(異名)
Morus alba var. atropurpurea (Roxb.) Bureau
Morus alba var. emarginata Y. B. Wu
Morus alba var. bungeana Bureau
Morus atropurpurea Roxb.
Morus tatarica L.
Morus alba var. tatarica (L.) Ser.
Morus intermedia Perr.
형태특정(形態特征)
喬木或爲灌木,高3-10米或更高,胸徑可達50厘米,樹皮厚,灰色,具不規則淺縱裂; 桑
冬芽紅褐色,卵形,芽鱗覆瓦狀排列,灰褐色,有細毛;小枝有細毛。葉卵形或廣卵形,長5-15厘米,寬5-12厘米,先端急尖、漸尖或圓鈍,基部圓形至淺心形,邊緣鋸齒粗鈍,有時葉爲各種分裂,表面鮮綠色,無毛,背面沿脈有疏毛,脈腋有簇毛;葉柄長1.5-5.5厘米,具柔毛;托葉披針形,早落,外面密被細硬毛。花單性,腋生或生於芽鱗腋內,與葉同時生出;雄花序下垂,長2-3.5厘米,密被白色柔毛,雄花。花被片寬橢圓形,淡綠色。花絲在芽時內折,花藥2室,球形至腎形,縱裂;雌花序長1-2厘米,被毛,總花梗長5-10毫米被柔毛,雌花無梗,花被片倒卵形,頂端圓鈍,外面和邊緣被毛,兩側緊抱子房,無花柱,柱頭2裂,內面有乳頭狀突起。聚花果卵狀橢圓形,長1-2.5厘米,成熟時紅色或暗紫色。花期4-5月,果期5-8月。
^^^^^^^^^^^^^^^^^^^^^^^^^^^^^^^^^^^^^^^^^^^^^^^^^^^^^^^^^^^^^^^^^^^^^^^^^
桑根白皮
味甘寒。
主傷中,五勞六極,羸瘦,崩中,脈絕,補虛益氣。
葉主除寒熱出汗。
桑耳黑者,主女子漏下,赤白汁,血病,癥瘕積聚,陰補陰陽,寒熱,無子。
五木耳名糯,益氣不飢,輕身強志。生山穀。
《名醫》曰:桑耳一名桑菌,一名木麥,生犍為,六月多雨時採,即暴幹。
案《說文》雲:桑,蠶所食葉,木(上卄中而下大),木耳也。蕈,桑(上卄中而下大)。《爾雅》雲:桑瓣有葚梔。舍人雲:桑樹一半有葚,半無葚,名梔也。郭璞雲:瓣,半也,又女桑,(木夷)桑。郭璞雲:今俗呼桑樹小而條長者,為女桑樹,又(上厭下水)山桑。郭璞雲:似桑材中作弓及草轅,又桑柳槐條。郭璞雲:阿那垂條。
[本經)/中經]
^^^^^^^^^^^^^^^^^^^^^^^^^^^^^^^^^^^^^^^^^^^^^^^^^^^^^^^^^^^^^^^^^^^^^^^^^^
桑根白皮
나모불휘겁질治肺氣喘滿水氣浮腫消痰止渴去肺中水氣利水道治咳嗽唾血利大小腸殺腹藏盤又可縫金瘡
폐기천만(肺氣喘滿), 수기(水氣), 부종(浮腫)을 치(治)하며, 소담(消痰), 지갈(止渴)하며, 폐중(肺中)의 수기(水氣)를 거(去)하고, 수도(水道)를 통리(通利)한다. 해수(咳嗽), 타혈(唾血)을 치료(治療)하며, 대(大), 소장(小腸)을 이(利)하며, 촌백충(寸白蟲/腹藏盤)을 살(殺)하며, 금창(金瘡)을 봉합(封合)하는데 사용 된다.
採無時出土者殺人初採以銅刀刮去上㵋皮取其裏白暴乾東行根益佳《本草》
이를 채취(採取)하는 데는 일정(一定)한 시기(時期)가 없다. 토상(土上)에 나온 것은 사람을 죽게 한다. 처음 캐서 구리칼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속에 있는 흰 껍질을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동쪽으로 뻗어간 뿌리가 더욱 좋다[본초].
入手太陰經瀉肺氣之有餘利水生用咳嗽蜜蒸或炒用《入門》
수태음경(手太陰經)에 들어가서 폐기(肺氣)의 유여(有餘)를 사(瀉)한다. 수(水)를 이(利)하는데 생용(生用)하고, 해수(咳嗽)에는 밀증(蜜蒸) 또는 초(炒)하여 용(用)한다.[입문].
