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엽(艾葉)[본초강목]

2021. 1. 13. 23:46[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애엽(艾葉)[본초강목]

 

 

 

 

^^^^^^^^^^^^^^^^^^^^^^^^^^^^^^^^^^^^^^^^^^^^^^^^^^^^^^^^^^^^^^^^^^^^^^^^^

 

 

 

(《別錄中品

 

釋名

 

冰台(《爾雅》)、醫草(《別錄》)、黃草(《埤雅》)、艾蒿

 

時珍曰王安石字說艾可乂疾久而彌善故字從 陸佃埤雅︰《博 物志言削冰令圓舉而向日以艾承其影則得火則艾名冰台其以此乎醫家用灸百病故曰灸草一灼謂之一壯以壯人為法也

 

字說(자설)()(/)하는 것으로 오래된 것일 수록 좋다. 그러므로 文字(문자)()를 따라야 한다.”라고 하였다. 陸田(육전)埤雅(비아)에는 ()을 둥글게 깍아 손에 쥐고 햇볕을 향해서 透光(투광)()에 받게 하면 불이 붙는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에 氷臺(빙대)라는 명칭이 있는 까닭은 바로 이것 때문이다. 醫家(의가)에서는 이것을 使用(사용)해서 많은 ()()하므로 灸草(구초)라고 한다. ()一灼(일작)一壯(일장)이라 하는 것은 壯健(장건)한 사람을 標準(표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集解

 

別錄艾葉生田野三月三日采曝乾

 

頌曰處處有之以複道及四明者為佳云此種灸百病尤勝初春布地生苗莖類蒿葉背白以苗短者為良三月三日五月五日采葉曝乾陳久方可用

 

時珍曰艾葉,《本草不著土產但雲生田野宋時以湯陰複道者爲佳四明者圖形近代惟湯陰者謂之北艾四明者謂之海艾自成化以來則以蘄州者爲勝用充方物天下重之謂之蘄艾相傳他處艾灸酒壇不能透蘄艾一灸則直透徹爲異也

 

此草多生山原二月宿根生苗成叢其莖直生白色高四五尺其葉四布狀如蒿分爲五尖椏上複有小尖面青背白有茸而柔厚七八月葉間出穗如車前穗細花結實累累盈枝中有細子霜後始枯

 

皆以五月五日連莖刈取暴幹收葉先君月池子諱言聞嘗著蘄艾傳一卷有贊雲產於山陽采以端午治病灸疾功非小補又宗懍荊楚歲時記五月五日雞未鳴時采艾似人形者攬而取之收以灸病甚驗

 

是日采艾爲人懸於戶上可禳毒氣其莖幹之染麻油引火點灸炷滋潤灸瘡至愈不疼亦可代蓍策及作燭心

 

 

 

修治

 

宗奭曰艾葉乾搗去青滓取白入石硫黃末少許謂之硫黃艾灸家用之得米粉少許可搗為末入服食藥用

 

艾葉(애엽)乾棗(건조)하고 ()하여 青滓(청재)除去(제거)한 흰 부분을 採取(채취)해서 거기에 石流黃(석유황)가루 小量(소량)을 넣은 것을 硫黃艾(유황애)라 말하며, 灸家(구가)에서 使用(사용)한다. 米粉(미분) 小量(소량)을 넣고 찧은 ()服食藥(복식약)에 넣는다.

 

 

時珍曰凡用艾葉須用陳久者治令細軟謂之熟艾若生艾灸火則傷人肌脈

 

대개 艾葉(애엽)使用(사용)할 때에는 오랫동안 두었던 古葉(고엽)修治(수치)해서 細軟(세연)한 것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을 熟艾(숙애)라 한다. 生艾(생애)를 써서 ()()하면 肌脈(기맥)()하게 된다.

