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0. 29. 01:47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황기(黃耆)[본초강목]
^^^^^^^^^^^^^^^^^^^^^^^^^^^^^^^^^^^^^^^^^^^^^^^^^^^^^^^^^^^^^^^^^^^^^^^^^^^
黃耆
(《本經》上品)
【釋名】
黃耆(《綱目》)、戴糝(《本經》)、戴椹(《別錄》,又名獨椹)、芰草(《別錄》,又名蜀脂)、百本(《別錄》)、王孫(《藥性論》)。
時珍曰︰耆,長也。黃耆色黃,為補藥之長,故名。今俗通作黃 。或作蓍者,非矣。蓍,乃蓍龜之蓍,音尸。王孫與牡蒙同名異物。
耆(기)는 長(장)이라는 意味(의미)로 黃耆(황기)는 黃色(황색)의 것으로 補藥(보약)의 長(장)으로 삼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되었다. 지금에 와서는 文字(문자)를 通用(통용)하여 黃芪(황기)라고도 쓴다. 蓍(시)라고 쓰는 것은 잘못이다. 蓍字(시자)는 蓍龜(시구)의 蓍(시)이다. 王孫(왕손)이란 이름은 牡蒙(모몽)의 王孫(왕손)과 同一(동일)하지만 實物(실물)과는 다르다.
【集解】
《別錄》曰︰黃耆,生蜀郡山谷、白水、漢中。二月、十月採,陰乾。
弘景曰︰第一出隴西洮陽,色黃白,甜美,今亦難得。次用黑水宕昌者,色白,肌理粗,新者亦甘而溫補。又有蠶陵白水者,色理勝蜀中者而冷補。又有赤色者,可作膏貼。俗方多用,道家不須。
恭曰︰今出原州及華原者,最良,蜀漢不複採用。宜州、寧州者,亦佳。
頌曰︰今河東、陝西州郡多有之。根長二、三尺以來。獨莖,或作叢生,枝幹去地二、三寸。其葉扶疏作羊齒狀,又如蒺藜苗。七月中開黃紫花。其實作莢子,長寸許。八月中採根用。其皮折之如綿,謂之綿黃 。然有數種,有白水 、赤水 、木 ,功用並同,而力不及白水 。木 ,短而理橫。今人多以苜蓿根假作黃 ,折皮亦似綿,頗能亂真。但苜蓿根堅而脆,黃 至柔韌,皮微黃褐色,肉中白色,此為異耳。
承曰︰黃耆本出綿上者為良,故名綿黃 ,非謂其柔韌如綿也。今《圖經》所繪憲州者,地與綿上相鄰也。
好古曰︰綿上,即出西沁州;白水,在陝西同州。黃 味甘,柔軟如綿,能令人肥;苜蓿根,味苦而堅脆,俗呼為土黃耆,能令人瘦。用者宜審。
嘉謨曰︰綿上,沁州鄉名,今有巡檢司;白水、赤水二鄉,俱屬隴西。
時珍曰︰黃 ,葉似槐葉而微尖小,又似蒺藜葉而微闊大,青白色。開黃紫花,大如槐花。結小尖角,長寸許。根長二、三尺,以緊實如箭竿者為良。嫩苗亦可 淘茹食。其子收之,十月下種,如種菜法亦可。
【修治】
斅曰︰凡使勿用木耆草,真相似,只是生時葉短並根橫也。須去頭上皺皮,蒸半日,擘細,於槐砧上銼用。
무릇 黃耆(황기)를 使用(사용)할 때에는 木耆草(목기초)를 사용하면 안 된다. 그 草(초)는 매우 닮았으나, 木耆(목기)는 地上(지상)에서 자라고 있을 때는 葉(엽)이 짧고 또 根(근)이 옆으로 生(생)하는 것이다. 黃耆(황기)를 用(용)할 Eop는 우선 頭部(두부)의 楸皮(추피)를 잘라내고 半日(반일)동안 찌고 가늘게 찢어서 槐砧(괴침) 위에서 잘게 썰어서 使用(사용)한다.
時珍曰︰今人但捶扁,以蜜水涂炙數次,以熟為度。亦有以鹽湯潤透,器盛,於湯瓶蒸熟切用者。
요즘에는 그저 扁平(편평)하게 찍고 몇 차례 蜜水(밀수)를 바르고 굽는데 完熟(완숙)을 程度(정도)로 해서 使用(사용)한다. 또한 鹽湯(염탕)을 潤透(윤투)하여 湯餠(탕병)에 가득히 담아 蒸熟(증숙)하고 잘라서 用(용)하기도 한다.
