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지(遠志)[본경/동의보감]

2024. 2. 17. 20:57[신농본초경]/상경(上經)

원지(遠志)[본경/동의보감]

 

 

 

 

두메애기풀/원지(遠志)

 

두메애기풀

 

이명:[조선영신초] [두메영신초]

학명:Polygala sibirica L.

분류군:Polygalaceae(원지과)

일명:オオヒメハギ(O-hime-hagi)

영명:Siberian Milkwort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엽병은 없거나 짧고 길이 1-2cm, 3-6mm로서 1맥이 있다. 잎 앞뒷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열매

삭과는 길이 6mm, 5mm로 편평한 원형이며 끝이 오목하고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종자는 난형으로 길이 2-3mm의 흑갈색이며 백색 융모가 밀생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6mm정도로서 자주색이며 총상화서는 짧고 꽃이 약간 달리며 화축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6mm로 털이 있으며 처진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뒤의 것 1개와 밑의 것 2개는 선형이며 녹색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뒷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옆의 것 2개는 꽃잎같고 타원형이며 길이 5mm, 나비 5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담록색이며 끝에 짧은 돌기가 있다. 꽃잎은 3개로 보라색인데 2개의 곁꽃잎은 길이 5-6mm이고 나머지 1개는 용골상 꽃잎으로 끝에 술모양의 부속물이 있다.

 

줄기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전체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줄기는 여럿이 뭉쳐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뿌리

뿌리는 지름 3mm가량의 원주형이며 겉이 회갈색으로 가로 주름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함경 남도 부전 고원 이북의 고산에 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30cm 정도로 자란다.

 

 

 

 

생육 환경

비탈 양지의 모래자갈 풀밭.

광선

양생

 

이용방안

원지, 두메애기풀의 근()遠志(원지), ()小草(소초)라 하며 약용한다.

 

遠志(원지)

 

봄에는 싹이 나오기 전, 가을에는 지상부분이 마른 다음 뿌리를 캐내어 그늘에서 또는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뿌리에는 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가수분해하면 원지 saponinA와 원지 saponinB 2종류의 saponin 결정체로 나누어진다.

약효 : 安神(안신), 益智(익지), 祛痰(거담), 解鬱(해울)의 효능이 있다. 驚悸(경계), 健忘(건망), 夢精(몽정), 不眠(불면), 咳嗽痰多(해수담다), 癰疽瘡腫(옹저창종) 등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이거나 술에 담가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小草(소초)

4-5월에 지상으로 나온 부분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淸水(청수)를 뿌려서 촉촉하게 하여 잘게 썰어서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약효 : 益精(익정), 補陰氣(보음기)의 효능이 있다. 일절 虛損(허손), 夢泄(몽설), 血中鬱熱(혈중울열), (두열불기)를 치료한다.

 

 

 

 

학명 Polygala sibirica L.

Sp. pl. p. 702 (1753)

1. Polygala japonica var. cinerascens Franch.

Bull. Soc. Bot. France p. 33 (189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Polygala sibirica var. latifolia Ledeb.

Fl. ross. 1: 269 (184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두메애기풀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두메영신초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2. 조선영신초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Siberian Milkwort

일본명 : オオヒメハギ

북한명 : 두메애기풀

 

 

 

Polygala sibirica L.

Sp. Pl. 2: 702. 1753 [1 May 1753]

2: 702 1753

Original Data:

Notes: As. temp. et tro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서백리아원지(西伯利亞遠志)

Polygala sibirica L.

