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塊)[본초강목

2020. 10. 11. 04:53[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본초강목]

 

 

 

^^^^^^^^^^^^^^^^^^^^^^^^^^^^^^^^^^^^^^^^^^^^^^^^^^^^^^^^^^^^^^^^^^^^^^^

 

 

 

(《本經上品

 

 

 

校正

 

並入槐花槐膠

 

 

 

 

釋名

 

 

時珍曰︰《周禮外朝之法面三槐三公位焉吳澄注云槐之言懷也懷來人於此也

 

周禮(주례)外朝法(외조법)에서는 三槐(삼괴)()하고, 三公(삼공)은 여기에 자리 한다.”라고 하였으며, 吳澄(오징)()에는 ()의 뜻은 ()로서 사람을 이에 따라오게 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王安石釋云槐華黃中懷其美故三公位之。《春秋元命包槐之言歸也古者樹槐聽訟其下使情歸實也

 

王安石(왕안석)()에서는 ()黃中(황중)에 그 ()를 간직하고 있다. 그래서 三公(삼공)은 여기에 자리한다.”라고 하였다. 春秋(춘추)元命包(원명포)에는 ()意味(의미)()로서 古代(고대)에는 ()를 심고 그 아래에서 訟事(송사)聽取(청취)하고 ()으로써 歸實(귀실)하게 하였다.”고 하였다.

 

 

 

集解

 

別錄槐實生河南平澤可作神燭

 

頌曰今處處有之其木有極高碩者︰《爾雅槐有數種葉大而黑者名 槐晝合夜開者名守宮槐葉細而青綠者但謂之槐其功用不言有別四月五月開黃花六月七月結實七月七日采嫩實搗汁作煎十月採老實入藥根采無時醫家用之最多

 

時珍曰槐之生也季春五日而兔目十日而鼠耳更旬而始規二旬而葉成初生嫩炸熟水淘過食亦可作飲代茶或采槐子種畦中采苗食之亦良其木材堅重有青黃白黑色其花未開時狀如米粒炒過煎水染黃甚鮮其實作莢連珠中有黑子以子連多為好。《周禮》︰秋取槐檀之火。《淮南子》︰老槐生火。《天玄主物簿老槐生丹槐之神異如此

 

 

 

槐實

 

修治

 

雷斅曰凡采得去單子並五子者只取兩子三子者以銅錘捶破用烏牛乳浸一宿蒸過用

 

대개 採取(채취)하면 單子(단자) 五子(오자)인 것을 除去(제거)한다. 다만 兩子(양자), 三子(삼자)인 것을 ()하여 銅錘(동추)捶破(추파)하고, 烏牛乳(오우유)에다 하룻밤 ()한 다음 蒸用(증용)한다.

 

 

 

氣味

 

無毒

 

別錄之才曰景天為之使

 

 

 

主治

 

五內邪氣熱止涎唾補絕傷火瘡婦人乳瘕子藏急痛(《本經》)。

 

五內(오내)邪氣熱(사기열), 涎唾(연타)를 멎게 하고, 絶傷(절상)()한다. 火瘡(화창), 婦人(부인)乳瘕(유가), 子臟(자장)急痛(급통)

 

久服明目益氣頭不白延年治五痔瘡 以七月七日取之搗汁銅器盛之日煎令可丸如鼠屎納竅中日三易乃愈又墮胎(《別錄》)。

 

久服(구복)하면 明目益氣(명목익기)하고, 毛髮(모발)白色(백색)이 되지 않게 하며, 天壽(천수)를 누린다. 五痔(오치), 瘡瘻(창루)()하려면 七月(칠월) 七日(칠일)採取(채취)하여 찧어서 銅器(동기)에 담아 每日(매일) ()하여 ()을 만들 수 있을 때까지를 限度(한도)로 하고, 鼠屎(서시) 정도를 竅中(규중)에 넣는다. 一日(일일) 三回(삼회) 바꾸면 ()한다. 또한 墮胎(타태)한다.