根
【氣味】
甘,微溫,無毒(《本經》)。
白水者冷,補(《別錄》)。
元素曰︰味甘,氣溫、平。氣薄味厚,可升可降,陰中陽也。入手足太陰氣分,又入手少陽、足少陰命門。
味(미)는 甘(감)하고 氣(기)는 溫(온), 平(평)하다. 氣(기)는 薄(박)하고, 味(미)는 厚(후)하며, 升(승)에도 降(강)에도 좋으며, 陰中(음중)의 陽(양)이 되는 것으로, 手足(수족)의 太陰經(태음경)의 氣分(기분)에 들어가고 또한 手少陽(수소양), 足少陰(족소음), 命門(명문)에 들어간다.
之才曰︰茯苓為之使,惡龜甲、白蘚皮。
茯苓(복령)이 使(사)가 되고 龜甲(귀갑), 白鮮皮(백선피)를 惡(오)한다.
【主治】
癰癰久敗瘡,排膿止痛,大風癩疾,五痔鼠瘻,補虛,小兒百病(《本經》)。
癰疽(옹저), 오랫동안 潰敗(궤패)된 瘡(창)의 膿(농)을 排出(배출)하고 止痛(지통)한다. 大風癩疾(대풍나질), 五痔(오치), 鼠瘻(서루)에는 補虛(보허)하며, 小兒(소아)의 百病(백병)
婦人子臟風邪氣,逐五臟間惡血,補丈夫虛損,五勞羸瘦,止渴,腹痛泄痢,益氣,利陰氣(《別錄》)。
婦人子臟(부인자장)의 風邪氣(풍사기), 五臟(오장)사이의 惡血(악혈)을 驅逐(구축)하고, 男子(남자)의 虛損(허손), 五勞(오로), 羸瘦(이수)를 補(보)하며 止渴(지갈)한다. 腹痛泄痢(복통설리)에는 益氣(익기)하고, 陰氣(음기)를 利(이)한다.
主虛喘,腎衰耳聾,療寒熱,治發背,內補(甄權)。
虛喘(허천), 腎衰耳聾(신쇠이롱)에 主效(주효)하고, 寒熱(한열)을 療(요)하며, 發背(발배)를 治(치)하고, 補(보)를 內(내)한다.
助氣壯筋骨,長肉補血,破症癖,癩瘰 癭贅,腸風血崩,帶下赤白痢,產前後一切病,月候不勻,痰嗽,頭風熱毒赤目(《日華》)。
氣(기)를 助(조)하고 筋骨(근골)을 壯健(장건)하게 하며, 肉(육)을 伸長(신장)하며, 補血(보혈)하고, 癥癖(징벽), 癩癧(나력), 癭贅(영췌)를 破(파)한다. 腸風(장풍), 血崩(혈붕), 帶下(대하), 赤白痢(적백리), 産前後(산전후) 一切(일체)의 病(병), 月經不順(월경불순), 痰嗽(담수), 頭痛(두통), 熱毒(열독), 赤目(적목)
治虛勞自汗,補肺氣,瀉肺火、心火,實皮毛,益胃氣,去肌熱及諸經之痛(元素)。
虛勞自汗(허로자한)을 治(치)하고 肺氣(폐기)를 補(보)하며, 肺火(폐화), 心火(심화)를 瀉(사)하고, 皮毛(피모)를 實(실)하게 하며, 胃氣(위기를 益(익)하고, 肌熱(기열) 및 諸經(제경)의 痛症(통증)을 去(거)한다.
主太陰瘧疾,陽維為病,苦寒熱;督脈為病,逆氣裡急(好古)。
太陰瘧疾(태음학질), 陽維(양유)의 疾(질)이 되어 寒熱(한열) 苦痛(고통)당할 때 督脈病(독맥병)으로 도져서 逆氣(역기), 裏急(이급)할 때에 主效(주효)가 있다.
【發明】
弘景曰︰出隴西者,溫補;出白水者,冷補。又有赤色者,可作膏,用消癰腫。
농서(隴西)에서 산(産)하는 것은 온보(溫補)하고, 백수(白水)에서 산(産)하는 것은 냉(冷)하고 보(補)한다. 또한 적색(赤色)인 것도 있는데 그것은 고용(膏用)하면 옹종(癰腫)을 소멸시켜 주는 것이다.
藏器曰︰虛而客熱,用白水黃耆;虛而客冷,用隴西黃耆。
허약(虛弱)하여 객열(客熱)할 때에는 백수(白水)의 황기(黃耆)를 용(用)하고, 허약(虛弱)하여 객랭(客冷)할 때에는 농서(隴西)의 황기(黃耆)를 용(用)함이 좋다.