 

 

多年生草本高達30厘米微被柔毛葉橢圓形至矩圓狀披針形1-2厘米3-6毫米花序腋外生最上一個假頂生通常高出莖的頂端具稍稀疏的花花藍紫色長約6毫米萼片宿存外輪3片小內輪2片花瓣狀花瓣3中間龍骨瓣背面頂部有撕裂成條的雞冠狀附屬物兩側花瓣下部1/3與花絲鞘貼生內面下部具短柔毛雄蕊8花絲下部2/3合生成鞘.蒴果近倒心形長約6毫米周圍具窄翅而疏生短睫毛種子2除假種皮外密被絹狀毛

 

分布於東北華北陝西甘肅青海華東華中華南西南蘇聯也有多生山坡草地根供藥用能化痰安神對慢性支氣管炎有作用

 

 

 

&&&&&&&&&&&&&&&&&&&&&&&&&&&&&&&&&&&&&&&&&&&&&&&&&&&&&&

 

원지/원지(遠志)

 

 

원지

 

이명:[실영신초] [아기원지]

학명:Polygala tenuifolia Willd.

분류군:Polygalaceae(원지과)

일명:イトヒメハギ(Ito-hime-hagi)

영명:Thinleaf Milkwort

漢名:遠志(멀 원, 뜻 지)

 

잎은 호생하며 길이 1.5-3cm, 나비 0.5-1mm로서 선형이다. 엽병이 없으며 다소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끝은 뾰족하다.

 

열매

삭과는 편평하고 2개로 갈라지며 털이 없고 종자에 털이 많다.

 

총상화서는 줄기와 가지의 끝에 발달하고 꽃이 드문드문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소화경은 길이 4mm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뒤의 것 1개와 밑의 것 2개는 선형이고 길이 2.5mm로서 녹색이며 양쪽 2개는 꽃잎 같고 길이 5mm, 나비 1.8mm로서 얇은 막질이다. 꽃잎은 윗부분이 벌어지며 밑부분이 합생하고 길이 6mm이며 밑의 것은 끝이 솔같이 갈라진다.

 

줄기

뿌리 선단에서 가는 줄기가 여러 개로 나고, 가지가 많다.

 

뿌리

뿌리는 굵고 길며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 있는 약간의 꼬부라진 털을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다. 뿌리를 원지(遠志)라고 하며 약용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 한국(경상북도 안동시, 영주시)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30cm 정도이다.

희귀, 특산식물 정보

[멸종위기종]

평가내용:멸종위기종 / 국가단위

 

 

생육 환경

우리 나라 기후에 알맞은 식물로서 전국 각지에 재배된다. 토질은 겉흙이 깊고 부식질이 많은 땅과 진흙땅이 좋다.

광선

양생

토양

비옥

/번식방법

씨앗으로 번식한다.

직파법: 씨앗은 2년생 이상 포기에서 채종해야 한다. 익은 것부터 손으로 비벼서 떨어 모아 1~2가량 그늘에서 말린 다음 건조하지 않도록 묻어 둔다. 이듬해 봄 충실한 씨만 모아서 그늘에 말린 다음 파종한다.

육묘 이식법: 모판은 4월 상순경에 90cm의 두둑에 씨를 뿌린 후 흙을 엷게 덮고 짚을 깔아 준다. 가을 또는 봄에 본밭에 심는다.

결실기

7, 8, 9

이용방안

원지, 두메애기풀의 근()遠志(원지), ()小草(소초)라 하며 약용한다.

遠志(원지)

봄에는 싹이 나오기 전, 가을에는 지상부분이 마른 다음 뿌리를 캐내어 그늘에서 또는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뿌리에는 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가수분해하면 원지 saponinA와 원지saponinB 2종류의 saponin 결정체로 나누어진다.

약효 : 安神(안신), 益智(익지), 祛痰(거담), 解鬱(해울)의 효능이 있다. 驚悸(경계), 健忘(건망), 夢精(몽정), 不眠(불면), 咳嗽痰多(해수담다), 癰疽瘡腫(옹저창종) 등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이거나 술에 담가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小草(소초)

4-5월에 지상으로 나온 부분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淸水(청수)를 뿌려서 촉촉하게 하여 잘게 썰어서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약효 : 益精(익정), 補陰氣(보음기)의 효능이 있다. 일절 虛損(허손), 夢泄(몽설), 血中鬱熱(혈중울열), 痘熱不起(두열불기)를 치료한다.

보호방안

자생지가 10곳 미만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학명 Polygala tenuifolia Willd.

