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향(麝香)[본경/동의보감]

2024. 3. 29. 01:10[신농본초경]/상경(上經)

사향(麝香)[본경/동의보감]

 

 

 

 

 

사향노루

 

학명:Moschus moschiferus Linnaeus

분류균:사향노루과 Moschidae

 

 

문명척색동물문 chordate

강명포유강 Mammalia

목명우제목 Artiodactyla

과명사향노루과 Moschidae

속명사향노루속 Moschus

 

 

생태적 특징

 

바위가 많고 1,000m 이상 되는 높은 산의 침엽수림 또는 침엽수나 활엽수가 혼재하는 숲에서 단독이나 작은 집단을 형성하여 생활한다.

 

 

일반적 특징

 

고라니와 비슷하며, 수컷은 약 50mm나 되는 송곳니가 입 밖으로 약간 나와 있다. 매우 짧은 꼬리는 겉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사향노루

 

유형 동식물

성격 동물, 노루

학명 Moschus moschiferus parvipes HOLLISTER

생물학적 분류 사슴과

서식지/소재지 전라남도 목포

외형(크기|길이|높이) 몸통길이 6587, 꼬리길이 34, 귀길이 7.510.5

출산/개화시기 11~12(교미)

천연기념물(보호수)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216

천연기념물(보호수) 지정일 19681120

 

 

개설

 

천연기념물 제216. 학명은 Moschus moschiferus parvipes HOLLISTER이다. 외견상 고라니와 비슷하나 고라니보다 작고, 네 다리와 발굽도 작다.

 

꼬리는 겉으로 보이지 않으며, 뿔이 없다. 몸통길이는 6587, 꼬리길이는 34, 귀길이는 7.510.5이다. 털은 물결 모양으로 파도상을 이루고 털의 길이는 몸통 부위가 86, 배 부위는 62정도이다.

 

다리의 털은 짧으며 솜털이 없다. 털의 빛깔은 진한 다갈색이나 약 3분의 1은 백색이며 눈 주위와 양쪽 볼은 털 끝만이 백색이다. 아래턱 밑은 회백색이고 윗목에는 흰 띠가 가로로 흐른다. 목 좌우에는 너비 약 20의 흰 띠무늬가 있는데 이것은 앞가슴을 지나 앞다리 안쪽까지 내려간다.

 

뒤 허벅다리 안쪽도 흰색을 띠며 배의 빛깔은 연하다. 네 발은 광택이 있는 다갈색이고 발쪽은 흑갈색이다.

 

생태

 

11, 12월에 교미하며 임신기간은 5, 6개월이고 한 배에 한두 마리를 낳는다. 교미기에는 암컷을 유인하기 위하여 사향선(麝香腺)이 발달하여 사향의 분비량이 많아진다. 사향선은 지름 45의 원추형으로 수컷의 생식기 주변에 있는데, 이를 잘라내어 건조해서 상품으로 삼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사향을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에서는 상약에 소속시키고 진정·강심에 효능이 있다고 하였다. 사향은 호흡기능·혈액순환을 돕고 소량으로는 뇌의 작용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한의학에서는 여러 기관의 쇠약·실신에 쓰이고 특히 흥분약·회소약(回蘇藥다시 살아나는 데 쓰는 약)으로 허탈·빈사상태를 구하는 데 쓰인다. 우리 나라의 우황청심환, 일본에서 만든 어린이 경기약인 기응환, 중국의 영약이라는 편자광 등의 주재료가 바로 사향이다.

 

, 사향은 미약(媚藥)의 조정원료(調整原料)가 되기도 하고 향기가 좋아 예로부터 향약·분향 등으로 사용되었다. 사향의 향기는 매우 지속적이며, 향료 서로의 냄새를 조합시켜 주는 뛰어난 능력이 있다.

 

, 향료의 보류제로서의 능력도 뛰어나다. 보류제는 조합된 향료나 향수에 있어서 휘발되기 쉬운 성분의 휘발도를 억제하는 것이다.

 

현황우리 나라에서는 바위가 많은 침엽수림이나 혼효림에서 살며 평지에서는 보기 어렵다. 전라남도 목포를 기산지로 하여 우리 나라 전역에서 포획되었는데, 남획(濫獲)으로 점차 줄어들었고, 최근 생태계의 파괴로 인하여 절종위기에 처하였다. 따라서,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해 오고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향

 

 

 

천연 동물성 향료로 무스크라고도 한다. 중국의 윈난성[雲南省쓰촨성[四川省] 시짱(티베트)자치구 등의 높은 산지에서 사는 사향노루의 사향선()을 건조시켜 얻는 분비물이다. 사향은 옛날부터 생약으로서 강심·흥분·진경제(鎭痙劑), 또 기절하였을 때 정신이 들게 하는 약으로 내복되었다.