 

 

 

孟子七年之病求三年之艾揀取淨葉揚去塵屑入石臼內木杵搗熟羅去渣滓取白者再搗至柔爛如綿為度用時焙燥則灸火得力

 

그러므로 孟子(맹자)七年(칠년)()에는 三年(삼년)()()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淸淨(청정)()을 가려내어서 塵屑(진설)을 털어내고 石臼(석구)에 넣어 木杵(목저)搗熟(도숙)하고, 渣滓(사재)()로 쳐서 흰 部分(부분)()한다. 다시 綿()처럼 부드럽게 搗爛(도란)하여 사용할 때에는 焙燥(배조)하여 사용하면 灸火(구화)效力(효력)發揮(발휘)한다.

 

 

 

 

入婦人丸散須以熟艾用醋煮乾搗成餅子烘乾再搗為末用或以糯糊和作餅及酒炒者皆不佳

 

婦人(부인)服用(복용)하는 (), 散藥(산약)에 넣는 경우에는 熟艾(숙애)()煮乾(자건)해서 짓이겨 ()으로 烘乾(홍건)하여 다시 ()이 되게 짓찧어서 써야만 된다. 糯糊(나호)()해서 ()으로 한 것이나 술로 볶은 것도 있지만, 모두 좋지 않는 것들이다.

 

 

洪氏容齋隨筆艾難著力若入白茯苓三五片同碾即時可作細末亦一異也

 

洪邁(홍매)容齋隨筆(용재수필)()()하고 有力(유력)하게 하려면 상당히 까다롭긴 하여도 白茯苓(백복령) ()~五片(오편)을 넣어 함께 갈아서 바로 細末(세말)로 하여 쓰는 것이 特殊(특수)한 하나의 方法(방법)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氣味

 

微溫無毒

 

恭曰生寒熟熱

 

元素曰苦溫陰中之陽

 

()하고 ()하며 陰中(음중)()이다.

 

時珍曰苦 而辛生溫熟熱可升可降陽也入足太陰厥陰少陰之經苦酒

 

()하면서 ()하다. ()한 것은 (), ()한 것은 (), ()할 수도 있으며, ()할 수도 있다. ()하며 足太阴(족태음), 足厥陰(족궐음), 足少陰(족소음)()에 들어간다. 苦酒(고주), 香附(향부)使()가 된다.

 

 

主治

 

灸百病可作煎止吐血下痢下部匿蟲婦人漏血利陰氣生肌肉辟風寒使人有子作煎勿令見風(《別錄》)。

 

百病(백병)()한다. ()하여 쓰게 되면 吐血(토혈), 下痢(하리), 下部(하부)匿蟲瘡(닉충창), 婦人(부인)漏血(누혈)을 멈추고 陰氣(음기)()하고 肌肉(기육)()하며, 風寒(풍한)()하고, ()를 한다. ()하여 使用(사용)할 때는 바람을 보이면 안 된다.

 

 

搗汁服止傷血殺蛔蟲弘景)。

 

搗汁(도즙)服用(복용)하면 傷血(상혈)을 멈추고 蛔蟲(회충)()한다.

 

主衄血下血腸血痢水煮及丸散任用蘇恭)。

 

衄血(육혈), 下血(하혈), 膿血痢(농혈리)主效(주효)가 있다. 水煮(수자) ()을 적적하게 使用(사용)한다.

 

 

止崩血腸痔血金瘡止腹痛安胎苦酒作煎治癬甚良搗汁飲治心腹一切冷氣鬼氣甄權)。

 

崩血(붕혈), 腸痔血(장치혈)을 멈추고 金瘡(금창)()하며 腹痛(복통)을 멎게 하고, 安胎(안태)한다. 苦酒(고주)로 달여서 使用(사용)하면 ()()하는데 매우 좋다. 搗汁(도즙)을 마시면 心腹(심복) 一切(일체)冷氣(냉기), 鬼氣(귀기)()한다.

 

治帶下止霍亂轉筋痢後寒熱大明)。

 

帶下(대하)()하고, 癨亂轉筋(곽란전근), 痢後(이후)寒熱(한열)을 멎게 한다.