黃耆藥中補益,呼爲羊肉。白水耆涼無毒,排膿治血,及煩悶熱毒骨蒸勞。
黃芪(황기)는 諸藥(제약) 중의 補益藥(보익약)으로서 羊肉(양육)이라 불리고 있다. 白水耆(백수기)는 涼(양)하고, 無毒(무독)하며, 排膿(배농)하며, 血(혈) 및 煩悶(번민), 熱毒(열독), 骨蒸勞(골증로)를 治(치)한다.
赤水耆涼無毒,治血退熱毒,餘功並同。
赤水耆(적수기)도 涼(양)하고 無毒(무독)하며, 治血(치혈), 熱毒(열독)을 물리치고, 그 밖의 功用(공용)도 한결 같이 모두 같다.
木耆涼無毒,治煩排膿之力,微於黃耆,遇闕即倍用之。
木耆(목기)는 涼(양)하고 無毒(무독)하며, 煩(번)을 治(치)하고 排膿(배농)시키는 힘은 黃耆(황기)보다 微弱(미약)하기 때문에 黃耆(황기)가 없을 때는 이것을 倍量(배량)으로 하여 用(용)하면 된다.
元素曰︰黃耆甘溫純陽,其用有五︰補諸虛不足,一也;益元氣,二也;壯脾胃,三也;去肌熱,四也;排膿止痛,活血生血,內托陰疽,為瘡家聖藥,五也。
황기(黃耆)는 감(甘)하고 온(溫)하며 순양(純陽)한 것이다. 그 공용(功用)에 오종(五種)이 있다. 제허(諸虛) 부족(不足)을 보(補)하는 것이 그 一(일), 원기(元氣)를 익(益)함이 그 二(이) 비위(脾胃)를 장(壯)하게 함이 그 三(삼), 기열(肌熱)을 거(去)하는 것이 그 四(사), 농(膿)을 배출(排出)하고, 止痛(지통)하고, 活血生血(활혈생혈)하며, 음저(陰疽)를 내탁(內托)하는 창환자(瘡患者)의 성약(聖藥)이 五(오)이다.
又曰︰補五臟諸虛,治脈弦自汗,瀉陰火,去虛熱,無汗,則發之;有汗,則止之。
또 오장(五臟)의 제허(諸虛)를 보충(補充)하고, 맥현(脈弦), 자한(自汗)을 치유(治癒)하고, 음화(陰火)를 사(瀉)하고 허열(虛熱)을 거(去)하고 무한(無汗)할 때는 발한(發汗)하고, 땀이 날때는 이를 멈추게 한다.
好古曰︰黃耆,治氣虛盜汗,並自汗及膚痛,是皮表之藥;治咯血,柔脾胃,是中州之藥;治傷寒尺脈不至,補腎臟元氣,是裡藥。乃上、中、下、內、外、三焦之藥也。
黃耆(황기)는 氣虛(기허), 盜汗(도한)을 비롯하여 自汗(자한) 및 膚痛(부통)을 治(치)하는 점에서 본다면 皮(피), 表(표)의 藥(약)이 된다. 喀血(객혈)을 治(치)하고, 脾胃(비위)를 柔和(유화)하는 點(점)에서 본다면 中州(중주)의 藥(약)이 된다. 傷寒(상한)의 尺脈(척맥)이 미치지 못함은 治(치)하고, 腎臟(신장)의 元氣(원기)을 補(보)하는 點(점)에서 본다면 裏藥(이약)이 된다 이것을 모두 합해 보면 上(상), 中(중), 下(하), 內(내), 外(외), 三焦(삼초)의 藥(약)이 되는 것이다.
杲曰︰《靈樞》云︰衛氣者,所以溫分肉而充皮膚,肥腠理而司開闔。黃耆既補三焦,實衛氣,與桂同功;特比桂甘平,不辛熱為異耳。但桂則通血脈,能破血而實衛氣, 則益氣也。又黃耆與人參、甘草三味,為除躁熱肌熱之聖藥。脾胃一虛,肺氣先絕,必用黃耆溫分肉,益皮毛,實腠理,不令汗出,以益元氣而補三焦。
영추경(靈樞經)에 “위기(衛氣)라는 것은 분육(分肉)을 따뜻하게 하여 피부(皮膚)를 충실(充實)하게 하고, 주리(腠理)를 풍만(豊滿)하게 하여 모공개폐(毛孔開閉)를 지배(支配)하는 것을 그 본분(本分)으로 한다.”라고 하며, 황기(黃耆)는 삼초(三焦)를 보(補)하여 그 위기(衛氣)를 충실(充實)히 하는 것으로서 계(桂)와는 그 공력(功力)이 동일(同一)하나 계(桂)와 같으면 혈맥(血脈)을 통(痛)하기 좋게 혈(血)을 파(破)하여 위기(衛氣)를 충실(充實)하게 하는 것인데 기(耆)는 기(氣)를 증익(增益)한다. 또 황기(黃芪)와 인삼(人參)과 감초(甘草)는 조열(躁熱), 기열(肌熱)을 제(除)하는 성약(聖藥)으로서 비위(脾胃)가 일단 허(虛)해져서 폐기(肺氣)가 먼저 절(絶)하면 반드시 황기(黃耆)를 용(用)하여 분육(分肉)을 온(溫)하게 하고 피모(皮毛)를 익(益)하고, 주리(腠理)를 충실(充實)히 함으로써 땀이 나지 않게 원기(元氣)를 증익(增益)하고, 삼초(三焦)를 보(補)한다.