 

 

 

 

 

무스크라고도 한다. 중국의 윈난성[雲南省] ·쓰촨성[四川省] 시짱(티베트)자치구 등의 높은 산지에서 사는 사향노루의 사향선()을 건조시켜 얻는 분비물인데, 사향선은 사향노루 수컷의 배와 배꼽의 뒤쪽 피하에 있는 향낭(香囊) 속에 있으며, 생식기에 딸려 있다. 향낭은 크기가 달걀만하고 무게가 약 30g인 피낭(皮囊)이며, 잘라서 건조시키면 분비물이 약간 축축한 자갈색의 분말 모양으로 굳어지는데, 때로는 알갱이처럼 된 것[當門子]도 섞여 있다. 강렬한 암모니아성의 사향 같지 않은 향기가 나는데, 이것을 묽게 하면 향기로운 냄새가 난다. 사향의 성분은 무색의 기름 같은 액체 무스콘(muscone:麝香精)이며, 알코올에 녹여서 추출한다.

 

사향은 옛날부터 생약으로서 강심 ·흥분 ·진경제(鎭痙劑), 또 기절하였을 때 정신이 들게 하는 약으로 내복되었다. 그러나 값비싸기 때문에 위조품이 많은데, 비슷한 향기를 내는 인조사향의 성분은 전혀 별개의 것이다. 한편, 사향고양이의 사향선은 암컷 ·수컷 모두 사타구니의 향낭 속에 있으며, 분비액은 시벳(civet)이라 하여 구별하고 있다.

 

 

네이버백과

 

 

 

 

사향노루 [麝香, musk deer]

 

 

 

중앙아시아에서 시베리아에 걸쳐 분포하는 사슴과의 포유류.

 

계 동물

문 척색동물

강 포유류

목 소목

과 사슴과

멸종위기등급 취약

생활양식 단독 또는 1쌍으로 생활

크기 몸길이 약 87.5, 어깨높이 5060, 꼬리길이 약 27, 몸무게 911

 

 

 

천연기념물 제216호로 지정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로 험준한 경사지나 절벽을 수월하게 잘 달린다. 배쪽에 사향샘이 있어 사향 냄새가 난다.

 

 

 

 

몸길이 약 87.5, 어깨높이 5060, 꼬리길이 약 27, 몸무게 911이다. 19681120일 천연기념물 제216호로 지정되었다. 비교적 크기가 작은 사슴으로 뿔은 암수 모두에게 없고, 위턱의 송곳니가 길게 자라서 입 밖으로 나와 있다. 몸빛깔은 어두운 갈색이나 계절에 따라 다르다.

 

해발고도 2,6003,000m의 고지대에서 단독 또는 1쌍으로 생활한다. 주로 지의류··관목들의 어린 싹이나 잎을 먹는다. 후각은 둔한 반면, 청각·시각이 발달되어 있어 전망이 좋은 지점에서는 멀리서도 쉽게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대단히 험준한 경사지나 절벽을 수월하게 달리는 산지동물이다. 천적은 사람 외에 참수리·여우·스라소니이다.

 

배쪽에 사향샘이 있는데, 보통 생후 3년이 넘은 수컷에게서 발달되며, 한 마리에서 2830g의 사향을 채취할 수 있다. 뿔 모양의 사향은 잘라 말려서 상품화하는데, 호흡기능을 돕고 혈액순환과 뇌의 작용을 증진시킨다. 또 향기가 좋아 향약·분향 등으로도 사용된다. 번식기는 121월이며, 160일의 임신기간이 지난 후 한배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한국·중국·중앙아시아·사할린섬·시베리아·몽골(서부)에 분포한다.

 

 

 

 

출처: 두산백과

 

 

 

천연기념물 제216

명 칭 사향노루 (사향노루)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생활

수량/면적

지정(등록)1968.11.20

소 재 지 기타 전국 일원

 

 

사향노루는 사슴과 중에서도 가장 원시적인 동물로 한국, 중국, 중앙아시아, 사할린, 시베리아, 몽고 등지에 분포한다. 몸길이 6587, 75105로 암수 모두 뿔이 없고, 위턱의 송곳니는 길게 자라서 입밖으로 튀어나와 있다. 귀는 비교적 크고 다리는 짧으며, 발굽이 작고 꼬리가 매우 짧아 겉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몸의 털색은 전체적으로 물결모양의 다갈색이고, 흰색 띠가 두 눈으로부터 목의 좌우, 앞가슴을 지나 앞다리 안쪽까지 내려가 있다.

