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12. 23:54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구문(鉤吻)[본초강목]
^^^^^^^^^^^^^^^^^^^^^^^^^^^^^^^^^^^^^^^^^^^^^^^^^^^^^^^^^^^^^^^^^^^^^^
鉤吻
(《本經》下品)
【釋名】
野葛(《本經》)、毒根(《吳普》)、胡蔓草(《圖經》)、斷腸草(《綱目》)、黃藤《 綱目》火把花
弘景曰︰言其入口則鉤人喉吻也。或言︰吻當作挽字,牽挽人腸而絕之也。
이 草(초)는 입에 넣으면 사람의 喉吻(후문)을 鉤(구)한다는 依微(의미)이다. 혹은 吻(문)은 挽字(만자)를 쓰는 것이 올바르기 때문에 사람의 腸(장)을 牽挽(견만)해서 命(명)을 絶(절)한다는 依微(의미)라고 한다.
時珍曰︰此草雖名野葛,非葛根之野者也。或作冶葛。王充《論衡》云︰冶,地名也,在東南。其說甚通。廣人謂之胡蔓草,亦曰斷腸草。
이 草(초)는 野葛(야갈)이라는 名稱(명칭)이 있으나 葛根(갈근)의 野生(야생)인 것을 意味(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혹은 治葛(치갈)이라고도 쓴다. 王充(왕충)의 論衡(논형)에 “冶(야)라는 地名(지명)이 있는데 그 땅은 東南方(동남방)에 있다.”라고 되어 있다. 그 說(설)이 甚(심)히 穩當(온당)하다. 廣地方(광지방)에서는 이것을 胡蔓草(호만초)라 하고, 斷腸草(단장초)라고도 한다.
入人畜腹內,即粘腸上,半日則黑爛,又名爛腸草。滇人謂之火把花,因其花紅而性熱如火也。岳州謂之黃藤。
人畜(인축)의 腹(복)에 들어가서 膈上(격상)에 붙여 두면 半日(반일)이면 黑爛(흑란)이 된다. 이렇듯 또한 爛腸草(난장초)라고 한다. 滇地方(전지방)에서는 이것을 火把花(화파화)라 하며, 꽃은 紅色(홍색)인데 性(성)이 불과 같아서 熱(열)이 난다는 것을 意味(의미)한 것이다. 岳州(악주)에서는 黃藤(황등)이라고도 한다.
【集解】
《別錄》曰︰鉤吻生敷高山谷及會稽東野。折之青煙出者,名固活。二月、八月採。
普曰︰秦鉤吻一名除辛,生南越山及寒石山,或益州。葉如葛,赤莖大如箭而方,根黃色,正月採之。
恭曰︰野葛,生桂州以南,村墟閭巷間皆有。彼人通名鉤吻,亦謂苗為鉤吻,根名野葛。 蔓生。其葉如柿。其根新采者,皮白骨黃。宿根似地骨,嫩根如漢防己,皮節斷者良。正與白花藤相類。不深別者,頗亦惑之。新者折之無塵氣。經年以後則有塵起,從骨之細孔中出。 今折枸杞根亦然。《本草》言折之青煙起者名固活為良,亦不達之言也。人誤食其葉者致死,而羊食其苗大肥,物有相伏如此。《博物志》云︰鉤吻蔓生,葉似鳧葵,是也。
時珍曰︰嵇含《南方草木狀》云︰野葛蔓生,葉如羅勒,光而濃,一名胡蔓草。人以雜 生蔬中毒人,半日輒死。段成式《酉陽雜俎》云︰胡蔓草生邕州、容州之間。叢生。花扁如梔子而稍大,不成朵,色黃白。其葉稍黑。又按《嶺南衛生方》云︰胡蔓草葉如茶,其花 黃而小。一葉入口,百竅潰血,人無複生也。時珍又訪之南人云︰鉤吻即胡蔓草,今人謂之斷腸草是也。蔓生,葉圓而光。春夏嫩苗毒甚,秋冬枯老稍緩。五、六月開花似櫸柳花,數十朵作穗。生嶺南者花黃;生滇南者花紅,呼為火把花。此數說皆與吳普、蘇恭說相合。陶弘景等別生分辨,並正於下。
【正誤】
弘景曰︰《五符經》亦言鉤吻是野葛。核事而言,似是兩物。野葛是根,狀如牡丹,所生處亦有毒,飛鳥不得集,今人用合膏服之無嫌。鉤吻別是一物,葉似黃精而莖紫,當心抽花,黃色,初生極類黃精,故人采多惑之,遂致死生之反。或云鉤吻是毛茛,參錯不同,未詳云何?