震亨曰︰黃耆補元氣,肥白而多汗者,為宜;若面黑形實而瘦者,服之,令人胸滿,宜以三拗湯瀉之。
황기(黃耆)로써 원기(元氣)를 보(補)할때에는 비만(肥滿)하고 살결이 희고, 땀이 많은 사람에게 쓴는 것이 적당(適當)하다. 안색(顔色)이 검고 체격(體格)이 실(實)하며 여윈 사람이 복용(服用)하면 흉만(胸滿)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럴 때는 삼요탕(三拗湯※)으로 사(瀉)하게 하면 된다.
※三拗湯
治感風寒咳嗽鼻塞聲重失音麻黃不去根節杏仁不去皮尖甘草不灸不去皮各一錢半右犫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局方》
풍한사(風寒邪)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코가 메며 목소리가 탁하고 목이 쉰[失音] 것을 치료한다. 마황(麻黃/뿌리와 마디를 버리지 않은 것) 행인(杏仁/꺼풀과 끝을 버리지 않은 것) 감초(甘草/ 지도 않고 껍질도 버리지 않은 것) 각각 일전(一錢)반. 위의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寇宗奭曰︰防風、黃耆,世多相須而用。唐許胤宗初仕陳為新蔡王外兵參軍時,柳太後病風不能言,脈沉而口噤。
防風(방풍)과 黃耆(황기)는 一般(일반)에서 대개 더불어 쓰는 것으로 되어 있다. 唐(당)의 許胤宗(허윤종)은 처음에 陳(진)에서 出仕(출사)했던 사람인데, 그 當時(당시) 新蔡王(신채왕)의 外兵參軍(외병삼군)에 任命(임명)되어 있을 때의 일이다. 陳(진)의 柳太后(유태후)가 風病(풍병)에 罹患(이환)되어 脈(맥)이 沈(침)하고, 口噤(구금)하여 言語不能(언어불능)이 되어 버렸다.
胤宗曰︰既不能下藥,宜湯氣蒸之,藥入腠理,周時可瘥。乃造黃耆防風湯數斛,置於床下,氣如煙霧,其夕便得語也。
胤宗(윤종)은 이것을 診察(진찰)하고 “ 이 容體(용체)로서는 藥(약)을 쓸수가 없게 되어 있다. 湯氣(탕기)로 蒸(증)하는 수밖에 없다. 그 方法(방법)으로 藥(약)이 腠理(주리)에 들어가면 하룻밤 사이에 差度(차도)가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黃耆防風湯(황기방풍탕) 數斛(수곡)을 만들어 그것을 牀(상) 밑에 두고 煙霧(연무)같이 蒸氣(증기)를 일으키니 그날 밤 사이에 말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杲曰︰防風能製黃耆,黃耆得防風其功愈大,乃相畏而相使也。
방풍(防風)은 능히 황기(黃耆)를 제(制)하고 황기(黃耆)는 방풍(防風)을 얻게 되어 그 공력(功力)이 더욱 더 크게 나타난다. 이것은 상외(相畏)하면서 동시에 상사(相使)하기 때문이다.
震亨曰︰人之口通乎地,鼻通乎天。口以養陰,鼻以養陽。天主清,故鼻不受有形而受無形;地主濁,故口受有形而兼乎無形。
人間(인간)의 입은 地(지)에 通(통)하고 코는 天(천)에 通(통)하는 것으로서 입은 陰(음)을 養(양)하고, 코는 陽(양)을 養(양)한다. 天(천)은 淸(청)을 主(주)하기 때문에 天(천)에 통하는 코는 有形(유형)의 것만 받아들이며, 地(지)는 濁(탁)을 主(주)하기 때문에 地(지)로 通(통)하는 입은 有形(유형)도 無形(무형)도 함께 받아들인다.
