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신(細辛)[본경/동의보감]

2024. 4. 29. 22:29[신농본초경]/상경(上經)

세신(細辛)[본경/동의보감]

 

 

 

족도리풀/세신(細辛)

 

 

족도리풀

 

학명 : Asarum sieboldii Miq.

분류군 : Aristolochiaceae (쥐방울덩굴과)

일명 : 薄葉細辛(ウスバサイシン /Uzuba-saishin)

영명 : Siebold Wildginger

漢名 : 細辛

 

우리나라 산지 수림에 나는 다년초.

근경은 마디가 많고, 수염뿌리는 많이 남.

잎은 줄기 끝에 보통 2장씩 나며, 잎자루는 길고, 잎몸은 심장형 또는 신장형. 5~10cm.

표면은 녹색, 털이 없음.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느 밋밋하며, 잎자루는 자주빛.

꽃은 검은 자주색. 독 모양. 윗부분이 3갈래. 갈래는 3각형.

자방 상위. 암술대 6. 수술은 12개로 2줄로 배열.

열매는 장과 모양.

개화기 : 4~5. 결실기 : 8~9.

용도 : 뿌리는 세싱이라 하여 약용함.

 

이영노저"한국식물도감

 

 

 

 

학명 Asarum sieboldii Miq.

Ann. Mus. Lugduno-Batavi 2: 134 (1865)

1. Asarum sieboldii var. cornutum Y.N.Lee

Flora of Korea (Y.N.Lee, 1996)

2. Asisarum sieboldii Miq.

Fl. sylv. kor. 21 : 22 (1936)

1) 동양전통약물원색도감 (김재길, 1992)

국명 족도리풀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1. 만주족도리풀

2. 민세신

3. 민족도리풀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민족두리풀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2)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5. 뿔족도리풀

6. 세신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7. 조리풀

1)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8. 족도리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관악수목원 보고 (이창복, 1976)

9. 족두리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0. 족두리풀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11. 털족도리풀

12. 한성세신

13. 화세신

영문명 : Siebold Wildginger

일본명 : ウスバサイシン

북한명 :

 

 

Asarum sieboldii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ii 134.

ii 134.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한성세신(汉城细辛)

Asarum sieboldii Miq.

 

 

이명(异名)

 

 

Asiasarum sieboldii (Miq.) F. Maek.

Asarum sieboldii var. seoulensis (Nakai) C. Y. Cheng et C. S. Yang

Asi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F. Maek.

Asarum sieboldii f. viride Y.N.Lee

Asarum sieboldii var. seoulense Nakai

Asarum sieboldii var. viridiluteolum Y.N.Lee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Asarum mandshuricum f. seoulense (Nakai) M.Kim & S.So

Asiasarum heterotropoides f. glabratum C.S.YookJ.G.Kim & J.Nam

Asiasarum koreanum J.G.Kim & C.S.Yook

Asiasarum sieboldii f. chungbuensis C.S.Yook & J.G.Kim

Asiasarum sieboldii var. versicolor Yamaki

 

 

 

多年生草本根状茎短具多数肉质根茎端生1-2叶肾伏心形7-14厘米6-11厘米顶端锐尖至长锐尖基部深心形两面疏生短柔毛叶柄长10-15厘米单花顶生暗紫色直径1.5-2厘米花柄长2-3(-5)厘米花被质厚筒部扁球形顶端3裂片平展宽卵形5-6毫米6-8毫米雄蕊12花柱6蒴果肉质近球形

 

分布在安徽浙江江西湖北和湖南日本南部也有

 

生于山谷间溪边和山坡林下阴湿处根和根状茎是发汗祛痰药能发散风寒止咳利尿并可提取芳香油

 

 

 

&&&&&&&&&&&&&&&&&&&&&&&&&&&&&&&&&&&&&&&&&&&&&&&&&&&&&&&&&&

 

 

서울족도리풀/세신(細辛)

 