 

 

治帶脈為病腹脹滿腰溶溶如坐水中好古)。

 

帶脈(대맥)()이 되어 ()脹滿(창만)하고 ()溶溶(용용)해져서 水中(수중)에 앉는 것과 같이 된 것을 治療(치료)한다.

 

溫中逐冷除濕時珍)。

 

 

溫中(온중)하고 ()()하고 除濕(제습)한다.

 

 

 

 

 

發明

 

詵曰春月採嫩艾作菜食或和面作餛飩如彈子吞三五枚以飯壓之治一切鬼惡氣長服止冷痢又以嫩艾作乾餅子用生薑煎服止瀉痢及產後瀉血甚妙

 

春季(춘계)()嫩葉(눈엽)採集(채집)해서 ()로 먹고 혹은 ()()하여 彈子(탄자) 크기의 餛飩(혼돈)으로 만들어 ()~五個(오개)를 넘기고 밥을 먹어서 위에서 눌려 주면 一切(일체)(), 惡氣(악기)()한다. fot동안 服用(복용)하면 冷痢(냉리)를 멎게 한다. 嫩艾(눈애)로 만든 乾餅子(건병자)生薑煎(생강전)으로 服用(복용)하면 瀉痢(사리), 産後(산후)瀉血(사혈)을 멎게 하는데 甚妙(심묘)하다.

 

 

頌曰近世有單服艾者或用蒸木瓜和丸或作湯空腹飲甚補虛羸然亦有毒發則熱氣沖 上狂躁不能禁至攻眼有瘡出血者誠不可妄服也

 

 

近世(근세)에는 ()單服(단복)하는 사람도 있고, 혹은 찐 木瓜(모과)()해서 ()으로 하고 혹은 ()을 만들어 空腹(공복)에 마시는 사람도 있다. 매우 虛羸(허리)()하는 것이긴 하나 그래도 역시 中毒(중독)()하는 일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熱氣(열기)衝上(충상)하여 狂燥(광조)되어 마침내는 손을 써볼 方法(방법)이 없게 되어 攻眼(공안)하고, ()이 도지며, 出血(출혈)하기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참으로 함부로 服用(복용)해서는 안 된다.

 

 

震亨曰婦人無子多由血少不能攝精俗醫謂子宮虛冷投以辛熱或服艾葉不知艾性至熱入火灸則氣下行入藥服則氣上行

 

婦人(부인)不姙症(불임증)에는 大部分(대부분)()이 적은 탓으로 攝政不能(섭정불능)이 되는 것이다. 俗醫(속의)子宮(자궁)虛冷(허랭)이라 여기어 (), ()()投與(투여) 혹은 艾葉(애엽)服用(복용)시키거나 하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至熱(지열)한 것이므로 ()使用(사용)해서 ()하면 ()下行(하행)하고 ()에 넣어서 服用(복용)하면 ()上行(상행)하는 것이다.

 

 

本草止言其溫不言其熱世人喜溫率多服之久久毒發何嘗歸咎於艾哉予考蘇頌圖經而因默有感焉

 

本草(본초)에서는 단지 그 ()()하다고만 말했을 뿐으로 ()이라고 하지 않는 탓으로 世人(세인)들은 그 ()可能(가능)하면 多服(다복)한 나머지 오랜 歲月(세월)에 걸쳐서 中毒(중독)을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에 뒤집어씌울 수는 없다. 나는 燒送(소송)圖景(도경)을 보고 이 問題(문제)에 관해서 깊이 느낀 바가 있었다.

 

 

時珍曰艾葉生則微苦太辛熟則微辛太苦生溫熟熱純陽也可以取太陽真火可以回垂絕元陽服之則走三陰而逐一切寒濕轉肅殺之氣為融和灸之則透諸經而治百種病邪起沉 之人為康泰其功亦大矣

 

艾葉(애엽)()으로 味苦(미고)하면서 매우 ()하고 ()한 것은 微辛(미신)하면서 매우 ()하다. ()것은 (), ()(), 純陽(순양)이다. 이것으로 太陽(태양)眞火(진화)()하며, 그 때문에 ()되어 늘어진 元陽(원양)回復(회복)하니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三陰(삼음)走行(주행)해서 一切(일체)寒濕(한습)을 쫓고 肅殺(숙살)()轉向(전향)시켜 融和(융화)를 이룬다. ()하면 諸經(제경)()해서 百種(백종)病邪(병사)()하며, 沈痾(침아)의 사람을 일으켜 세워 康泰(강태)하게 한다. ()은 참으로 큰 것이다.

