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8. 31. 22:17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옥촉서(玉蜀黍)[본초강목]
옥수수/옥미수(玉米鬚)
옥수수
이명 : [강낭이] [강냉이]
학명 : Zea mays L.
분류군 : Gramineae(벼과)
일명 : トウモロコシ
영명 : Corn, Indian Corn, Maize
잎
잎은 호생하며 길이 1m정도에 달하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져서 처지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털이 없다.
열매
영과는 편구형이고 밑부분이 짧게 뾰족해지며 지름 6mm정도로서 보통 황색이지만 자줏빛이 도는 것 및 그 밖의 여러 가지가 있다. 모양이 어금니와 비슷하고 옥수수 수염을 옥촉서예라 한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수꽃은 원줄기 끝에 달리며 큰 원추형의 화서를 형성한다. 화서의 분지에는 각 2개의 꽃이 달린 소수(小穗)가 수상(穗狀)으로 달리고 수술이 각 3개씩 있으며 포영에 잔털이 있다. 자화수(雌花穗)는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고 많은 꽃이 화축에 정렬하며 각각 막질의 영과 1개의 자방이 있다. 암술대는 적갈색이고 화서를 둘러싸고 있는 포영 밖으로 나와 밑으로 처진다. 화서축은 길이 20-30cm로 자라서 굵어지며 많은 영과가 달린다.
줄기
높이 1-3m이고 곧게 자란다. 땅에 가장 가까운 곳에 2~3개의 줄기 마디가 있다.
뿌리
줄기 마디에서 굵은 곁뿌리가 나와 땅 속으로 들어가 가는 뿌리를 낸다.
원산지
열대 아메리카 원산
분포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1년초.
크기
높이는 1-3m.
꽃/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이용방안
▶열매는 식용한다.
▶종자는 玉蜀黍(옥촉서), 根(근)은 玉蜀黍根(옥촉서근), 葉(엽)은 玉蜀黍葉(옥촉서엽), 花柱(화주)는 玉米鬚(옥미수), 穗軸(수축)은 玉米軸(옥미축)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玉蜀黍(옥촉서) -
①약효 : 調中(조중), 開胃(개위), 益肺(익폐), 寧心(영심)의 효능이 있다. 健胃劑(건위제)도 되며 달여 복용하면 이뇨의 효과가 있다.
②용법/용량 : 달여 복용하거나 삶아 먹는다. 또는 분말로 떡을 만들어 먹는다.
⑵玉蜀黍根(옥촉서근) -
①약효 : 이뇨, 祛瘀(거어)의 효능이 있다. 砂淋(사림), 토혈을 치료한다. 임력사석으로 참기 어려운 통증이 있을 때 달여서 수시로 복용한다.
②용법/용량 : 60-1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玉蜀黍葉(옥촉서엽) -
①莖葉(경엽)에는 항암작용이 있는 다당류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임력사석으로 참기 어려울 정도의 통증이 있을 때 달여서 빈번히 복용한다.
⑷玉米鬚(옥미수) -
①성분 : 지방유, 精油(정유), 식물고무질물질, 樹脂(수지), 苦味配糖體(고미배당체), saponin, alkaloid 외에 cryptoxanthin, 비타민 C, pantothen산, inositol, 비타민 K, sitosterol, stigmasterol, 사과산, 구연산, 주석산, 蓚酸(수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이뇨, 泄熱(설열), 平肝(평간), 利膽(이담)의 효능이 있다. 腎炎水腫(신염수종), 각기, 黃疸肝炎(황달간염), 고혈압, 膽囊炎(담낭염), 膽石(담석), 당뇨병, 토혈, 鼻出血(비출혈), 축농증, 乳癰(유옹)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0-6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燒存性(소존성)으로 硏末(연말)해 쓰기도 한다. <외용> 태워서 그 연기를 들이 마신다.
⑸玉米軸(옥미축) -
①약효 : 小便不利(소변불리), 水腫(수종), 脚氣(각기), 下痢(하리)를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12-16g을 달여서 복용한다.
특징
▶주요한 재배작물의 하나이다.
학명 Zea mays L.
Sp. pl. 2: 971-972. (1753)
1. Mays zea Gaertn.
Fruct. sem. pl. 1:6, pl. 1. (178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옥수수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강낭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강냉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Corn, Indian Corn, Maize
일본명 : トウモロコシ
북한명 : 강냉이
Zea mays L.
Sp. Pl. 2: 971. 1753 [1 May 1753]
2: 971 1753
Original Data:
Notes: Paraguay
Linnaeus, Carl (1707-1778)
Standard Form:
L.
Alternative Names:
Linné, Carl von
Area of Interest:
Pteridophytes , Mycology , Bryophytes , Algae , Spermatophytes
Information Source:
CMI, Missouri Bryological list, Berkeley Algal list
Countries:
Swede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옥미(玉米)
Zea mays Linn.
이명(异名)
Zea odontosperma Ten.
Zea altissima J.F.Gmel. ex Steud.
Zea minor J.F.Gmel. ex Steud.
Zea macrosperma Klotzsch
Zea praecox Steud.
Zea mays var. virginica Bonaf.