柳太後之病不言,若以有形之湯,緩不及事;今投以二物,湯氣滿室,則口鼻俱受。非智者通神,不可回生也。
위의 柳太后(유태후)의 경우는 이미 言語不能(언어불능)이었기 때문에 有形(유형)의 湯(탕)을 用(용)하는 것으로는 作用(작용)이 느슨할 것인즉, 病室(병실)에 充滿(충만)시킴으로써 입과 코로 함께 받아 들이게 한 것이다. 그렇듯 回生(회생)의效(효)를 올릴수 있었던 것은 醫員(의원)으로서 智力(지력)이 뛰어나고 幽玄(유현)의 機微(기미)함으로 통하는 非凡(비범)이 없이는 不可能(불가능)한 일이다.
杲曰︰小兒外物驚,宜用黃連安神丸鎮心藥。若脾胃寒濕,嘔吐腹痛,瀉痢青白,宜用益黃散藥。
小兒(소아)가 外界(외계)의 事物(사물)에 놀랐을 때에는 黃連安神丸(황련안신환)의 鎮心藥(진심약)을 用(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脾胃(비위)의 寒濕(한습) 때문에 吐(토)하고 腹痛(복통)하며, 靑(청), 白(백)을 瀉痢(사리)할 때에는 益黃散(익황산)의 藥(약)을 服用(복용)시킴이 좋다.
如脾胃伏火,勞役不足之証,及服巴豆之類,胃虛而成慢驚者,用益黃、理中之藥,必傷人命。當於心經中,以甘溫補土之源,更於脾土中,以甘寒瀉火,以酸涼補金,使金旺火衰,風木自平矣。
만약 脾胃(비위)의 伏火(복화), 勞役(노역)으로 인한 不足症狀(부족증상) 및 巴豆類(파두류)를 먹은 탓으로 胃(위)가 虛(허)하여 慢驚(만경)이 되어버린 경우에는 益黃(익황), 이중(理中)의 藥(약)을 服用(복용)하면, 반드시 그 生命(생명)을 傷(상)하게 한다. 따라서 이것은 心(심)의 經中(경중)에 대하여 甘(감), 溫(온)의 것으로 土源(토원)을 補(보)하는 方法(방법)을 講究(강구)하고, 또한 脾(비)의 土中(토중)에 대하여 甘(감), 寒(한)의 것으로 火(화)를 瀉(사)하며 酸(산), 涼(양)의 것으로 金(금)을 補(보)하고, 金(금)을 旺盛(왕성)하게 하여 火(화)를 衰退(쇠퇴)시키며, 風(풍), 木(목)으로 하여금 스스로 平安(평안)하게 하는 것이다.
今立黃耆湯瀉火補金益土,為神治之法。用炙黃耆二錢,人參一錢,炙甘草五分,白芍藥五分,水一大盞,煎半盞,溫服。
지금 여기에 黃芪湯(황기탕)을 中心(중심)으로 하여 火(화)를 瀉(사)하고, 金(금)을 補(보)하고, 土(토)를 益(익)하는데 神效(신효)가 있는 治方(치방)을 示(시)하니, 炙黃芪(자황기) 二錢(이전), 人參(인삼) 一錢(일전), 炙甘草(자감초) 五分(오분), 白芍藥(백작약) 五分(오분)을 물 一大盞(일대잔)으로 半盞(반잔)이 되게 달이고 溫服(온복)하는 것이다.
機曰︰蕭山魏直著《博愛心鑒》三卷,言小兒痘瘡,惟有順、逆、險三証。順者為吉,不用藥。逆者為凶,不必用藥。惟險乃悔吝之象,當以藥轉危為安,宜用保元東加減主之。
소산(蕭山)의 위직(魏直)에 박애심감(博爱心鉴) 삼권(三卷)의 저서(著書)가 있다. 그것에 의(依)하면 :소아(小兒)의 두창(痘疮)에는 주(主)로 순(順), 역(逆), 험(險)의 삼종(三種)의 증상(症狀)이 있다. 순(順)하는 것은 다행스럽게 경과(經過)가 좋은 것으로서 약(藥)을 용(用)할 것도 없다. 역(逆)한 것은 절망(絶望)이기 때문에 약(藥)을 용(用)해 볼 여지(餘地)도 없다. 다만 험(險)한 것만이 무척 복잡한 고려(考慮)를 해야 될 현상(現象)인 것으로서 이것은 약공(藥功)에 의지(依支)하여 위험상태(危險狀態)에서 안전(安全)한 상태(狀態)로 환원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보원탕(保元湯)에 가감(加減)을 시행(施行)한 것을 주(主)로 하여 용(用)함이 가장 적당(適當)하다.