 

대개 바위가 많은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산에서 서식하며, 바위나 나무껍질에 붙어사는 식물과 풀, 키가 작은 나무의 어린 싹과 잎, 열매 등을 먹는다. 12마리의 새끼를 낳고, 단독 또는 암컷이 새끼와 함께 생활한다. 청각과 시각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겁이 많은 편이다.

 

배쪽에 사향주머니가 있는 수컷은, 교미시기에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이곳에서 냄새를 풍긴다. 사향은 동물성 향료 및 약재로 가장 비싸게 쓰이기 때문에 마구 잡아 들여서 현재는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사향노루는 계속되는 사냥과 생태계 파괴로 인해 멸종위기에 있는 동물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분포(分布) 만주, 동부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지역과 우리나라의 전남 목포, 강원도 인제, 평남 덕천, 영원, 평북 영변, 묘향산, 천마산, 자강도, 양강도, 함경남북도, 개성 등 목포에서 백두산에 이르기까지 전국의 산지에 분포(分布)되어 있다.

 

형태(形態) 외부 형태는 고라니와 비슷하며 수컷에서는 약 50나 되는 송곳니가 입밖으로 약간 나와 있다. 그러나 몸의 크기와 발굽이 작고 네 다리가 짧으며, 매우 짧은 꼬리는 겉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몸의 색상 또한 짙어 몸 윗면은 암흑갈색(暗黑褐色)을 띤다. 목뒤에서 허리에 걸쳐 유백색의 무늬가 섞여 있고, 몸의 아랫면은 갈색(褐色)과 백색(白色)이 섞여 있다. 두 눈 주위, 양 뺨, 귓등 부분(部分)의 털끝은 희끄무레하게 보이며, 아래턱 아래는 회백색(灰白色), 귓속은 순백색(純白色)이다. 백색(白色) 줄이 두 눈으로부터 목의 좌우, 앞가슴을 지나 앞다리 안쪽까지 내려가 있다. 꼬리는 대체로 암흑갈색(暗黑褐色)이지만 아랫부분에는 백색(白色)이 섞여 있다. 몸통 650-870, 꼬리 30-40, 75-105, 뒷발 230-260, 어깨높이 약 500, 치식은 34이다.

 

생태(生態) 바위가 많고 1,000m 이상되는 높은 산의 침엽수림(針葉樹林) 또는 침엽활엽수(針葉闊葉樹) 혼성림(混成林)에서 산다. 먹이는 주로 지의류(地衣類)이며 초본, 관목, 교목들의 어린싹과 잎, 각종 열매를 먹는다. 험한 바위 사이나 눈 위에서도 잘 뛰며 시각(視覺)과 청각(聽覺)이 잘 발달되었고 겁이 많다. 교미시기(交尾時期)12월 상순부터 1월 상순이지만 수컷은 암컷을 11월 하순부터 추적(追跡)한다. 이 시기에는 수컷에 사향선(麝香線)이 발달하여 향기가 나는데 이는 암컷을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미가 끝나면 암수는 각각 헤어지며 암컷은 어린 새끼와 같이 산다. 임신기간은 5-6개월이며 한 번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현황(現況) 위기종이다. 전남 목포에서 백두산에 이르기까지 전역에서 분산적으로 소수가 밀렵되어 왔으나 점차 감소되어 최근에는 절종의 위기에 처해 버렸다. 1965년 충남 예산에서 1마리, 전남 구례에서 1마리()(현재 구례 삼성당 한약방 소장), 강원도 화천, 홍천에서 밀렵되었고 19716월 충북 영동에서 수컷 1마리, 19711018일 경기도 고양시에서 수컷 1마리가 창경원에 입원(入苑)되었으나 1972년 폐사하였다. 1973년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과 고성군 건봉산에서 발견된 기록(백남극, 1970)이 있고 1970년 강원도 화천군 동면 수상리에서 1마리가 확인되었으며 평화의 댐 부근에서도 눈에 띈다고 한다. 1968-1970년 강원도 소금강에서 3마리가 사살(원병오)되었고, 19751215-1976115일 사이에 강원도 홍천군 내면 자운 4리에서 거주하는 박상기외 5인이 평창군 봉평면 속칭 보래령에서 암컷 4마리와 수컷 1마리를 포획하여 입건된 바 있다. 198712월에는 소금강의 삼산 4(구지리 김훈일)에서 1마리를 생포하여 방사한 바 있다(우한정, 1990).