Zea cryptosperma Bonaf.
Zea mays var. pensylvanica Bonaf.
Zea erythrolepis Bonaf.
Zea mays subsp. ceratina (Kuleshov) Zhuk.
Zea mays subsp. everta (Sturtev.) Zhuk.
Zea mays subsp. huehuetenangensis (Iltis & Doebley) Doebley
Zea mays var. praecox Torr.
Zea mays subsp. amylacea (Sturtev.) Zhuk.
Zea mays subsp. amyleosaccharata (Sturtev.) Zhuk.
Zea mays subsp. saccharata (Sturtev.) Zhuk.
Zea mays subsp. indurata (Sturtev.) Zhuk.
Zea mays subsp. indentata (Sturtev.) Zhuk.
Zea oryzoides Golosk.
Zea mays var. multicoloramylacea Yarchuk
Zea mays var. striatiamylacea Leizerson
Zea mays var. subnigroviolacea T.A.Yarchuk
Zea minima Voss Zea mays subsp. obtusa Golosk.
Zea mays subsp. acuminata Golosk.
Zea mays subsp. aorista (Greb.) Golosk.
Zea vittata Voss
Zea mays var. hirta (Bonaf.) Alef.
Zea gigantea Voss
Zea gracillima Voss
Zea mexicana subsp. parviglumis (Iltis & Doebley) Greb.
Zea tunicata (A.St.Hil.) Sturtev. ex L.H.Bailey
Zea japonica Van Houtte
Zea mays var. ceratina Kuleshov
Zea mays var. japonica (Van Houtte) Alph.Wood
Zea mays subsp. parviglumis Iltis & Doebley
Zea mays var. huehuetenangensis Iltis & Doebley
Mayzea cerealis Raf.
Mayzea vestita Raf.
Mays vulgaris Ser.
Zea segetalis Salisb.
Mayzea cerealis var. gigantea Raf.
Zea indurata Sturtev.
Zea indentata Sturtev.
Zea hirta Bonaf.
Zea mays var. tunicata A.St.Hil.
Zea mays var. everta (Sturtev.) L.H.Bailey
Zea amyleosaccharata Sturtev. ex L.H.Bailey
Zea saccharata Sturtev.
Zea mays var. saccharata (Sturtev.) L.H.Bailey
Zea amylacea Sturtev.
Zea mays var. indentata (Sturtev.) L.H.Bailey
Zea canina S.Watson
Zea mucronata Poit. ex Vilm.
Zea rostrata Bonaf.
Mays americana Baumg.
Zea mays var. variegata G.Nicholson
Zea mays f. variegata (G.Nicholson) Beetle
Thalysia mays (L.) Kuntze
Zea everta Sturtev.
Zea vulgaris Mill.
Mays zea Gaertn.
Zea americana Mill.
Zea alba Mill.
Zea curagua Molina
Zea mays f. hanakibi Makino
Zea vaginata Sturtev.
Zea glumacea Larranaga
一年生。秆粗壮,高1-4米,通常不分枝,基部各节生支柱根。叶阔长,条状披针形,边缘呈波状。花序单性;雄花序顶生,由多数总状花序形成大形圆锥花序;雄小穗成对生于各节,长达1厘米;雌花序腋生;雌小穗成对,以8-18(30)行密集于一粗壮呈海绵质的穗轴周围而形成棒状,其外为多数叶状总苞片所包裹;花柱细长自总苞顶端伸出。 原产拉丁美洲,现全球广栽培,为主要谷物之一。果实除食用外,又是油脂,酿造,制葡萄糖的原料;新鲜秆叶为良好青饲料;花柱是治糖尿病及胆病的良药;根及叶药用治小便淋沥等症。
^^^^^^^^^^^^^^^^^^^^^^^^^^^^^^^^^^^^^^^^^^^^^^^^^^^^^^^^^^^^^^^^^^^^^^^^^^
玉蜀黍
(《綱目》)
【釋名】
玉高粱。
【集解】
時珍曰︰玉蜀黍種出西土,種者亦罕。其苗葉俱似蜀黍而肥矮,亦似薏苡。 苗高三、四尺。六、七月開花成穗如秕麥狀。苗心別出一苞,如棕魚形,苞上出白須垂垂。 久則苞拆子出,顆顆攢簇。子亦大如棕子,黃白色。可炸炒食之。炒拆白花,如炒拆糯谷之狀。
米
【氣味】
甘,平,無毒。
【主治】
調中開胃(時珍)。
調中(조중)하고 開胃(개위)한다.
根葉
【氣味】
原缺
【主治】
小便淋瀝沙石,痛不可忍,煎湯頻飲(時珍)。
小便淋瀝(소변임력), 沙石痛(사석통)으로 참기 어려울때는 煎湯(전탕)을 자주 마신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귤(枸橘)[본초강목] (0) | 2020.08.31 |
---|---|
천리광(千里光)[본초강목] (0) | 2020.08.31 |
목호접(木蝴蝶)[본초강목습유] (0) | 2020.08.31 |
번백초(翻白草)[본초강목] (0) | 2020.08.31 |
사계청(四季青)[본초강목] (0) | 2020.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