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제(補劑)

2012. 1. 28. 11:16백두산 본초 이야기/본초의 기본적 이론

보제(補劑)

补剂 之才曰∶补可去弱,人参、羊肉之属是也。

 

보(補)란 약(弱)을 거(去)하는 것을 말한다. 인삼(人參), 양육(羊肉)의 속(屬)을 말한다.

 

서지재(徐之才)

杲曰∶人参甘温,能补气虚;羊肉甘热,能补血虚。羊肉补形,人参补气。凡气味与二药同者,皆是也。

 

인삼(人參)은 감(甘), 온(溫)으로 능(能)히 기허(氣虛)를 보(補)하고 양육(羊肉)은 감(甘)열(熱)로 능(能)히 혈허(血虛)를 보(補)한다. 양육(羊肉)은 형(形)을 보(補)하며 인삼(人參)은 기(氣)를 보(補)하는 것으로 무릇 기미(氣味)가 이 이약(二藥)과 같은 것은 모두 보제(補劑)인 것이다.

이고(李杲)

 

 

从正曰∶五脏各有补泻,五味各补其脏,有表虚、里虚,上虚、下虚,阴虚、阳虚,气虚、血虚。

 

오장(五臟)에 대해서는 각각 보(補), 사(瀉)라는 것이 있다. 오미(五味)는 각각 그 장(藏)을 보(補)하는 것으로 표허(表虛), 상허(上虛), 하허(下虛), 음허(陰虛), 양허(陽虛), 기허(氣虛), 혈허(血虛)를 보(補)하는 것이다.

 

《经》曰∶精不足者,补之以味;形不足者,补之以气。五谷、五菜、五果、五肉,皆补养之物也。

 

경(經)에 정(精)이 부족(不足)한 것은 미(味)로 보(補)하고, 형(形)이 부족(不足)한 것은 기(氣)로 이를 보(補)한다고 하였는데 오곡(五穀), 오채(五彩), 오과(五果), 오육(五肉)은 모두가 보양물(補養物)이다.

 

 

 

장종정(張從正)

 

时珍曰∶《经》云∶不足者补之。又云∶虚则补其母。生姜之辛补肝,炒盐之咸补心,甘草之甘补脾,五味子之酸补肺,黄柏之苦补肾。

 

경(經)에 부족(不足)한 것은 이를 보(補)하고, 또 허(虛)한 경우에는 그 모(母)를 보(補)한다 하였다. 생강(生薑)의 신(辛)은 간(肝)을 보(補)하고, 초염(炒鹽)의 함(鹹)은 심(心)을 보(補)하고 감초(甘草)의 감(甘)은 비(脾)를 보(補)하고, 오미자(五味子)의 산(酸)은 폐(肺)를 보(補)하고, 황벽(黃蘗)의 고(苦)는 신(腎)을 보(補)한다.

 

又如茯神之补心气,生地黄之补心血;人参之补脾气,白芍药之补脾血;黄 之补肺气,阿胶之补肺血;杜仲之补肾气,熟地黄之补肾血;芎 之补肝气,当归之补肝血之类,皆补剂。不特人参、羊肉为补也。

 

또한 복신(茯神)이 심기(心氣)를 보(補)하고, 생지황(生地黃)이 심혈(心血)을 보(補)하고, 인삼(人參)이 비기(脾氣)를 보(補)하고, 백작약(白灼藥)이 비혈(脾血)을 보(補)하고, 황기(黃芪)가 폐기(肺氣)를 보(補)하고, 아교(阿膠)가 폐혈(肺血)을 보(補)하고, 두충(杜仲)이 신기(腎氣)를 보(補)하고, 숙지황(熟地黃)이 신혈(腎血)를 보(補)하고, 궁궁(芎藭)이 간기(肝氣)를 보(補)하고, 당귀(當歸)가 간혈(肝血)을 보(補)하는 것과 같은 유(類)는 모두 보제(補劑)이다. 인삼(人參), 양육(羊肉)만이 보제(補劑)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이시진(李時珍)

 

 

 

보제(補劑)는 약한 것을 없애는 약물로서 인삼(人參), 황기(黃芪) 등이다. 약한 것은 허약한 병증인데 보익(補益)하는 약물로 치료한다. 인삼(人參), 황기(黃芪)를 같이 달여서 고약을 만든 것을 삼기고(三芪膏)라고 하는데 비폐(脾肺)의 기허(氣虛)를 치료한다. 예를 들면 비위(脾胃)가 쇠약하고 소화기능이 약하여 식욕이 좋지 못한 것은 사군자탕(四君子湯: 당삼, 백출, 복령, 감초)을 사용할 수 있다.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본초의 기본적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제(滑劑)   (0) 2012.01.28
중제(重剂)  (0) 2012.01.28
경제(轻剂)  (0) 2012.01.28
설제(洩劑)   (0) 2012.01.28
통제(通劑)  (0) 2012.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