 

 

출처 문화재청

 

원사(原麝)

 

Moschus moschiferus Linnaeus,1758

 

 

 

형태특정(形態特征)

  一種小型的偶蹄類動物體長爲8095厘米尾長僅有35厘米肩高5060厘米體重813千克頭上沒有角也沒有上門齒下犬齒呈門狀並與6枚門齒連成鏟狀雄獸有一對獠牙狀的上犬齒一般爲56厘米露出唇外身體的毛色爲黑褐色背部隱約有六行肉桂黃色的斑點頸部兩側至腋部有兩條明顯的白色或淺棕色縱紋從喉部一直延伸到腋下腹部毛色較淺毛粗而髓腔大毛被厚密但較易脫落頭和面部較狹長吻部裸露與面部都呈棕灰色耳長大而直立短短的尾巴藏在毛下四肢很細後肢特別長站立時臀高於肩蹄子窄而尖懸蹄發達非常適合疾跑和跳躍。   原麝終生具有肉桂黃色或橘黃色斑點這與馬麝林麝差別較明顯東北原麝身長85 厘米左右肩高5560 厘米體重812 千克全身顯暗褐色成年個體呈現肉桂黃色斑點多排列成6 安徽原麝大小與林麝相仿體長6580 厘米肩高小於50 厘米體重812 千克全身呈灰褐色體背及體側的毛色較深腹部及四肢上部內側毛色淡後肢下部後側的毛近於黑色額及耳背呈灰黑色耳殼邊緣黑褐色耳內爲白色頜及喉白色向兩頰伸延向下沿頸部兩側在胸前連成環狀中央仍爲灰褐色在頸後兩側有兩個白色斑點12 歲的幼麝體背有橫向的橘黃色斑紋自肩至臀有13 成年麝斑紋逐漸消退變斑點排列成了縱行股側及近腹處有梅花斑腰及臀部的斑點沒有行次之分

原麝(15)

 

생활배경(生活環境)

  東北原麝棲息於北方大面積的針闊混交林內食地衣苔醉雜草及樹木的嫩枝葉等安徽原麝棲息於海拔1 500 米以下的針闊葉混交林中其活動區域隨季節的交替也有所變遷春季在低山陽坡灌叢中夏在高山石崖邊冬在陽坡溫暖處或樹林中初生仔麝全身被覆有棕黃色斑紋隨年齡的增長和被毛的脫換而呈現橘黃色斑點其他均與林麝相似

 

 

 

 

생활습성(生活習性)

  原麝一般雌雄分居營獨居生活而雌獸常與幼麝在一起以晨昏活動頻繁有相對固定的巡行覓食路線通常只在標定的範圍內活動在雄麝臥棲處常留有濃鬱的麝香味視覺與聽覺靈敏性怯懦爲植物食性原麝所食的植物種類十分廣泛包括低等的地衣苔蘚和數百種高等植物的根果實種子等冬季食物較少時還啃食樹皮。   原麝的性情孤獨膽怯而機警常年生活在山地的闊葉林灌木林針闊葉混交林和針葉林中有時隨季節的不同作垂性的遷移。   原麝的食量很小每天只吃1000克左右的食物但所食的植物種類卻很廣泛包括低等的地衣苔蘚和數百種高等植物的根果實和種子等冬季食物較少時還啃食樹皮飲水在山間小溪或小河邊冬季封凍後還常常舔食積雪。   每只原麝的居住和取食的區域範圍一般在1015公頃左右隨山體高低植被疏密種群大小地勢走向的不同而有所變化多在各自的居住地段內沿著一定的路線行走采食還有固定的排泄糞便的場所和遮蓋糞便的習慣它還常用尾脂腺分泌的油脂塗抹在樹樁上既作爲劃定領域的標記又作爲彼此聯絡的信息。   原麝雄獸平時的神態是精神抖擻威風凜凜雌獸則較溫和靦腆灑脫可愛它很少發出叫聲即使出現敵害或發生異常現象也只是從鼻孔裏發出短促的噴氣聲以表示自己的不滿和抗議當然在它們不幸被捕獲時也會拼命地大叫有趣的是它在逃脫追捕之後的幾天之內往往還會回到該地人們對這種固執的懷戀故土的情感稱之爲舍命不舍山