曰︰凡使黃精勿用鉤吻,真似黃精,只是葉有毛鉤子二個。黃精,葉似竹葉。又曰︰ 凡使鉤吻,勿用地精,莖苗相同。鉤吻治人身上惡毒瘡,其地精殺人也。
恭曰︰鉤吻蔓生,葉如柿。陶言飛鳥不集者,妄也。黃精直生,葉似柳及龍膽草,殊非比類。毛茛,乃有毛石龍芮,與鉤吻何干?
頌曰︰江南人說黃精莖苗稍類鉤吻。但鉤吻葉頭極尖而根細,與蘇恭所說不同,恐南北 之產異也。
禹錫曰︰陶說鉤吻似黃精者,當是。蘇說似柿葉者,別是一物也。又言苗名鉤吻,根名野葛者,亦非通論。
時珍曰︰《神農本草》鉤吻,一名野葛,一句已明。《草木狀》又名胡蔓草,顯是藤生。 吳普、蘇恭所說 說。諸家遂無定見,不辨其蔓生、小草,相去遠也。然陶、雷所說亦是一種有毒小草,但不得指為鉤吻爾。昔天姥對黃帝言︰黃精益壽,鉤吻殺人。乃是以二草善惡比對而言。陶氏不審,疑是相似,遂有此說也。余見黃精下。
【氣味】
辛,溫,大有毒。
普曰︰神農︰辛;雷公︰有毒殺人。
時珍曰︰其性大熱。本草毒藥止云有大毒,此獨變文曰大有毒,可見其毒之異常也。
그 性(성)은 大熱(대열)하다. 本草(본초)에는 毒藥(독약)에 關(관)한 說明(설명)을 오직 大毒이라고 하였으나 홀로 이것에 맞는 文法을 바꿔서 大有毒(대유독)이라 하였다. 이것으로 보아도 그 毒(독)이 얼마나 强(강)한 것인지 判別(판별)될 것이다.
之才曰︰半夏為之使,惡黃芩。
半夏(반하)가 使(사)가 되고 黃芩(황금)을 惡(오)한다.
【主治】
金瘡乳痙,中惡風,咳逆上氣,水腫,殺鬼疰蠱毒(《本經》)。
金瘡(금창) 乳痙, 中惡風(중오풍), 咳逆上氣(해역상기), 水腫(수종), 鬼疰(귀주), 蠱毒(고독)을 殺(살)한다.
破癥積,除腳膝痹痛,四肢拘攣,惡瘡疥蟲,殺鳥獸。搗汁入膏中,不入湯飲。《別錄》。
癥積(징적)을 破(파)하고, 脚膝(각슬)의 痹痛(비통), 四肢(사지)의 拘攣(구련), 惡瘡(악창), 疥蟲(개충)을 除(제)하고, 鳥獸(오수)를 殺(살)한다. 搗汁(도즙)해서 膏中(고중)에 넣는다. 湯(탕), 飮(음)에는 넣지 않는다.
主喉痹咽塞,聲音變。《吳普》。
喉痺(후비), 咽塞(인색)으로 變質(변질)된 데에 主效(주효)하다.
【發明】
藏器曰︰鉤吻食葉,飲冷水即死,冷水發其毒也。彼土毒死人懸尸樹上,汁滴 地上生菌子,收之名菌藥,烈於野葛也。
鉤吻(구문)은 葉(엽)을 먹고 冷水(냉수)를 마시면 卽死(즉사)한다. 冷水(냉수)가 그 毒(독)을 發(발)하게 때문이다. 그쪽 地方(지방)에서는 사람을 毒殺(독살)해서 屍體(시체)를 樹上(수상)에 걸고, 그 屍體(시체)에서 汁(즙)이 地上(지상)에 떨어지면 거기서 생긴 菌子(균자)를 채취해서 菌藥(균약)이라 名稱(명칭)한다.이것은 野葛(야갈)의 毒(독)보다 激烈(격렬)하다고 한다.