 

 

蘇恭言其生寒蘇頌言其有毒一則見其能止諸血一則見其熱氣上沖遂謂其性寒有毒誤矣

 

蘇恭(소공)()()하다.”라고 하였고 蘇頌(소송)()이 있다.”라고 한 것은 하나는 능히 諸血(제혈)을 멎게 하는 것을 보았고, 하나는 그 熱氣(열기)上衝(상충)함을 보았던 것으로 ()하다는 것과 ()이 있다는 것을 誤認(오인)했던 것이다.

 

 

蓋不知血隨氣而行氣行則血散熱因久 服致火上沖之故爾夫藥以治病中病則止若素有虛寒痼冷婦人濕郁帶漏之人以艾和歸香附諸藥治其病夫何不可

 

대개 ()()에 따라서 흐르고 ()가 흐르면 ()()하는 것으로 熱因(열인)한 것을 久服(구복)하면 ()上衝(상충)惹起(야기)하는 것에 理解(이해)()했던 것이다. 원래 虛寒(허한), 痼冷(고랭)한 사람, 婦人(부인)濕鬱(습울), 對漏(대루)患者(환자)일 경우에는 그것에 대해서 ()를 쓰되 當歸(당귀), 香附(향부)諸藥(제약)()해서 그 ()治療(치료)한다는 方法(방법)에 무슨 지장이 있겠는가.

 

 

而乃妄意求嗣服艾不輟助以辛熱藥性久偏致使火躁是誰之咎歟於艾何尤

 

그러나 함부로 姙娠(임신)圖謀(도모)함에 갑자기 間斷(간단)없이 ()服用(복용)하고, 더욱이 그 藥力(약력)을 돕기 위해서 ()이나 ()한 것을 使用(사용)하는 일은 藥性(약성)이 오랫동안 作用(작용)하여 ()現象(현상)이 되니 끝내는 ()()하는 結果(결과)가 되고 마는 것이다. 原則(원칙)을 따지자면 누구의 ()가 되겠는가. ()에게 무슨 ()가 있다고 할 수 있겠는가.

 

 

艾附丸治心腹少腹諸痛調女人諸病頗有深功膠艾湯治虛痢及妊娠產後下血尤著奇效老人丹田氣弱臍腹畏冷者以熟艾入布袋兜其臍腹妙 不可言寒濕腳氣亦宜以此夾入襪內

 

艾附丸(애부환)에는 心腹(심복), 小腹(소복)諸痛(제통)()하고, 婦人(부인)祭屛(제병)調律(조율)함에 매우 깊고 좋은 效力(효력)이 있지 않는가. 膠艾湯(교애탕)에는 虛痢(허리) 姙娠(임신), 産後(산후)下血(하혈)治療(치료)함에 就中(취중)에 현저한 效驗(효험)이 있지 않는가. 老人(노인)丹田氣(단전기)()한 것에 脐腹(제복)()을 두려워하는 것에는 熟艾(숙애)布袋(포대)에 넣어서 그 脐腹(제복)을 덮고 ()하게 하면 말로 다 할 수 없는 妙效(묘효)가 있다. 寒濕脚氣(한습각기)에도 역시 이것을 足袋(족대)()에 끼우는 것이 좋은 것이다.