 

 

번식습성(繁殖習性)

 

  每當冬季來臨日照縮短氣溫下降原麝就進入了繁殖期它是季節性多次發情動物雌獸在一個發情季節內可以出現多次性周期一般爲1320每次發情持續2436小時發情期間常由一只雄獸和35只雌獸組成一個配種群如果交配後受孕雌獸就不再發情也不接受交配雌獸發情的初期表現不安不停地走動此時如果有雄獸追趕則逃跑或用臀部接觸地面拒絕交配到了發情的盛期雌獸則發出低沉的嗯一嗯一的求偶聲並主動接近雄獸有時將臀部移向雄獸的頭部讓其交配。   雌獸的懷孕期爲175189幼仔在57月出生一般一胎生12臨產前35雌獸的活動減少行動穩重臨產12小時則表現不安尿頻行動極爲謹慎產門常一舒一張隨即將腰背弓起子宮做交替收縮尋找僻靜的地方分娩。   初生的幼仔體長爲19厘米體重爲350820身體爲深棕色有許多白色的斑點數月後逐漸隱腿幼仔被毛幹燥以後就能站立蹣跚而行然後就開始吸乳先用頭和嘴數次觸動乳房後接著用嘴銜住乳頭吸吮乳汁有時還用前肢交替踢打乳房這是一種刺激方式有助於泌乳同時發出咪咪的叫聲此時雌獸還經常舔食幼仔的肛門外陰部和臀尾部幼仔在出生後的1個月內極少活動除雌獸每天定時走來喂奶外整天伏臥在林中隱蔽的地方只要敵害不直接觸到它的身體即使近在咫尺它們也仍然一動不動大約3月齡時雌獸就離開幼仔讓它們獨立生活原麝1.52歲時性成熟壽命爲1215

 

 

 

&&&&&&&&&&&&&&&&&&&&&&&&&&&&&&&&&&&&&&&&&&&&&&&&&&&&&

 

 

난쟁이사향노루/사향(麝香)

 

 

난쟁이사향노루 (Moschus berezovskii)

 

1.Moschus berezovskii Flerov,1929 림사(林麝)

 

 

외형특정(外形特征)

  

林麝是麝屬中體型最小的一種體長70厘米左右肩高47厘米體重7千克左右雌雄均無角耳長直立端部稍圓雄麝上犬齒發達向後下方彎曲伸出唇外腹部生殖器前有麝香囊尾粗短尾脂腺發達四肢細長後肢長於前肢體毛粗硬色深呈橄欖褐色並染以橘紅色下頜喉部頸下以至前胸問爲界限分明的白色或橘黃色區臀部毛色近黑色成體不具斑點有人認爲它是原麝的一個亞種。   麝還有一個特征是尾巴短雄麝幼小時的尾巴正常成體時卻變成禿尾裸露無毛這是因爲麝尾富有腺體能分泌乳白色液體麝將分泌物擦於樹幹樹樁等處以作領域標識

 

 

생활배경(生活環境)

  

主要棲於針闊混交林也適於在針葉林和鬱閉度較差的闊葉林的生境生活棲息高度可達20003800但低海拔環境也能生存

 

 

생활습성(生活習性)

 

性情膽怯過獨居生活嗅覺靈敏行動輕快敏捷隨氣候和飼料的變化垂直遷移食物多以灌木嫩枝葉爲主發情交配多在1112月份在此期間雌雄合群雄性間發生激烈的爭偶毆鬥雄麝所產麝香是名貴的中藥材和高級香料。   其獨特處是雄性上犬齒特別發達猶如獠牙鋒利異常長達十厘米上犬齒是雄麝唯一的武器但也只能在同類中派上用場在發情爭偶季節雄麝間爭偶決鬥便以獠牙撕裂對手的皮肉但無法對付食肉獸甚至小型食肉動物來襲也難以抵禦。   

 

麝的後肢長度遠超前肢站立時後高前低後腿發達蹄尖堅實能於山崖峭壁之間蹦跳自如碰上食肉獸追捕可逃之夭夭在多岩高山棲息的森林動物就是要靠這種本領求生存。   

 

林麝屬於典型的山地動物不棲息深山老林多分布於松櫟陽坡山地和疏林草坡上夜行性多在黃昏和夜間活動覓食它性情怯懦孤獨很少成群結夥還喜涼爽怕曝曬避暑熱行動敏捷善爬懸岩陡壁喜食苔蘚苔草竹葉蕨草及芳香性樹葉嫩枝在人工飼養條件下白天多臥於舍內牆角或僻淨處反芻打盹