蕹菜搗汁,解野葛毒。取汁先食蕹菜,後食野葛,二物相伏,自然無苦。魏武帝啖野葛至尺,先食此菜也。
蕹菜(옹채)의 搗汁(도즙)은 野葛(야갈)의 毒(독)을 解(해)하는 것이다. 그 汁(즙)을 野葛(야갈)의 苗(묘)에 떨어뜨리면 즉시 말라서 시들어 버린다. 南方(남방)의 地方民(지방민)은 蕹菜(옹채)를 먹고 後(후)에 野葛(야갈)을 먹는데 이것은 二物(이물)이 想伏(상복)하는 탓으로 절로 苦惱(고뇌)를 免(면)하게 되는 것이다. 魏(위)의 武帝(무제)는 野葛(야갈)을 一尺(일척)까지 먹었다고 만 事前(사전)에 이 菜(채)를 먹었던 것이다.
時珍曰︰按李石《續博物志》云︰胡蔓草出二廣。廣人負債急,每食此草而死,以誣人。以急水吞即死急,慢水吞死稍緩。或取毒蛇殺之,覆以此草,澆水生菌,為毒藥害人。
살펴보면 李石(이석)의 續博物志(속박물지)에 “胡蔓草(호만초)는 二廣(이광)에서 나온다. 廣人(광인)은 負債(부채)의 督促(독촉)을 받아서 窮(궁)해지면 往往(왕왕) 이 草(초)를 먹고 自殺(자살)하여 이로써 債權者(채권자)를 罪誣(죄무)하였다. 急流(급류)하는 물을 마시면 死亡(사망)에 이르는 것도 急速(급속)하지만 緩流(완류)하는 물을 마시면 死亡(사망)하는 속도도 그만큼 緩慢(완만)하다. 혹은 毒蛇(독사)를 殺(살)한 뒤에 이 草(초)로 덮어 두었다가 물을 끼얹어 두면 菌(균)이 생긴다. 이것도 사람을 害(해)하는 毒藥(독약)이다.”라고 되어 있다.
葛洪《肘後方》云︰凡中野葛毒口不可開者。取大竹筒洞節,以頭拄其兩脅及臍中。灌冷水入筒中,數易水。須臾口開,乃可下藥解之。惟多飲甘草汁、人屎汁;白鴨或白鵝斷頭瀝血,入口中;或羊血灌之。
葛洪(갈홍)의 肘后方(주후방)에는 “무릇 野葛(야갈)에 腫毒(종독)되었을 때 입을 열지 못하면 大竹筒(대죽통)의 節(절)을 뽑아서 그 一端(일단)을 兩脇(양협)및 臍中(제중)에 대고 冷水(냉수)를 그 筒中(통중)에 흘려 넣어 계속해서 물을 갈아 준다. 잠시 후에 입이 열리고 藥(약)을 넣을 수 있게 된다. 毒(독)을 解(해)하는 데는 단지 甘草汁(감초즙), 人屎汁(인시즙)을 많이 마시든가, 白鴨(백압) 혹은 白鵝(백아)의 頭(두)를 잘라서 그 血(혈)을 입속에 부어 넣든가 혹은 羊血(양혈)을 부어 넣으면 좋다.”라고 하였다.
《嶺南衛生方》云︰即時取雞卵抱未成雛者,研爛和麻油灌之。吐出毒物乃生,稍遲即死也。
嶺南衛生方(영남위생방)에는 “親鷄(친계)가 품어서 아직 雛(추)가 되지 않는 鷄卵(계란)을 즉시 硏爛(연란)해서 麻油(마유)에 和(화)해서 灌入(관입)하면 毒物(독물)을 吐出(토출)하고 蘇生(소생)한다. 조금만 늦어도 死亡(사망)한다.”라고 하였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몽화(密蒙花)[본초강목] (0) | 2022.02.13 |
---|---|
취어초(醉魚草)[본초강목] (0) | 2022.02.13 |
안식향(安息香)[본초강목] (0) | 2022.02.12 |
부자(附子)[본초강목] (0) | 2022.02.12 |
모간(毛茛)[본초강목] (0) | 2022.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