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경(桔梗)의 포제(炮制)

2018. 10. 29. 16:01백두산 환&단&약이야기/본초의 법제

길경(桔梗)의 포제(炮制)

 

 

 

 

^^^^^^^^^^^^^^^^^^^^^^^^^^^^^^^^^^^^^^^^^^^^^^^^^^^^^^^^^^^^^^^^^^^^

 


好古曰桔梗氣微溫味苦辛味厚氣輕陽中之陰升也入手太陰肺經氣分及足少陰經

 


桔梗(길경) () 微溫(미온), () 苦辛(고신)하고, 또한 ()하고 () ()하여 陽中(양중) ()이며 ()이다.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幾分(기분)  足少陰經(족소음경)에 들어간다.

 


元素曰桔梗清肺氣利咽喉其色白故為肺部引經與甘草同行為舟楫之劑

 


길경(桔梗)은 폐기(肺氣)를 맑게 하고, 인후(咽喉)를 이롭게 하며, 그 색()은 희다. 따라서 폐부(肺部)의 인경약(引经藥)으로서 감초(甘草)와 더불어 사용(使用)하면 그 공력(功力)의 행()함은 실()로 배에 노와 같은 일을 해내는 약제(藥劑)가 된다.

 

 


如大黃苦泄峻下之藥欲引至胸中至高之分成功須用辛甘之劑升之譬如鐵石入江非舟楫不載所以諸藥有此一味不能下沉也


 

대황(大黄)처럼 고(), ()하며 날카롭게 하부(下赴)하는 약()을 흉중(胸中), 최고(最高)의 부분(部分)까지 도달(導達)시켜서 주효(奏效)하는 데 필요(必要)한 수단(手段)은 신(), ()을 용제(用劑)하는 것으로, 말하자면 철()이나 돌을 대하중(大河中)에서 운반(運搬)하려면 주즙(舟楫)을 사용(使用)하는 방법(方法)이외(以外)는 달리 없는 것과 같다. 이러한 관계(關係)에서 제종(諸種)의 약중(藥中)에 이 길경(桔梗)의 일미(一味)가 첨가되면 하부(下部)로 침()하는 성질(性質)의 것도 침하(沈下)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時珍曰朱肱活人書治胸中痞滿不痛用桔梗枳殼取其通肺利膈下氣也


 

朱肱(주굉) 活人書(활인서)  胸中(흉중) 痞滿(비만) 痛症(통증)이 없는 증상을 ()할 때에는 桔梗(길경), 枳殼(지각) ()하는 것은 자체의 () ()하여 ()을 이롭게 하고, 下氣(하기)하는 功力(공력) 利用(이용)하는 것이다.”

 


 

張仲景傷寒論治寒實結胸用桔梗貝母巴豆取其溫中消穀破積也又治肺癰唾膿用桔梗甘草取其苦辛清肺甘溫瀉火又能排膿血補內漏也

 


張仲景(장중경) 傷寒論(상한론)  寒實結胸(한실결흉) ()함에는 桔梗(길경), 貝母(패모), 巴豆(파두) ()한 것은 그 자체의 () ()하게 하여 穀物(곡물) 消化(소화)하고, () ()하는 功力(공력) 利用(이용)하는 것이다.  肺癰(폐옹)으로 () ()이 함께 나오는 것을 治療(치료)할 때에 桔梗(길경), 甘草(감초) ()한 것은 그 自體(자체) (), () ()를 맑게 하고, (), () () ()하고, 또한 膿血(농혈)을 잘 排出(배출)하고, 內漏(내루) ()하는 힘을 利用(이용)한 것이다.

 

 


其治少陰証二三日咽痛亦用桔梗甘草取其苦辛散寒甘平除熱合而用之能調寒熱也

 


少陰(소음) 病證(병증) ()~三日(삼일) 咽痛(인통)하는 것을 ()할 때도 역시 桔梗(길경), 甘草(감초) ()한다. 그것은 (), ()으로 散寒(산한)하고, (), () 除熱(제열)하며,  二味(이미) 功力(공력) 倂用(병용)하여 능히 寒熱(한열) 調整(조정)하는 것이다.

 



後人易名甘桔湯通治咽喉口舌諸病宋仁宗加荊芥防風連翹遂名如聖湯極言其驗也

 


後世(후세)에 와서는 簡單(간단)하게 甘桔湯(감길탕)이라 부르며, 인후(咽喉), 口舌(구설) 諸病(제병) ()하는데 ()한다. () 仁宗皇帝(인종황제) 荊芥(형개), 防風(방풍), 連翹(연교) ()하여 그 效驗(효험) 極讚(극찬)하였다.

 

 


 

王好古醫壘元戎載之頗詳云失音加訶子聲不出加半夏上氣加陳皮涎嗽加知母貝母咳渴加五味子酒毒加葛根少氣加人參加半夏生薑唾膿血加紫菀肺痿加阿膠胸膈不利加枳殼心胸痞滿加枳實目赤加梔子大黃面腫加茯苓膚痛加黃耆發斑加防風荊芥疫毒加鼠粘子大黃不得眠加梔子

 


 

왕호고(王好古)의 의루원융(医垒元戎)에 매우 상세(詳細)하게 기재(記載)되었는데 실음(失音)에는 가자(诃子)를 가()하고, 말을 못 할때는 반하(半夏)를 가()하고, 상기(上氣)에는 진피(陳皮)를 가()하고, 연수(涎嗽)에는 지모(知母)와 패모(貝母)를 첨가하고, 해갈(咳渴)에는 오미자(五味子)를 가()하고, 주독(酒毒)에는 갈근(葛根)을 넣고, 소기(少氣)에는 인삼(人参)을 가()하고, ()에게는 반하(半夏)와 생강(生姜)을 가()하고, 타농혈(唾脓血)에는 자완(紫菀)을 가()하고, 폐위(肺痿)에는 아교(阿胶)를 가()하고, 흉격불리(胸膈不利)에는 지각(枳殼)을 가()하고, 심흉비만(心胸痞滿)에는 지실(枳实)을 가()하고, 목적(目赤)에는 치자(栀子)와 대황(大黄), 면종(面腫)에는 복령(茯苓), 부통(肤痛)에는 황기(黃芪) , 발반(發斑)에는 방풍(防风), 형개(荊芥), 역독(疫毒)에는 서점자(鼠粘子)와 대황(大黄)을 불면증(不眠症)에는 치자(栀子)를 첨가한다.”라고 되어 있다.

 


 

震亨曰乾咳嗽乃痰火之邪郁在肺中宜苦梗以開之痢疾腹痛乃肺金之氣郁在大腸亦宜苦梗開之後用痢藥此藥能開提氣血故氣藥中宜用之


 

건해수(乾咳嗽)는 담화(痰火)의 사울(邪鬱)이 폐중(肺中)에 있기 때문인데 고경(苦梗)을 용()하여 이것을 여는 것이 좋다. 이질복통(痢疾腹痛)은 폐금(肺金)의 기울(氣鬱)이 대장(大腸)에 있기 때문인데 고경(苦梗)을 용()하여 이것을 열어서 이약(痢藥)을 용()하는 것이 좋다. 이 약()은 기혈(氣血)을 개제(開提)하기 때문에 기약(氣藥)안에 이것을 용()하면 매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