 

 

생장번식(生長繁殖)

  

麝於秋冬發情發情交配多在1112月份在此期間雌雄合群雄性間發生激烈的爭偶毆鬥雌麝發情周期爲1525孕期176183春夏產仔孕期6個月每胎13但據向長興報道廣西林麝大多每胎1。   一歲雄麝開始泌香三至十歲時泌香量最高麝香其實是膽小懦怯性情孤獨的雄麝麝腺的分泌物麝香香氣醇濃經久不散早已聞名於世既是配制高級香水香精的定香劑又是刺激中樞神經系統的興奮劑用來配制多種蘇醒和強心等急救藥物具有極高的經濟和藥用價值

 

 

인공번식(人工繁殖)

 

  

多年來有人爲了獲取麝香任意捕獵致使麝的數量明顯下降爲保護這項 林麝

資源除采取保護措施外還開展了馴化飼養的研究。   

 

上海華東師範大學生命科學學院對飼養在上海崇明島東平林場的林麝存活情況進行的研究表明:   

 

1林麝的死亡主要發生在幼麝時期從不同年齡段性比變化來看由於雌幼麝比雄幼麝具有更高的存活率進入亞成體以後雄性比例逐漸下降顯示幼麝時期存在偏雄性死亡早出生幼麝的存活率明顯高於晚出生幼麝引起幼麝死亡的主要原因是疾病。   

 

2研究發現圈養林麝的哺乳行爲全部在白天。   

 

3哺乳期雌麝對雌幼麝比對雄幼麝有較多的投入(哺乳時間長)即雌幼麝比雄幼麝獲得更多的營養(母乳)是造成雌幼麝比雄幼麝存活率高的主要原因因爲營養不良不僅直接導致幼麝死亡更重要的是造成幼麝對外界不利條件的抵抗力下降進而感染疾病死亡。   (4幼麝出生時間的早晚是由繁殖群體中雌麝的社會等級序位所決定的社會等級序位高的雌麝營養狀況較好其後代出生時間早存活率高社會等級序位低的雌麝營養狀況較差其後代出生時間晚存活率低早出生的幼麝比晚出生幼麝存活率高的原因一方面受到雌麝營養狀況的影響另一方面可能也受到幼麝出生後天氣條件的影響

 

 

&&&&&&&&&&&&&&&&&&&&&&&&&&&&&&&&&&&&&&&&&&&&&&&&&&&

 

 

 

산사향노루/사향(麝香)

 

산사향노루 Moschus chrysogaster Hodgson

 

 

 

2.

Moschus chrysogaster (Hodgson,1839) 마사(馬麝)

 

 

마사(馬麝)

Moschus sifanicus

 

 

主要棲息在海拔2000-4500米之間的高山草甸灌叢或林緣裸岩山地最高記錄爲海拔5050性情孤獨大多單獨活動活動路線一般不輕易改變就連雨後道路受到溪水的阻礙也不會去尋找捷徑而是盡力涉水而過只有冬季道路冰封時才不得不繞道而行主要以山柳杜鵑珠芽蓼等植物的葉花和種子爲食

 

 

형태특정(形態特征)

  馬麝是體型最大的一種麝體長8090厘米肩高55厘米體重1015千克鼻端無毛黑色全身呈沙黃淡褐色成體背面具隱約斑點頸吻不顯臀與背顏色一致。   我國麝類資源豐富有林麝馬麝原麝黑麝和喜馬拉雅麝等5原麝和馬麝體較大淺褐色只有原麝全身具白斑點原麝分布於東北華北馬麝見於青藏高原及鄰近各省林麝數量多長江流域及以南各省區均有分布

 

 

습성급생경(習性及生境)

 

  

麝棲居於山林多在拂曉或黃昏後活動聽覺嗅覺均發達白晝靜臥灌叢下或僻靜陰暗處食量小吃菊科薔薇科植物的嫩枝葉地衣苔蘚等特別喜食松或杉樹上的松蘿營獨居生活頗警覺行動敏捷喜攀登懸崖常居高以避敵害喜跳躍能平地起跳2米的高度雄麝利用發達的尾腺將分泌物塗抹在樹樁岩石上標記領域在領域內活動常循一定路線臥處和便溺均有固定場所棲息在某一領域的麝不肯輕易離開即使被迫逃走也往往重返故地夏末上高山避暑每年垂直性遷徙約兩個月然後重返舊巢。   棲息在高山草甸裸岩山地靠山脊灌叢或草叢等地善於奔越懸崖峭壁活動排便及棲息地都有固定的路線與場所舍命不舍山之說國內有養殖壽命1215