 

 

治大熱難產甄權)。

 

大熱(대열), 難産(난산)()한다.

 

 

殺蟲去風合房陰乾煮飲明目除熱淚頭腦心胸間熱風煩悶風眩欲倒心頭吐涎如醉如舡車上者藏器)。

 

殺蟲去風(살충거풍)한다. 合房陰乾(합방음건)하여 煮飮(자음)하면 明目(명목)한다. 熱淚(열루), 頭腦(두뇌), 心胸間(심흉간)熱風(열풍), 煩悶(번민), 風眩(풍현)으로 쓰러지려 하고, 心頭(심두)()()하며, ()한 것과 같고 旋車上(선차상)에 있는 것 같이 ()할 듯한 것을 除去(제거)한다.

 

 

治丈夫女人陰瘡濕癢催生吞七粒大明)。

 

男子(남자), 婦人(부인)陰瘡(음창), 濕痒(습양)()한다. 催生(최생)에는 七粒(칠립)을 삼킨다.

 

 

 

疏導風熱宗奭 )。

 

風熱(풍열)疎導(소도)한다.

 

 

 

治口齒風涼大腸潤肝燥李杲)。

 

口齒(구치)()()하고, 大腸(대장)()하며, 肝燥(간조)()한다.

 

 

 

 

 

發明

 

好古曰槐實純陰肝經氣分藥也治証與桃仁同

 

槐實(괴실)純陰(순음)으로서 肝經(간경)氣分藥(기분약)이다. 治証(치증)桃仁(도인)과 같다.

 

 

弘景曰槐子以十月巳日采相連多者新盆盛合泥百日皮爛為水核如大豆服之令腦滿發不白而長生

 

塊子(괴자)十月(시월)巳日(사일)相連(상련)하여 많은 것을 採取(채취)하고, 新盆(신분)에 가득 담아. ()()하고, 百日(백일)이 지나 爛皮(난피)하여 물이 되었을 때 大豆(대두) 정도의 ()服用(복용)하면 ()充滿(충만)하게 하고, 白髮(백발)이 되지 않으면서 長壽(장수)한다.

 

 

頌曰折嫩房角作湯代茗主頭風明目補腦水吞黑子以變白髮扁鵲明目使發不落法十月上巳日取槐子去皮納新瓶中封口二七日初服一枚再服二枚日加一枚至十日又從一枚起終而複始令人可夜讀書延年益氣力大良

 

嫩房角(눈방각)을 꺽어 ()을 만들어 ()代用(대용)하면 頭風(두풍)主效(주효)가 있으며 눈이 밝아지고 補腦(보뇌)한다. 黑子(흑자)를 물로 삼키면 白髮(백발)을 검게 한다. 扁鵲(편작)明目(명목)하고 落髮(낙발)을 막는 方法(방법): 十月(십월)上巳日(상사일)塊子(괴자)採取(채취)하여 去皮(거피)하고, 新甁中(신병중)에 넣어 ()~七日(칠일)간 입을 ()하고, 初服(초복)에는 一個(일개), 再服(재복)에는 二個(이개), 날마다 一個(일개)增量(증량)하여 十日(십일)()하였을 때 다시 一個(일개)에서 始作(시작)하고 끝나면 다시 始作(시작)한다. 그러면 夜中(야중)讀書(독서)할 수 있게 되고, 天壽(천수)延長(연장)하며, 益氣力(익기력)하는 등 매우 좋다.