◯ 主熱渴水煎飮之
열갈(熱渴)에 주효(主效)한데 수전(水煎)하여 음(飮)한다.
黑桷搗濾去滓入石器中入蜜熬膏每取二三匙沸湯點服止渴生精神《本草》
흑각(黑桷/오디)를 도(搗)하여 찌꺼기를 버리고 즙을 받아 석기(石器)에 담고 밀(蜜)을 넣어 오고(熬膏)하여 매(每) 이(二)~삼시(三匙) 비탕(沸湯)으로 점복(點服)하면 갈(渴)을 지(止)하고 정신(精神)을 생(生)한다.[본초].
◯ 桑白皮
可以縫金瘡取生皮作線縫腹破腸出者唐安金藏剖腹用此法便愈
금창(金瘡)을 봉합(縫合)한다. 생피(生皮)로 작선(作線)하여 복파장출(腹破腸出)한 당(唐)의 안금장(安金藏)이 부복(剖腹) 하였을 때 이 방법을 쓰고 곧 나았다.
神仙刀箭藥妙不可言桑葉爲末乾敄之
신선도전약(神仙刀箭藥)의 신기함을 말로써는 다할 수 없다. 상엽(桑葉)을 가루 내어 마른 채로 상처에 뿌린다.
金瘡止痛桑柴灰付之佳《本草》
금창(金瘡)에 지통(止痛)하는 데는 상시회(桑柴灰)를 붙이면 좋다[본초].
◯ 治水腫喘急桑白皮四兩靑梁米四合同煮爛取淸飮名桑白皮飮《入門》
수종(水腫), 천급(喘急)을 치(治)한다. 상백피(桑白皮) 사량(四兩), 청양미(靑梁米) 사합(四合)을 함께 잘 달여서 웃물을 받아 마신다. 이것을 상백피음(桑白皮飮)이라고 한다[입문].
◯ 瀉肺去肺中水氣煮服之《本草》
폐(肺)를 사(瀉)하고 폐중(肺中)의 수기(水氣)를 거(去)하는데 달여서 먹는다[본초].
◯ 利大小腸水煎飮之《本草》
대소장(大小腸)을 이(利)하는데 수전(水煎)하여 마신다.[본초].
◯ 治肺氣喘滿咳嗽或吐血桑皮四兩厹浸三宿犫細姎米一兩焙乾右同爲末米飮調下一二錢《本草》
폐기천만(肺氣喘滿), 해수(咳嗽) 및 토혈(吐血)을 치(治)한다. 상피(桑皮) 사량(四兩), 쌀 씻은 물에 삼일 밤 동안 담갔다가 잘게 썰어서 찹쌀 일량(一兩)과 함께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낸다. 한번에 일~이전(二錢)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본초].
桑白皮瀉肺氣然性不純良用之多者當戒蓋以出土者有毒故也《丹心》
상백피(桑白皮)는 폐기(肺氣)를 사(瀉)하지만 성(性)이 순량(純良)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용(多用)하지 말아야 한다. 대체로 땅 위에 드러나 있던 것은 독(毒)이 있다[단심].
★ 葉
家桑葉煖無毒除腳氣水腫利大小腸下氣除風痛
가상엽(家桑葉)은 난(煖)하며 무독(無毒)하다. 각기(腳氣), 수종(水腫)을 제거(除去)하고, 대소장(大小腸)을 통리(通利)하고, 하기(下氣)하며, 풍통(風痛)을 제거(除去)한다.
葉梩者名鷄桑最佳夏秋再生葉爲上霜後採用《本草》
엽리(葉梩)한 것은 계상(雞桑)이라 하여 제일 좋다. 여름과 가을에 재차 난 잎이 좋은데 서리 내린 이후에 따서 쓴다[본초].
◯ 治面上肺毒瘡如大風瘡取葉淨洗蒸熟日乾爲末水調二錢服日三名綠雲散《本草》
면상(面上)에 폐독창(肺毒瘡)이 대풍창(大風瘡)같이 된 것을 치(治)한다. 상엽(桑葉)을 취(取)하여 정세(淨洗)하여 증숙(蒸熟)한 후 일건(日乾)한다. 이것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이전(二錢)씩 하루 세 번 물에 타 먹는다. 일명 녹운산(綠雲散)이라고도 한다[본초].