 

 

번식습성(繁殖習性)

 

  

馬麝每年11月下旬至翌年1月上旬發情交配雄獸之間常用獠牙進行爭鬥雌獸於5-6月在濃密的灌叢中生產每胎產1-2偶爾爲3冬季發情交配懷孕期半年幼麝 1.5歲即達性成熟

 

 

 

^^^^^^^^^^^^^^^^^^^^^^^^^^^^^^^^^^^^^^^^^^^^^^^^^^^^^^^^^^^^^^^^^^^^^^^^^^^^^^

 

麝香

 

味辛溫

 

主辟惡氣殺鬼精物溫瘧蠱毒癇痓去三蟲久服除邪不夢寤厭寐生川穀

 

名醫生中台及益州雍州山中春風取之生者益良

說文麝如小麋臍有香黑色獐也(《禦覽引多三字)。《爾雅麝父麋足郭璞雲腳似麋有香

 

 

[本經/上經]

 

^^^^^^^^^^^^^^^^^^^^^^^^^^^^^^^^^^^^^^^^^^^^^^^^^^^^^^^^^^^^^^^^^^^^^^^^^^^^^^

 

 

 

麝香

 

 

국놀의性溫味辛苦無毒

 

()은 온()하고 미()는 신(), ()하며 무독(無毒)하다.

 

 

主辟惡氣鎭心安神療溫瘧蠱毒癎痓中惡心腹痛去目中膚瞖能蝕一切癰瘡膿治婦人産難墮胎小兒驚癎客忤[本草]

 

악기(惡氣)를 피()하고 진심(鎭心), 안신(安神)하는데 주효(主效)하다. 온학(溫瘧), 고독(蠱毒), 간질(癎疾), 중악(中惡), 심복통(心腹痛)을 요()하며, 목중(目中)의 부예(膚翳)를 제거(除去)하고 능()히 일체(一切)의 옹창농수(癰瘡膿水)를 식()한다. 부인(婦人)의 산난(産難), 타태(墮胎), 소아(小兒)의 경간(驚癎), 객오(客忤)를 치()한다.[본초].

 

 

 

除百邪鬼魅殺三蟲[本草]

 

백사(百邪), 귀매(鬼魅)를 제()하고 삼충(三蟲)을 살()한다.[본초].

 

 

 

麝香入脾治肉[綱目]

 

사향(麝香)은 비()로 들어가 육병(肉病)을 치()한다.[강목].

 

 

麝雖溫然性屬陰能化陽通腠理[直指小兒]

 

()는 성()이 온()하나 음()에 속한다. 그러나 능()히 양()으로 화()하여 주리(腠理)를 통()한다.[직지소아].

 

 

麝香通關透竅上達肌膚內入骨髓與龍腦相同而香竄過之[入門]

 

사향(麝香) 통관(通關)하고, ()를 투()하여 상()으로 기부(肌膚)에 달()하고 내()로는 골수(骨髓)에 들어가는가. 용뇌(龍腦)와 같으나 향기와 뚫고 들어가는 기운은 용뇌(龍腦)보다 더 세다[입문].

 

 

 

麝能引藥透達[直指]

 

사향(麝香)은 다른 약 기운을 이끌고 뚫고 들어간다[직지].

 

 

春分取之生者益良其香正在麝陰莖前皮內別有膜裹之[本草]

 

춘분 때 채취한 생것이 더 좋다. 사향이란 바로 사향노루 음경 앞의 가죽 속에 따로 막()이 씌워진 곳에 있는 것이다[본초].

 

 

 

麝有三種第一生香麝者夏食蛇蟲多至寒則香滿入春急痛自以爪剔出之落處遠近草木皆焦黃此極難得令人帶眞香過園中苽果皆不實此其驗也其次臍香乃捕得殺取者其次心結香乃被逐狂走而自斃者[本草]

 

()는 삼종(三種)이 있다. 그 첫째는 생향(生香)이다. 사향노루가 여름에 뱀과 벌레를 많이 먹으면 겨울에 가서 향이 가득 들어차게 된다. 그런데 봄이 되면 갑자기 아파서 사향노루가 발톱으로 긁어서 떨어지게 한다. 생향(生香)이 떨어진 부근의 풀과 나무는 다 누렇게 마른다. 생향(生香)을 얻기는 아주 어렵다. 진짜 사향을 가지고 오이나 과수밭을 지나면 열매가 달리지 않는다. 이것으로 진짜 사향을 알 수 있다. 둘째는 제향(臍香)인데 이것은 사향노루를 산 채로 잡아서 떼낸 것이다. 셋째는 심결향(心結香)인데 사향노루가 무엇에 쫓기어 미친 것같이 달아나다가 저절로 죽은 것에서 떼낸 것이다[본초].