 

 

 

附方舊二十三新二十九

 

 

傷寒時氣溫病頭痛壯熱脈盛以乾艾葉三升水一斗煮一升頓服取汗。(《肘後方》)

 

妊娠傷寒壯熱赤斑變為黑斑溺血用艾葉如雞子大酒三升煮二升半分為二服。(《傷寒類要》)

 

妊娠風寒卒中不省人事狀如中風用熟艾三兩米醋炒極熱以絹包熨臍下良久即蘇。(《婦人良方》)

 

中風口喎以葦筒長五寸一頭刺入耳內四面以面密封不透風一頭以艾灸之七壯患右灸左患左灸右。(《勝金方》)

 

中風口噤熟艾 灸承漿一穴頰車二穴各五壯。(《千金方》)

 

中風掣痛不仁不隨並以乾艾斛許揉團 納瓦甑中並下塞諸孔獨留一目以痛處著 舌縮口噤以生艾搗敷之乾艾浸濕亦可。(《聖濟錄》)

 

咽喉腫痛︰《醫方大成》︰同嫩艾搗汁細咽之。《經驗方》︰用青艾和莖葉一握同醋搗爛敷於喉上冬月取乾艾亦得李亞 所傳方也癲癇諸風熟艾於陰囊下谷道正門當中間隨年歲灸之。(《斗門方》)

 

鬼擊中惡卒然著人如刀刺狀胸脅腹內 刺切痛不可按或即吐血鼻中出血下血一名鬼排以熟艾如雞子大三枚水五升煎二升頓服。(《肘後方》)

小兒臍風撮口艾葉燒灰填臍 中以帛縛定效或隔蒜灸之候口中有艾氣立愈。(《簡便方》)

 

狐惑蟲 病患齒無色舌上白或喜睡不知痛癢處或下痢宜急治下部不曉此者但攻其上而下部生蟲食其肛爛見五臟便死也燒艾於管中熏下部令煙入或少加雄黃更妙罌中燒煙亦可。 (《肘後方》)

 

頭風久痛蘄艾揉為丸時時嗅之以黃水出為度。(《青囊雜纂》)

 

頭風面瘡癢出黃水艾葉二兩醋一斤砂鍋煎取汁每薄紙上貼之一日一兩上。( 心腹惡氣艾葉搗汁飲之。(《藥性論》)

 

脾胃冷痛白艾末沸湯服二錢。(《衛生易簡方》)

 

蛔蟲心痛如刺口吐清水白熟艾一升水三升煮一升服吐蟲出或取生艾搗汁五更食香脯一片乃飲一升當下蟲出。(《肘後方》)

 

口吐清水乾蘄艾煎湯啜之。(《怪証奇方》)。 霍亂洞下不止以艾一把水三升煮一升頓服。(《外台秘要》)

 

老小白痢艾薑丸用陳北艾四兩乾薑三兩為末醋煮倉米糊丸梧子大每服七諸痢久下艾葉陳皮等分煎湯服之亦可為末酒煮爛飯和丸每鹽湯下二三十丸暴泄不止陳艾一把生薑一塊水煎熱服。(《生生編》)

 

糞後下血艾葉生薑煎濃汁服三合。(《千金方》)

 

野雞痔病先以槐柳湯洗過以艾灸上七壯取效郎中王及乘騾入西川數日病痔大作五壯忽覺一道熱氣入腸中因大轉瀉血穢並出瀉後遂失胡瓜所在矣。(《經驗方》)

 

妊娠下血張仲景曰婦人有漏下者有半產後下血不絕者有妊娠下血者並宜膠艾 湯清酒三升煮取三升乃納膠令消盡每溫服一升日三服。(《金匱要略》)

 

妊娠胎動或腰痛或搶心或下血不止或倒產子死腹中艾葉一雞子大酒四升煮二升分二服。(《肘後方》)

 

胎動迫心作痛艾葉雞子大以頭醋四升煎二升分溫服。(《子母秘錄》)

 

婦人崩中連日不止熟艾雞子大阿膠炒為末半兩乾薑一錢水五盞先煮艾薑至二盞半傾出入膠烊化分三服一日服盡。(初虞世古今錄驗》)

 

產後瀉血不止乾艾葉半兩炙熟老生薑半兩濃煎湯一服止。(孟詵食療本草》)

 