 

 

 

 

時珍曰︰《太清草木方槐者虛星之精十月上巳日采子服之去百病長生通神。《梁書庾肩吾常服槐實年七十餘發鬢皆黑目看細字亦其驗也古方以子入冬月牛膽中漬之陰乾百日每食後吞一枚云久服明目通神白髮還黑有痔及下血者尤宜服之

 

太清草木方(태청초목방)에서는 ()虛星(허성)()인 것이다. 十月(시월), 上巳日(상사일)()採取(채취)하여 服用(복용)함녀 百病(백병)除去(제거)하고, 長生(장생)하여 通神(통신)한다.”라고 하였으며, 梁書(양서)에는 庾肩吾(유견오)恒常(항상) 槐實(괴실)을 먹었는데 七十餘歲(칠십여세)인데도 髮鬂(발빈)이 모두 黑色(흑색)이었으며, 細字(세자)를 볼 수 있었다.“ 고 한 것은 모두 그 效驗(효험)을 말 한 것이다. 古方(고방)에서는 冬期(동기)()牛膽(우담)중중에 담그고, 百日間(백일간) 陰乾(음건)한 다음 () 食後(식후)一個(일개)를 삼킨다고 하였는데 久服(구복)하면 明目通神(명목통신)하고, 白髮(백발)黑髮(흑발)로 돌아가게 한다. ()下血(하혈)있는 ()()히 이것을 服用(복용)하는 것이 좋다.

 

 

 

附方

 

舊一新四

 

槐角丸治五種腸風瀉血糞前有血名外痔糞後有血名內痔大腸不收名脫肛谷道四面 肉如奶名舉痔頭上有孔名 瘡內有蟲名蟲痔並皆治之槐角去梗一兩地榆當歸酒焙)、防風黃芩枳殼麩炒各半兩為末酒糊丸梧桐子大每服五十丸米飲下。(《和劑局方》)。

 

五種(오종)腸風瀉血(장풍사혈)()한다. 糞前(분전)()이 있는 것을 外痔(외치)라 하고, 糞後(분후)()이 있는 것을 內痔(내치), 大腸不收(대장불수)脫肛(탈항), 穀道(곡도)四面(사면)弩肉(노육)()처럼 되는 것을 擧痔(거치), 頭上(두상)()이 있는 것을 瘻瘡(누창), ()()이 있는 것을 蟲痔(충치)라고 한다. 모두 ()할 수 있다. 槐角(괴각)去梗(거경)하고 ()한 것 一兩(일량), 地楡(지유), 當歸(당귀)酒焙(주배)하고 防風(방풍), 黃芩(황금), 枳殼(지각)麩炒(부초)하여 각 半兩(반량)作末(작말)하고, 酒糊(주호)梧子(오자) 크기의 ()을 만들어 五十丸(오십환)씩을 米飮(미음)으로 服用(복용)한다.

 

大腸脫肛槐角槐花各等分炒為末用羊血蘸藥炙熟食之以酒送下豬腰子去皮蘸炙亦可。(《百一選方》)

 

 

內痔外痔許仁則方用槐角子一斗搗汁晒稠取地膽為末同煎丸梧桐子大每飲服十丸兼作挺子納下部或以苦參末代地膽亦可。(《外台秘要》)

 

目熱昏暗槐子黃連去須各二兩為末蜜丸梧桐子大每漿水下二十丸日二服。(《聖濟總錄》)。

 

 

 

槐花

 

修治

 

宗奭曰未開時采收陳久者良入藥炒用染家以水煮一沸出之其稠滓為餅染色更鮮也

 

未開時(미개시)採收(채수)陳久(진구)한 것이 좋다. ()에는 炒用(초용)한다. 染色用(염색용)에는 水煮(수자)하여 一沸(일비)한 다음 꺼내어, 稠滓(조재)()으로 만들면 染色(염색)이 더욱 鮮明(선명)해진다.

 

 

氣味

 

無毒

元素曰味厚氣薄純陰也

 

 

 

主治

 

五痔心痛眼赤殺腹臟蟲及皮膚風熱腸風瀉血赤白痢並炒研服大明)

 

五痔(오치), 心痛(심통), 眼赤(안적), 腹臟(복장)()()하고, 또한 皮肤风热(피부풍열), 腸風瀉血(장풍사혈), 赤白痢(적백리)에는 모두 炒硏(초연)하여 服用(복용)한다.