서울족도리풀

 

 

학명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Neolin. Fl. Manshur. 227 (Kitag., 1979)

1. Asarum sieboldii f. seoulensis (Nakai) C.Y.Cheng & C.S.Yang

J. Arnold Arbor. 64(4): 577 (1983)

1) Index Kewensis (OxfordUniv.Press, 1997)

2. Asarum sieboldii var. seoulensis Nakai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 267 (1914)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Asi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F.Maekawa

국명 서울족도리풀

1. 민족도리풀

1)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2. 세신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정태현, 1965)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조리풀

1)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4. 족도리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5. 족두리풀

1)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정태현, 1965)

6. 털족도리풀

7. 한성세신

 

 

 

 

Asarum heterotropoides F.Schmidt var. seoulense ( Nakai ) Kitag.

Neolin. Fl. Manshur. 227 (1979).

227 (1979) 0

Original Data:

Notes: A. sieboldii var. seoulense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异名

 

正名Asarum sieboldii Miq. 汉城细辛

 

 

 

 

한성세신(汉城细辛)

Asarum sieboldii Miq.

 

 

이명(异名)

 

 

Asiasarum sieboldii (Miq.) F. Maek.

Asarum sieboldii var. seoulensis (Nakai) C. Y. Cheng et C. S. Yang

Asi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F. Maek.

Asarum sieboldii f. viride Y.N.Lee

Asarum sieboldii var. seoulense Nakai

Asarum sieboldii var. viridiluteolum Y.N.Lee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Asarum mandshuricum f. seoulense (Nakai) M.Kim & S.So

Asiasarum heterotropoides f. glabratum C.S.YookJ.G.Kim & J.Nam

Asiasarum koreanum J.G.Kim & C.S.Yook

Asiasarum sieboldii f. chungbuensis C.S.Yook & J.G.Kim

Asiasarum sieboldii var. versicolor Yamaki

 

 

 

多年生草本根状茎短具多数肉质根茎端生1-2叶肾伏心形7-14厘米6-11厘米顶端锐尖至长锐尖基部深心形两面疏生短柔毛叶柄长10-15厘米单花顶生暗紫色直径1.5-2厘米花柄长2-3(-5)厘米花被质厚筒部扁球形顶端3裂片平展宽卵形5-6毫米6-8毫米雄蕊12花柱6蒴果肉质近球形

 

分布在安徽浙江江西湖北和湖南日本南部也有

 

生于山谷间溪边和山坡林下阴湿处根和根状茎是发汗祛痰药能发散风寒止咳利尿并可提取芳香油

 

 

&&&&&&&&&&&&&&&&&&&&&&&&&&&&&&&&&&&&&&&&&&&&&&&&&&&&&&&&&

 

 

한성세신(汉城细辛)/세신(細辛)

 

 

 

한성세신(汉城细辛)

Asarum sieboldii f. seoulense (Nakai) C. Y. Cheng et C. S. Yang

 

 

本变型叶片背面有密生短毛叶柄被疏毛

 

Asarum sieboldii Miq. f. seoulense ( Nakai ) C.Y.Cheng & C.S.Yang

J. Arnold Arbor. 64(4): 577 (1983):.

64(4): 577 (1983): 1983

Links:

basionym:Aristolochiaceae Asarum sieboldii Miq. var. seoulense Nakai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267. 1914

 

Original Data:

Basionym: ASARUM sieboldii var. seoulense. (Nakai)

 

 

 

 

 

출처:.IPNI

 

 

&&&&&&&&&&&&&&&&&&&&&&&&&&&&&&&&&&&&&&&&&&&&&&&&&&&&&&&&&&&

 

 

만주족도리풀/세신(細辛)

 

만주족도리풀

 

이명 : [영종족도리풀]

학명 : 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Maxim.) Kitag.

분류군 : Aristolochiaceae(쥐방울덩굴과)

 

잎은 심장형 또는 신장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깊은 심장저이며 폭 5-10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윤채가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길며 자줏빛이 돈다.