此方原出東垣,治慢驚土衰火旺之法。今借而治痘,以其內固營血,外護衛氣,滋助陰陽,作為膿血,其証雖異,其理則同。去白芍藥,加生薑,改名曰保元湯。
이 방(方)은 원래 이동원(李东垣)이 창제(創制)한 만경(慢驚)의 토쇠화왕(土衰火旺)을 치(治)하는 방법(方法)을 기초(基礎)로 한 것으로서 두(痘)를 치료(治療)할 때에 이용(利用)하는 방법(方法)은, 내(內)로는 영혈(營血)을 강고(强固)하게 하고, 외(外)로는 위기(衛氣)를 보호(保護)하고, 음양(陰陽)을 자조(滋助)하며 농혈(膿血)을 작위(作爲)하게 하는 작용(作用)을 목적(目的)으로 하는 것이다. 만경(慢驚)과 두(痘)는 그 증상(症狀)에 상이(相異)함은 있으나 이론상(理論上)으로는 동일(同一)한 것이다. 이것은 황기탕(黃芪湯)에서 백작약(白灼藥)을 제거(除去)하고 생강(生姜)을 가(加)하여 보원탕(保元湯)이라 개칭(改稱)한 것이다.
炙黃耆三錢,人參二錢,炙甘草一錢,生薑一片,水煎服之。險証者,初出圓暈干紅少潤也,漿長光澤,頂陷不起也;既出雖起慘色不明也,漿行色灰不榮也,
자황기(炙黃芪) 삼전(三錢), 인삼(人参) 이전(二錢), 생강(生薑)일편(一片)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는 것이다. 위의 험(險)한 증상(症狀)하는 증상(症狀)이란, 초기(初期)두(痘)의 주위(周圍)가 원륜(圓輪)을 그리며 붉게 말라붙고, 윤(潤)이 적어지는 것이다. 발달(發達)하면서 점차 광택(光澤)이 생기고, 정점(頂點)이 낮게 파묻힌 채 나오지 못한다. 이미 나와 솟구쳐도 퇴색(退色)되어 명확(明確)하지 않다. 두창중(痘疮中)의 장수(漿水)가 대사(代謝)하여 회색(灰色)으로 보이며 확실(確實)하지 않다. 장수(漿水)가 두(痘)(에 고정(固定)되어 빛이 나고 소산(消散) 않는 것도 있다.
漿定光潤不消也,漿老濕潤不斂也,結痂而胃弱內虛也,痂落而口渴不食也,痂後生癰腫也,癰腫潰而斂遲也。凡有諸症,並宜此湯。或加芎 ,加官桂,加糯米以助之。詳見本書。
장(漿)이 오래되어 습윤(濕潤)하여서 아물지 않는 것도 있다. 가(痂)를 결(結)하여 위약(胃弱), 내허(內虛)되는 수도 있다. 가(痂)가 떨어지고 입이 갈(渴)하며, 식물(食物)을 섭취(攝取)하지 못할 때도 있다. 가(痂)가 생긴 뒤에 옹종(痈肿)이 생기는 것도 있다. 그 옹종(痈肿)이 궤(潰)하여 늦은 탓에 아물지 못하는 것도 있다. 이런 제증상(諸症狀)에는 탕(湯)을 용(用)한다. 혹은 궁궁(芎藭)을 가(加)하고 관계(官桂)와 유미(糯米)를 첨가하여 그 역량(力量)을 돕는 것이 좋다“.라고 기(記)하고 있다. 상세(詳細)한 것은 박애심감(博爱心鉴)의 서책(書冊)을 보는 것이 좋다.
嘉謨曰︰人參補中,黃耆實表。凡內傷脾胃,發熱惡寒,吐泄怠臥,脹滿痞塞,神短脈微者,當以人參為君,黃耆為臣;若表虛自汗亡陽,潰瘍痘疹陰瘡者,當以黃耆為君,人參為臣,不可執一也。
인삼(人參)은 중(中)을 보(補)하고 황기(黃耆)는 표(表)를 실(實)하게 한다. 무릇 내(內)의 비위(脾胃)를 상(傷)하여 발열(發熱)하고, 오한(惡寒)하며, 토설(吐泄), 권태(倦怠), 창만(脹滿), 비색(痞塞), 신단(神短), 맥미(脈微)한 경우에는 인삼(人參)을 군(君)으로 황기(黃耆)를 신(臣)으로 하여 용(用)하면 좋다. 만약 표허(表虛)하여 자한(自汗)하고 망양(亡陽)의 궤양(潰瘍), 두진(痘疹)이 음창(陰瘡)할 때에는 황기(黃耆)를 군(君)으로 인삼(人參)을 신(臣)으로 용(用)함이 좋다. 반드시 일정(一定)한 방법(方法)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附方】舊五,新九。
小便不通︰綿黃耆二錢,水二盞,煎一盞,溫服。小兒減半。(《總微論》)
소변불통(小便不通)