產後腹痛欲死因感寒起者陳蘄艾二斤焙乾搗鋪臍上以絹覆住熨斗熨之待口中艾氣出則痛自止矣。(《楊誠經驗方》)

 

忽然吐血一二口或心衄或內崩熟艾三團水五升煮二升服一方燒灰水服鼻血不止艾灰吹之亦可以艾葉煎服。(《聖惠方》)

 

盜汗不止熟艾二錢白茯神三錢烏梅三個水一鐘煎八分臨臥溫服。(《通妙 真人方》)

 

火眼腫痛以艾燒煙起用碗覆之候煙盡碗上刮煤下以溫水調化洗眼即瘥更入面上 艾灰桑灰各三升以水淋汁再淋至三遍以五色布納於中同煎令可丸婦人面瘡名粉花瘡以定粉五錢菜子油調泥碗內用艾一二團燒煙熏之候煙 盡 身面疣目艾火灸三壯即除。(《聖惠方》)

 

鵝掌風病蘄艾真者五兩水四五碗煮五六滾入大口瓶內盛之用麻布 二層縛之將手心放瓶上熏之如冷再熱如神。(陸氏積德堂方》)

 

瘡疥熏法熟蘄艾一兩木鱉子三錢雄黃二錢硫黃一錢為末揉入艾中分作四條每以一條安陰陽瓦中置被裡烘熏後服通聖散。(《醫方摘要》)

 

小兒疳瘡艾葉一兩水一升煮取四合分三服。(《備急方》)

 

小兒爛瘡艾葉燒灰敷之。(《子母秘錄》)

 

瘡口冷不合熟艾燒煙熏之。(《經驗方》)

 

白癩風瘡乾艾隨多少以浸曲釀酒如常法日飲之覺痺即瘥。(《肘後方》)

 

疔瘡腫毒艾蒿一擔燒灰於竹筒中淋取汁以一二合和鍛石如糊先以針刺瘡至 痛乃點藥三遍其根自拔玉山韓光以此治人神驗貞觀初衢州徐使君訪得此方予用治三十餘人得效。(孫真人千金方》)

 

發背初起未成及諸熱腫以濕紙拓上先乾處是頭著艾灸之不論壯數痛者灸至 不痛不痛者灸至痛乃止其毒即散不散亦免內攻神方也。(李絳兵部手集》)

 

癰疽不合瘡口冷滯以北艾煎湯洗後白膠熏之。(《直指方》)

 

咽喉骨哽用生艾蒿數升酒共一斗煮四升細細飲之當下。(《外台秘要》)

 

誤吞銅錢艾蒿一把水五升煎一升頓服便下。(錢相公篋中方》)

 

諸蟲蛇傷艾灸數壯甚良。(《集簡方》)

 

風蟲牙痛化蠟少許攤紙上鋪艾以箸卷成筒燒煙隨左右熏鼻吸煙令滿口呵氣即疼止腫消靳季謙病此月餘一試即愈。《普濟方》。

 

 

 

 

氣味

 

無毒

 

 

主治

 

明目療一切鬼氣甄權)。

 

明目(명목)하고 一切(일체)鬼氣(귀기)()한다.

 

 

壯陽助水臟腰膝及暖子宮大明)。

 

壯陽(장양)하고 水臟(수장), (), ()을 도우며, 子宮(자궁)()한다.

 

 

 

發明

 

詵曰艾子和乾薑等分為末蜜丸梧子大空心每服三十丸以飯三五匙壓之日再服治百惡氣其鬼神速走出田野之人與此甚相宜也

 

艾子(애자)乾薑(건강) 等分(등분)作末(작말)해서 ()梧子(오자) 크기의 ()을 만들어 空心(공심)三丸(삼환)服用(복용)하고, ()~五匙(오시)를 먹어 누른다. 一日(일일) 二回(이회)服用(복용)하면 온갖 惡氣(악기)()하며, 鬼神(귀신)은 재빠르게 走出(주출)한다. 農家(농가)患者(환자)들에게는 이 ()()하는 것이 매우 適合(적합)하다.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