◯ 청상엽(靑桑葉)
治乳硬作痛取嫩葉生宭細調米飮貼病處《得效》
유경작통(乳硬作痛)을 치(治)한다. 눈엽(嫩葉)을 취(取)하여 잘 짓찧어 미음으로 개어 아픈 곳에 붙인다[득효].
◯ 黃桑葉
癰疽瘡口成大窟不斂經霜黃桑葉爲末頻敄瘡中或煎湯洗之《本草》
옹저(癰疽)의 구멍이 커서 빨리 아물지 않을 때 황상엽(黃桑葉)을 가루내서 자주 뿌리거나 달인 물로 씻으면 좋다[본초].
★ 枝
春葉未開枝切炒煮湯飮一切風療水氣腳氣肺氣咳嗽上氣消食利小便治臂痛療口乾卽桑枝茶也《本草》
봄에 잎이 내돋지 않은 때에 절초(切炒)하여 전탕(煎湯)으로 음(飮)하면 일체(一切)의 풍(風), 수기(水氣), 각기(腳氣), 폐기해수(肺氣咳嗽), 상기(上氣)를 요(療)한다. 소식(消食)하며, 소변(小便)을 이(利)한다. 비통(臂痛), 창(瘡)을 치(治)하며, 구건(口乾)을 요(療)하는데 즉 상지차(桑枝茶)이다. [본초].
◯ 療口乾如茶常服爲佳《本草》
구건(口乾)을 요(療)한다. 차(茶)처럼 상복(常服)하면 좋다[본초].
◯ 桑枝灸法
상지구법(桑枝灸法)
治發背不起發不腐桑枝燃著吹息火焰以火頭灸患處日三五次每次片時取瘀肉腐動爲度若腐肉已去新肉生遲宜灸四圍如陰瘡唪瘡岤嵤流注久不愈者尤宜灸之《入門》
발배부기(發背不起), 발부부(發不腐)를 치(治)한다. 상지(桑枝)에 불을 붙였다가 입으로 불길을 불어 불이 죽은 다음 그것으로 종처를 지진다. 일(日) 3-5번 하며 매번 잠깐 동안씩 한다. 궂은살이 없어질 때까지 한다. 만약 궂은살이 다 없어지고 새살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그 주위를 지진다. 만약 음창(陰瘡)과 염창(臁瘡), 나력(癩癧)이 여기저기 옮겨가면서 오래도록 낫지 않을 때에 지지는 것이 더욱 좋다[입문].
★ 桷
性寒味甘無毒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감(甘)하며 무독(無毒)하다.
主消渴利三藏久服不飢
소갈(消渴)에 주효(主效)하고, 삼장(三藏)을 이(利)하며, 구복(久服)하면 불기(不飢)한다.
黑桷桑之精英盡在於此《本草》
흑각(黑桷)은 상(桑)의 정(精)이 다 들어 있다[본초].
★ 桑柴灰
나모꿅믡療黑子沯贅功勝冬灰《本草》
흑자(黑子), 석췌(沯贅)를 치(治)하는데 그 공력(功力)이 동회(冬灰)보다 좋다[본초].
小豆赤者同煮服大下水腫《本草》
적소두(赤小豆)와 같이 자(煮)하여 복용(服用)하면 수종(水腫)을 크게 하(下)한다.[본초].
桑薪灰純者入藥絶奇《本草》
뽕나무만 태운 재가 약으로는 더 좋다[본초].
◯ 桑柴灰淋汁
性寒味辛有小毒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신(辛)하며 유소독(有小毒)하다.
煮赤小豆作粥喫大下水脹《本草》
적소두(赤小豆)를 자(煮)하여 죽을 쑤어 먹으면 수창(水脹)을 크게 하(下)한다. [본초].
◯ 桑柴灰
能滅獻疵黑子與藜灰淋取汁熬點之佳《本草》
능(能)히 지(痣/사마귀), 자(疵), 흑자(黑子)를 멸(滅)한다. 려회(藜灰/동회(冬灰))를 임취(淋取)하여 오(熬)하여 점(點)하면 좋다[본초].
[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중경(中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모(貝母)[본경/동의보감] (0) | 2022.04.29 |
---|---|
해백(薤白)[본경/동의보감] (0) | 2022.04.29 |
방기(防己)[본경/동의보감] (0) | 2022.04.10 |
죽엽(竹葉)[본경(本經)] (0) | 2022.04.01 |
백미(白薇)[본경/동의보감]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