열매

열매는 장과상이고 끝에 화피열편이 달려 있으며, 종자가 20개 정도 들어 있다.

꽃은 잎이 싹틀때 잎 사이에서 1개씩 나오며, 직경이 1-1.5cm로서 검은 홍자색이고 꽃받침은 반구형이며 안쪽에 줄이 있고 꽃통끝은 3개로 갈라져서 뾰족하고 뒤로 말린다. 자방은 상위이고 암술대는 6개이며 12개의 수술이 2줄로 배열된다.

줄기

원줄기 끝에서 2개의 잎이 나와 마주 퍼지고 대생한 것처럼 퍼진다.

뿌리

근경성으로 근경은 마디가 많으며 육질이고 매운맛이 있으며 가늘고 길며 수염뿌리가 많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크기

높이 4~10cm이다.

 

 

생육환경

 

산지의 나무그늘에서 자란다.

부식질이 많은 점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일조와 온도: 개화기까지는 광선을 요하며, 개화 후에는 반그늘에서 잘자란다. 노지에서 월동하고, 섭씨16˚~ 30˚에서 잘 자란다.

관수관리 :보통으로 관수관리한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번식방법

근경을 잘라 심는다.

/번식방법

환경내성, 이식성은 보통이다.

 

이용방안

관엽 또는 관화식물로 화단이나 정원에 심어 관상한다.

족도리, 섬족도리(개족도리)의 뿌리가 달린 全草(전초)細辛(세신)이라 하며 약용한다.

 

5-7월에 뿌리채 캐서 泥土(이토)를 제거하고 곧 그늘에 말린다. (햇볕에 말리거나 水洗(수세)를 피한다. 그렇게 안하면 잎이 황색으로 변하고 향기가 떨어져 품질이 떨어진다.)

 

성분 : 족도리풀 ()에는 精油(정유)가 약 3% 함유되어 있고 그 주성분은 methyleugenol이고 이 외에 safrole, β-pinene, eucarvone, phenol() 물질 등이 들어

있다. 민족도리풀에는 精油分(정유분)1.9-2.75% 함유되어 있고 주성분은

methyleugenol dir 50%이고 그 외에 asaryl ketone, pinene, eucarvon, safrole,

1.8-cineole, l-asarinin dir 0.2%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祛風(거풍), 散寒(산한), 溫肺(온폐), 化痰(화담), 開竅(개규)의 효능이 있다. 外感風寒(외감풍한), 風冷頭痛(풍냉두통), 鼻淵(비연-축농증), 齒痛(치통), 痰飮咳逆(담음해역), 류머티즘에 의한 痺痛(비통)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0.9-3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을 만들어서 뿌리거나 코 안에 불어 넣는다. 혹은 달인 물을 입안에 머금었다가 곧 뱉아낸다.

유사종

개족도리(Asarum maculatum Nakai)

: 제주도에 자생하며 잎에 흰색의 얼룩 무늬가 들어 있고, 통꽃 바깥면에 굵은 세로줄이 있다.

 

 

 

 

 

 

 

학명 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Maxim.) Kitag.

Rep. Inst. Sci. Res. Manchoukuo 3: 174 (1939)

1. Asarum sieboldii var. mandshuricum Maxim.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8 : 399 (1872)

1)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2. Asarum sieboldii var. mandshuricum for. viride Y.N.Lee

Flora of Korea (Y.N.Lee, 1996)

Bull. Kor. Pl. Res.(1): 16 (2000)

3. Asi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Maxim.) F.Maekawa

국명 만주족도리풀

1. 영종족도리풀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

 

辽细辛(료세신)

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Maxim.) Kitagawa

 

 

多年生草本根状茎短具多数肉质根茎端生2-3叶心形至肾状心形长和宽均8-12厘米顶端短锐尖或钝基部深心形两面疏生短柔毛或近于无毛叶柄长约15厘米无毛单花顶生花被筒壶形紫褐色顶端3裂片向外反卷宽卵形7-9毫米宽约10毫米雄蕊12;花柱6蒴果肉质半球形