황기 이전(二錢)을 물 두잔으로 한잔이 되게 우려서 따뜻하게 복용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반절의 분량을 복용하게 한다. [총미론(總微論)]
酒疸黃疾︰心下懊痛,足脛滿,小便黃,飲酒發赤黑黃斑,由大醉當風,入水所致。黃耆 二兩,木蘭一兩,為末。酒服方寸匕,日三服。(《肘後方》)
주달황질(酒疸黃疾)
심하(心下)가 오통(懊痛)하고, 족경(足經)이 창(脹)하여 소변이 황색이 되며, 음주하면 적(赤), 흑(黑), 황(黃)의 반(斑)을 발생한다. 이런 것은 대취해서 바람에 쏘이고 물에 들어가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황기 이량, 목란(木蘭) 일량을 가루내어 하루 삼회, 술로 방촌비씩을 복용한다. [주후방(肘后方)]
氣虛白濁︰黃耆(鹽炒)半兩,茯苓一兩。為末。每服一錢,白湯下。(《經驗良方》)
기허백탁(氣虛白濁)
황기를 소금으로 볶아서 반량, 복령 일량을 가루내어 따뜻한 물로 일전씩 복용한다. [경험량방(经验良方)]
治渴補虛︰男子婦人諸虛不足,煩悸焦渴,面色萎黃,不能飲食,或先渴而後發瘡癤,或先癰疽而後發渴,並宜常服此藥,平補氣血,安和臟腑,終身可免癰疽之疾。用綿黃耆(箭杆者,去蘆)六兩(一半生焙,一半以鹽水潤濕,飯上蒸三次,焙,銼),粉甘草一兩(一半生用,一半炙黃為末)。每服二錢,白湯點服,早晨、日午各一服,亦可煎服,名黃耆六一湯。(《外科精要》)
갈(渴), 보허(補虛)
남자, 부인의 모든 허(虛), 부족(不足), 번계(燔悸: 가슴(마음)의 소요함), 초갈(焦渴: 목이마르는 것)하고 안색이 위황(萎黃: 피부가 황색으로 변하는 것)하여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하여 혹은 먼저 갈(渴)하고 후에 창절(瘡癤)을 발(發)한든가 혹은 먼저 옹저(癰疽)가 있고 후에 갈(渴)하는 것 등 모두 아래의 약을 상복하는 것이 좋다. 기혈을 평보(平補)하고 장부를 안화(安和)시키며 종신(終身), 옹저(癰疽)의 질환을 면(免)한다. 황기의 전간(箭杆)한 로(蘆)를 제거 한 뒤 여섯량을 사용하는데 반은 생으로 배(焙)하고, 반은 소금물로 윤습(潤濕)하고 밥위에 얹어서 세 번 증(蒸)하고 불에 말려 다진다. 분감초(粉甘草) 한량을 반은 생으로, 반은 누르게 볶아서 함께 가루 낸 후 이전씩을 백탕(白湯)에 타서 아침에 일복, 정오에 일복한다. 또한 전복(煎服)하여도 좋다. 이것을 황기 육일탕이라고 부른다.[외과정요(外科精要)]
老人秘塞︰綿黃耆、陳皮(去白)各半兩。為末。每服三錢,用大麻子一合,研爛,以水濾漿,煎至乳起,入白蜜一匙,再煎沸,調藥空心服,甚者不過二服。此藥不冷不熱,常服無秘塞之患,其效如神。(《和劑局方》)
노인(老人)의 비색(秘塞)
황기, 진피(陳皮)의 백(白)을 제거하고 각 반량을 가루로 해서 삼전씩을 대마자(大麻子) 일합에 연란(硏爛)하고, 수로(水瀘)한 장(漿)을 유기(乳起: 전축(煎縮)하여 비등(沸騰)할 때 유두상(乳頭狀)으로 융기(隆起)하는 것)할 때까지 전(煎)하여 꿀 한 숟가락을 넣고 다시 전비(煎沸)한 것을 조화하여 공복에 복용한다. 비색(秘塞)이 심한 것도 이복을 하기 전에 치효를 본다. 그 약은 차지도 뜨겁지도 않게 상복하면 비색(秘塞)의 병환이 없어진다.[화제국방(和剂局方)]
腸風瀉血︰黃耆、黃連等分,為末。面糊丸綠豆大。每服三十丸,米飲下。(孫用和《秘寶方》)
장풍사혈(腸風瀉血)
황기, 황련을 똑 같이 가루로 하여 면호(麵糊)로 녹두 크기의 환을 만들어 삽십환씩 미음으로 복용한다. [비보방(秘宝方)]
尿血沙淋,痛不可忍︰黃耆、人參等分。為末,以大蘿蔔一個,切一指濃大,四、五片,蜜二兩,淹炙令盡,不令焦,點末,食無時,以鹽湯下。(《永類方》)
요혈(尿血),사림(沙淋: 석림)