 

 

涼大腸元素)。

 

大腸(대장)()하게 한다.

 

 

 

炒香頻嚼治失音及喉痺又療吐血衄血崩中漏下

 

香炒(향초)하여 頻嚼(빈작)하면 失音(실음) 喉痺(후비)()한다. 또한 吐血(토혈), (), 崩中漏下(붕중누하)()한다.

 

 

 

發明

 

時珍曰槐花味苦色黃氣涼陽明厥陰血分藥也故所主之病多屬二經

 

槐花(괴화)味苦(미고), 黃色(황색), 氣凉(기량)하여 陽明(양명), 厥陰(궐음)血分藥(혈분약)이다. 따라서 主治(주치)하는 ()은 대개 그 二經(이경)()한다.

 

 

附方

 

舊一新二十

衄血不止槐花烏賊魚骨等分半生半炒為末吹之。(《普濟方》)

舌衄出血槐花末敷之即止。(《朱氏集驗》)。

吐血不止槐花燒存性入麝香少許研勻糯米飲下三錢。(《普濟方》)。

咯血唾血槐花炒研每服三錢糯米飲下仰臥一時取效。(朱氏小便尿血槐花)、郁金各一兩為末每服二錢淡豉湯下立效。(《篋中秘寶方》)。

大腸下血︰《經驗方》︰用槐花荊芥穗等分為末酒服一錢匕。《集簡方》︰用柏葉三錢槐花六錢煎湯日服暴熱下血生豬臟一條洗淨控乾以炒槐花末填滿扎定米醋沙鍋內煮爛擂丸彈子大晒乾每服一丸空心酒毒下血槐花半生半炒一兩山梔子五錢為末新汲水服二服。(《經驗良方》)

臟毒下血新槐花炒研酒服三錢日三服或用槐白皮煎湯服。(《普濟方》)。

婦人漏血不止槐花燒存性每服二三錢食前溫酒下。(《聖惠方》)。

血崩不止槐花三兩黃芩二兩為末每服半兩酒一碗銅秤錘一枚桑柴火燒紅浸入酒內調服忌口。(中風失音炒槐花三更後仰臥嚼咽。(危氏得效方》)。

癰疽發背凡人中熱毒眼花頭暈口乾舌苦心驚背熱四肢麻木覺有紅暈在背後者即取槐花子一大抄鐵杓炒褐色以好酒一碗汗之乘熱飲酒一汗即愈如未退再炒一服極效縱成膿者亦無不愈彭幸庵云此方三十年屢效者。(劉松石保壽堂方》)

楊梅毒瘡乃陽明積熱所生槐花四兩略炒入酒二盞煎十餘沸熱服胃虛寒者勿用。(《集簡方》)

外痔長寸疔瘡腫毒一切癰疽發背不問已成未成但 痛者皆治槐花微炒)、核桃仁二兩無灰酒一鐘煎十餘沸熱服未成者二三服已成者一二服見效。(《醫方摘要》)

發背散血槐花綠豆粉各一升同炒作象牙色研末用細茶一兩煎一碗露一夜調末三錢敷之留頭勿犯婦女手。(《攝生眾妙方》)

下血血崩槐花一兩棕灰五錢鹽一錢水三鐘煎減半服。(《摘玄方》)

白帶不止槐花)、牡蠣等分為末每酒服三錢取效。(同上

 

 

 

 

氣味

 

無毒

 

 

 

主治

 

煎湯治小兒驚癇壯熱疥癬及疔腫莖同用大明)。

 

煎湯(전탕)小兒(소아)徑間(경간), 壯熱(장열), 疥癬(개선) 疔腫(정종)()한다.

(), ()을 함께 使用(사용)한다.

 

 

邪氣產難絕傷及癮疹牙齒諸風采嫩葉食

 

邪氣難産(사기난산), 絶傷(절상), 癮疹(은진), 牙齒(아치)諸風(제풍)에는 嫩葉(눈엽)採食(채식)한다.