Sp. pl. p. 879 (1753)

1. Polygala sibirica var. angustiflia Ledeb.

Fl. ross. 1: 269 (184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Polygala sibirica var. stricta Debeaux

Act. Soc. Linn. Bordeaux 31 : 123 (187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Polygala sibirica var. tenuifolia (Willd.) Chodat

Mem. Soc. Phys. Geneve 31-2: 348 (189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원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실영신초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아기원지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영문명 : Thinleaf Milkwort

일본명 : イトヒメハギ

북한명 : 원지

 

Polygala tenuifolia Willd.

Sp. Pl., ed. 4 [Willdenow] 3(2): 879. 1802 [1-10 Nov 1802]

3(2): 879 1802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원지(遠志)

Polygala tenuifolia Willd.

 

 

이명(異名)

 

Polygala sibirica var. angustifolia Ledeb.

Polygala sibirica var. tenuifolia (Willd.) Backer et Moore

 

 

與西伯利亞遠志極近似主要區別在於葉條形1-3厘米1.5-3毫米總狀花序具較稀疏的花蒴果無睫毛

 

分布於東北華北山東陝西甘肅蘇聯也有多生長在山坡草地或路旁根供藥用能化痰安神對慢性支氣管炎有作用另一西伯利亞遠志的近似種瓜子金

 

P. japonica Houtt.在我國分布亦較廣東北華北華東華中華南西南陝西);和西伯利亞遠志的主要區別在於最上一個花序低於莖的頂端蒴果具較寬的翅而無睫毛根供藥用能活血散瘀止咳化痰

 

 

^^^^^^^^^^^^^^^^^^^^^^^^^^^^^^^^^^^^^^^^^^^^^^^^^^^^^^^^^^^^^^^^^^^^^^^^^^^^

遠志

 

味苦溫

 

主欬逆傷中補不足除邪氣利九竅益智慧耳目聰明不忘強志倍力久服輕身不老葉名小草一名棘菀陸德明爾雅音義引作莧),一名棘繞(《禦覽作要繞),一名細草生川穀

 

名醫生太山及冤句四月採根葉陰乾

 

說文棘蒬也;《廣雅蕀苑遠志也其上謂之小草;《爾雅蕀蒬郭璞雲今遠志也似麻黃赤華葉銳而黃

 

 

[本經/上經]

 

 

^^^^^^^^^^^^^^^^^^^^^^^^^^^^^^^^^^^^^^^^^^^^^^^^^^^^^^^^^^^^^^^^^^^^^^^^^^^^

 

遠志

 

원지(遠志)

 

 

아기플불휘性溫味苦無毒

 

()은 온()하고 미()는 고()하며 무독(無毒)하다.

 

 

益智慧令耳目聰明不忘強志定心氣止驚悸療健忘安魂魄令人不迷惑

 

지혜(智慧)를 익()하고, 이목(耳目)을 총명(聰明)하게 하며, 불망(不忘)하고, 강지(強志)하며, 심기(心氣)를 안정(安定)한다. 경계(驚悸)를 멎게 하고, 건망(健忘)을 치료(治療)하며, 혼백(魂魄)을 안정(安定)시키고, 사람을 미혹(迷惑)하지 않게 한다.

 


生山中葉如麻黃而靑根黃色四月九月採根葉暴乾本草


산중(山中)에서 생()한다. ()은 마황(麻黃)과 비슷하고 푸르며 근()은 황색(黃色)이다. 사월(四月), 구월(九月)에 채근(採根)하고, ()은 폭건(暴乾)한다.[본초].

 


先用甘草水煮過去骨以薑汁拌炒用得效

 

먼저 거골(去骨)하고, 감초탕(甘草湯)에 침()하고, 강즙(薑汁)에 축여 초용(炒用)한다.[득효].

 

 

 

@

 

원지엽(遠志葉)

 

 

名小草主益精止虛損夢泄本草

 

 

소초(小草)라고도 하는데 익정(益精)하고, 허손몽설(虛損夢泄)을 멎게 한다.[본초].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