 

分布在辽宁吉林黑龙江山东山西河南和陕西朝鲜也有

 

生于林下阴湿含腐植质的土壤上

根和根状茎入药有解热散寒利尿祛痰止痛之效还可提取挥发油

 

 

 

^^^^^^^^^^^^^^^^^^^^^^^^^^^^^^^^^^^^^^^^^^^^^^^^^^^^^^^^^^^^^^^^^^^^^^^^^^^

細辛

 

味辛溫

 

主欬逆頭痛腦動百節拘攣風濕痺痛死肌久服明目利九竅輕身長年一名小辛生山谷

 

吳普細辛一名細草(《御覽引云一名小辛),神農黃帝雷公桐君辛小溫岐伯元毒李氏小寒如葵葉色赤黑一根一葉相連(《御覽引云三月八月採根)。

名醫生華陰二月八月採根陰乾

廣雅細條少辛細辛也;《中山經浮戲之山上多少辛郭璞云細辛也;《管子·地員篇小辛大蒙;《范子計然細辛出華陰色白者善

 

 

[本經/上經]

 

 

^^^^^^^^^^^^^^^^^^^^^^^^^^^^^^^^^^^^^^^^^^^^^^^^^^^^^^^^^^^^^^^^^^^^^^^^^^^

 

細辛

 

세신(細辛)

 

 

性溫味大辛一云苦辛無毒

 

()은 온()하고 미()는 대신(大辛)하며, <일운(一云) (), ()> 무독(無毒)하다.

 

 

主風習痺痛溫中下氣除喉痺每鼻添膽氣去頭風明目治齒痛破痰出汗

 

풍습비통(風濕痹痛), 온중하기(溫中下氣)에 주효(主效)하다. 후비(喉痺), 옹비(齆鼻)를 제거(除去)하며, 담기(膽氣)를 강()하게 한다. 두풍(頭風)을 거()하고, 명목(明目)하고, 치통(齒痛)을 치()하며, ()을 파()하며, 출한(出汗)한다.

 


生山野其根細而其味極辛故名之曰細辛二月八月採根陰乾用之去頭節


산야(山野)에서 생()하는데 근()은 세()하고, ()는 매우 신()하므로 세신(細辛)이라고 한다. 이월(二月), 팔월(八月)에 채근(採根)하여 음건(陰乾)하여 두아(頭丫)를 제거(除去)하고 사용(使用)한다.

 


單用末不可過半錢匕多卽氣悶塞不通者死雖死無傷本草

 

단순(單純)하게 말()만을 사용(使用)하고자 할 때는 반전(半錢) 이상(以上)을 과용(過用)해서는 아니 된다. ()이 많으면 기식(氣息)이 민색(悶塞)하고 이통(利通)하지 않게 되어 사망(死亡)한다. 죽어도 상처(傷處)가 남지 않는다.[본초].

 


少陰經藥也治少陰頭痛如神獨活爲之使細辛香味俱細而緩故入手少陰治頭面風痛不可缺也湯液

 

소음경(少陰經) ()이다. 少陰頭痛(소음두통)()하는데 마치 ()과 같은 効果(효과)가 있는데 독활(獨活)使()로 한다. 細辛(세신)香味(향미)가 모두 ()하므로 手少陰(수소음)에 들어가서 두면풍통(頭面風痛)을 치()하는데 없어서는 안 된다.[탕액].

 

 

 

[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상경(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극천(巴戟天)[본경]  (0) 2024.06.04
지황(地黄)[본경]  (0) 2024.05.22
사향(麝香)[본경/동의보감]  (0) 2024.03.29
녹각교[본경/동의보감]  (0) 2024.03.07
원지(遠志)[본경/동의보감]  (1) 2024.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