 

 

 

附方

 

舊二新一

 

霍亂煩悶槐葉桑葉各一錢炙甘草三分水煎服之。(《聖惠方》)。

腸風痔疾用槐葉一斤蒸熟晒乾研末煎飲代茶久服明目。(《食醫心鏡》)。

鼻氣窒塞以水五升煮槐葉取三升下蔥豉調和再煎。(《千金方》)。

 

 

 

 

氣味

 

同葉

 

主治

 

洗瘡及陰囊下濕癢八月斷大枝候生嫩 煮汁釀酒療大風痿痺甚效(《別錄》)。

 

() 陰囊(음낭) ()濕痒(습양)을 씻는다.k 八月(팔월) 大枝(대지)를 잘라, 嫩檗(눈벽)이 나오는 것을 기다려 煮汁(자즙)을 만들어 술을 빚고 大風痿痺(대풍위비)()하면 甚效(심효)하다.

 

 

炮熱熨蠍毒)。

 

炮熱(포열)하여 蠍毒(갈독)()한다.

 

 

青枝燒瀝塗癬黑煆揩牙去蟲煎湯洗痔核)。

 

靑枝(청지)燒瀝(소력)하여 ()에 바른다. 黑煆(흑하)하여 揩牙(개아)하면 ()除去(제거)한다. 煎湯(전탕)하여 痔核(치핵)을 씻는다.

 

 

 

燒灰沐頭長發藏器)。

 

燒灰(소회)沐頭(목두)하면 長髮(장발)이 된다.

 

 

 

治赤目崩漏時珍)。

 

赤目(적목), 崩漏(붕루)()한다.

 

 

 

 

發明

 

頌曰劉禹錫傳信方著硤州王及郎中槐湯灸痔法甚詳以槐枝濃煎湯先洗痔便以艾灸其上七壯以知為度

 

劉禹錫(유우석)傳信方(전신방)에는 硤州(협주)王及郎中(왕급랑중)槐湯灸痔法(괴탕구치법)은 매우 詳細(상세)하다. 槐枝(괴지)濃煎湯(농전탕)으로 먼저 洗痔(세치)한 다음, ()로 그 위에 七壯(칠장)()한다.

 

 

王及素有痔疾充西川安撫使判官乘騾入駱谷其痔大作狀如胡瓜熱氣如火至驛僵仆

 

感知(감지)가 있음을 限度(한도)로 한다. 王及(왕급)元來(원래) 痔疾(치질)이 있었는데, 西川(서천)安撫使判官(안무사판관)으로 任命(임명)되었을 때 ()를 타고 駱谷(낙곡)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그 ()가 크게 發作(발작)하였고, 胡瓜(호과)와 같은 狀態(상태)가 되었으며, 熱氣(열기)가 불과 같았는데,()에 도착하자 쓰러지고 말았다.

 

 

郵吏用此法灸至三五壯忽覺熱氣一道入腸中因大轉瀉先血後穢其痛甚楚瀉後遂失胡瓜所在登騾而馳矣

 

그때 郵吏(우리)가 이 方法(방법)으로 ()하자 ()~五壯(오장)에 이르러 忽然(홀연)一道(일도)熱氣(열기)腸中(장중)으로 들어오는 것을 느꼈고, 크게 전사(轉瀉)하였기 때문에 ()이 먼저, ()()에 나왔고, 痛楚(통초)가 매우 ()했으나 ()()에는 마침내 胡瓜(호과)와 같은 것의 所在(소재)를 알수 없게 되었으며, ()를 타고 달려가 赴任(부임)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附方

 

舊五新一

 