통증이 심하여 참기 어려우면 황기, 인삼을 같은 양으로 가루 내어 대라복(大蘿蔔) 한 개를 손가락 두께로 잘라서 사~오편을 꿀 이량에 지(漬)하여, 꿀이 모두 없어질 때까지 타지 않게 수회 구어서 앞서 가루로 한 것에 발라서 시(時)에 관계없이 먹고 소금물을 먹는다.[영류방(永类方)]
吐血不止︰黃耆二錢半,紫背浮萍五錢。為末。每服一錢,薑、蜜水下。(《聖濟總錄》)
토혈(吐血)이 멈추지 않을 때
황기 이전반, 산초조(山椒藻) 오전을 가루로 일전씩 강밀수(薑蜜水: 건강 가루, 꿀을 혼합한 것)로 복용한다.[성제총록(聖濟總錄)]
咳嗽膿血咽乾,乃虛中有熱,不可服涼藥。以好黃耆四兩,甘草一兩。為末。每服二錢,點湯服。(席延賞方)
해수농혈(咳嗽膿血)
목이 말라 붙은 것은 허약한데다 내부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양약(凉藥)을 복용해서는 안된다. 황기 사량(四兩), 감초 일량(一兩)을 가루로 하여 이전 또는 삼전씩을 탕에 타서 복용한다. [석연상방(席延赏方)]
肺癰得吐︰黃耆二兩。為末。每服二錢,水一中盞,煎至六分,溫服,日三、四服。(《聖惠方》)
폐옹(肺癰)을 토하게 한다.
황기 두냥을 가루로 하여 이전 또는 삼전씩을 물 일중(一中) 소배(小杯)에 십분의 육으로 달이고 하루 삼~사회 온복한다. [성혜방(圣惠方)]
甲疽瘡膿︰生足趾甲邊,赤肉突出,時常舉發者。黃耆二兩, 茹一兩。醋浸一宿,以豬脂五合,微火上煎取二合,絞去滓,以封瘡口上,日三度,其肉自消。(《外台秘要》)
갑저창농(甲疽瘡膿: 저(疽)가 손(발)톱 부위에 생긴 것을 갑저라고 합니다.)
족지(足趾)조(爪)의 부근에 생하여 적육이 돌출하며 거의 연속적으로 발생할 때는 황기 이량, 여여(䕡茹) 일량을 초(醋)에 하룻밤 담그고 저지(豬脂) 오합을 미화(微火)로 이합(二合)을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하루 삼회씩 그 창구(瘡口) 위를 봉(封)해 두면 살은 스스로 아문다.
胎動不安腹痛,下黃汁。黃耆、川芎 各一兩,糯米一合。水一升,煎半升,分服。(《婦人良方》)
태동불안(胎動不安)
복통(腹痛)하며 황즙(黃汁)이 나올 때는 황기(黃芪), 천궁궁(川芎藭) 각 일량(一兩), 나미(糯米) 일합(一合)을 물 일승(一升)으로 반승(半升)이 되게 달여서 분복(分服)한다. [부인량방(妇人良方)]
陰汗濕癢︰綿黃耆,酒炒為末,以熟豬心點吃妙。(趙真人《濟急方》)
음한습(陰汗濕)양(痒:음낭출수(陰囊出水)
황기(黃芪)를 술로 볶아서 가루로 만들어 숙저심(熟豬心: 자숙(煮熟)한것)에 발라서 먹으면 묘(妙)하다. [제급방(济急方)]
癰疽內固︰黃耆、人參各一兩。為末,入真龍腦一錢,用生藕汁和丸綠豆大。每服二十,溫水下,日三服。(《本事方》)
옹저내고(痈疽内固)
황기(黃芪), 인삼(人参) 각 일량(一兩)씩을 말(末)로 하여 진룡뇌(真龙脑) 일전(一錢)을 넣고, 생우즙(生藕汁)으로 화(和)하여 녹두(绿豆) 크기의 환(丸)으로 하여, 이십(二十)환씩을 온수(溫水)로 복용(服用)한다.[본사방(本事方)]
莖葉
【主治】
療渴及筋攣,癰腫疽瘡(《別錄》)。
갈(渴) 및 근련(筋挛), 옹종(痈肿), 저창(疽疮)을 치료(治療) [별록(别录)]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첨당향(詹糖香)[본초강목] (0) | 2020.11.10 |
---|---|
산해라(山海螺)[본초강목습유] (0) | 2020.10.29 |
상기생(桑寄生)[본초강목] (0) | 2020.10.11 |
제(薺)[본초강목] (0) | 2020.10.11 |
소맥(小麥)[본초강목 (0) | 2020.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