風熱牙痛槐枝燒熱烙之。(《聖惠方》)。

胎赤風眼槐木枝如馬鞭大長二尺作二段齊頭麻油一匙置銅缽中晨使童子一人以其木研之至暝乃止令仰臥以塗目日三度瘥

九種心痛當太歲上取新生槐枝一握去兩頭用水三大升煎取一升頓服。(《千金》)。

崩中赤白不問遠近取槐枝燒灰食前酒下方寸匕日二服。(《梅師方》)。

胎動欲產日月未足者取槐樹東引枝令孕婦手把之即易生。(《子母秘錄》)。

陰瘡濕癢槐樹北面不見日枝煎水洗三五遍冷再暖之。(孟詵必效方》)。

 

 

 

木皮根白皮

 

氣味

 

無毒

 

 

主治

 

爛瘡喉痺寒熱(《別錄》)。

 

爛瘡(난창), 喉痺(후비), 寒熱(한열)

 

 

煮汁淋陰囊墜腫氣痛煮漿水漱口齒風疳口血甄權)。

 

煮汁(자즙)하여 陰囊墜腫(음낭추종)으로 氣痛(기통)하는 경우에 ()한다. 끓인 漿水(장수)口齒(구치)風疳口血(풍감구혈)()한다.

 

 

 

治中風皮膚不仁 浴男子陰疝卵腫浸洗五痔一切惡瘡婦人產門癢痛乃湯火瘡煎膏止痛長肉消癰腫。(大明)。

 

中風(중풍)皮膚不仁(피부불인)()g나다. 男子(남자)陰疝卵腫(음산난종)()하고, 五痔(오치), 一切(일체)惡瘡(악창), 婦人(부인)產門癢痛(산문양통) 燙火傷(탕화상)浸洗(침세)한다. 煎膏(전고)止痛長肉(지통장육)하며, 癰腫(옹종)解消(해소)한다.

 

 

煮汁服治下血(蘇頌)

 

煮汁(자즙)服用(복용)함녀 下血(하혈)()한다.

 

 

附方

 

舊四新二

 

中風身直不得屈伸反複者取槐皮黃白者切之以酒或水六升煮取二升稍稍服之。(《肘後方》)

破傷中風避陰槐枝上皮旋刻一片安傷處用艾灸皮上百壯不痛者灸至痛痛者灸至不痛用手摩之。(《普濟》)

風蟲牙痛槐樹白皮一握切以酪一升煮去滓入鹽少許含漱。(《廣濟方》)

下膿血多取槐白皮濃煮汁先熏後洗良久欲大便當有蟲出不過三度即愈仍以皮為末綿裹納下部中。(《梅師方》)。

 

 

 

槐膠

 

氣味

 

 

無毒

 

 

 

主治

 

一切風化涎肝臟風筋脈抽掣及急風口噤或四肢不收頑痺或毒風周身如蟲行或破傷風口眼偏斜腰背強硬任作湯雜諸藥用之亦可水煮和藥為丸(《嘉祐 》)。

 

 

一切(일체)(), 化涎(화연)한다. 肝藏風(간장풍)을로 筋脈抽掣(근맥추체)하는 것 및 急風口噤(급풍구금), 또는 四肢不收(사지불수)한 것, 頑痺(완비) 또는 毒風(독풍)으로서 全身(전신)()이 기어가는 것처럼 느끼는 것 또는 破傷風(파상풍)으로 口眼偏斜(구안편사)하고 腰背強硬(요배강경)한 것에는 任意(임의)(), (), (), ()으로 하고 諸藥(제약)을 섞어 服用(복용)한다. 또한 水煮(수자)하고, ()調和(조화)하여 ()을 만드는 것도 좋다.

 

 

煨熱綿裹塞耳治風熱聾閉(時珍)

 

煨熟(외숙)하여 솜에 싸서 귀를 막으면 風熱聾閉(풍열농폐)()한다.

 

 

 

 

槐耳見菜部木耳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薺)[본초강목]  (0) 2020.10.11
소맥(小麥)[본초강목  (0) 2020.10.11
백약자(白藥子)[본초강목]]  (0) 2020.09.29
오렴매(烏蘞莓)[본초강목]  (0) 2020.09.29
선화(蟬花)[본초강목]  (0) 202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