 

 

 

麝香多僞破看一片毛共在裹中者爲勝且燒當門子沸良久者卽好破看麝內有顆子者卽當門子也[本草]

 

사향에는 가짜가 많으나 그것을 쪼개 보아 속에 털이 있는 것은 좀 나은 것이다. 사향의 당문자(當門子)를 태워 보아 부글부글 끓는 것이 좋은 것이다. 사향을 쪼개 보면 속에 알맹이가 있는 것도 있는데 이것을 당문자(當門子)라고 한다[본초].

 

 

凡用麝香並以子日開之不用苦細硏只篩用[本草]

 

사향은 자일(子日)에 쪼개서 쓰는데 아주 보드랍게 갈지 말고 채구멍으로 빠져 나갈 정도로 갈아서 써야 한다[본초].

 

 

麝一名四味臭[綱目]

 

사향은 일명 사미취(四味臭)라고도 한다[강목].

 

 

 

 

主小兒驚癎及客歑取當門子一粒朱砂相似細硏熟水和灌下本草

 

어린이의 경간(驚癎)과 객오(客忤)를 치료한다. 좋은 사향(司香)과 주사(朱砂)를 쌀알만한 것을 보드랍게 갈아서 끓인 물에 타 먹인다[본초].

 

 

療産難又催生墮胎令産易取麝香一錢水調下本草

 

난산을 치료하며 아이를 빨리 낳게도 하고 유산시키기도 하며 아이를 쉽게 낳게 한다. 사향(司香) 일전(一錢)을 물에 타 먹는다[본초].

 

 

抗惡氣殺鬼精物除百邪魅常帶身上妙又取少許和酒服本草

 

악기(惡氣)를 없애며 헛것의 정기를 죽이며 온갖 헛것을 없앤다. 늘 몸에 띠고 있으면 좋다. 또는 조금씩 술에 타 먹기도 한다[본초].

 

 

 

麝肉

 

사육(麝肉)

 

 

麝形似獐其肉食之似獐肉而腥氣麝啖蛇故能療蛇毒臍中有香除百病[本草]

 

 

()의 형상(形狀)은 장()과 흡사(恰似)하고 고기도 장육(獐肉)과 흡사(恰似)하면서 성기(腥氣)가 있다. ()는 뱀을 잡아 먹기 때문에 뱀독을 풀 수 있다. 사향노루 배꼽 속에는 사향이 있는데 이것으로 모든 병을 다 치료한다[본초].

 

 

水麝

 

수사(水麝)

 

 

臍中惟水瀝一滴於鬥水中用瀝衣直至敗其香不歇每取以鍼刺之撚雄黃則合香氣倍於肉麝[本草]

 

이 사향노루 배꼽 속에는 오직 물만이 들어 있는데 이 물 1방울을 물 1말에 떨어뜨려서 옷에 뿌리면 그 옷이 다 헤지도록 향기로운 냄새가 없어지지 않는다. 그 물을 빼낼 때에는 침()으로 찔러서 빼내야 한다. 그 다음 찌른 곳을 석웅황(雄黃)으로 비벼주면 곧 아문다. 이 물사향의 향기는 덩어리 사향(肉麝)보다 배나 된다[본초].

 

 

 

本國麝香出於鹹鏡平安兩地者爲好然不及於達子地方出者[俗方]

 

우리 나라의 사향은 함경도와 평안도의 것이 좋다. 그러나 달자(達子;시베리아) 지방의 것보다는 못하다[속방].

 

 

 

拱辰丹

 

공진단(拱辰丹)

 

 

凡男子方當壯年而眞氣猶怯此乃稟賦素弱非虛而然僭燥之藥尤宜速戒滋益之方 羣品稍衆藥力細微難見功效但固天元一氣使水升火降則五臟自和百病不生此方主之

 

대개 남자가 장년시기에 진기(眞氣)가 몹시 약한 것은 타고날 때부터 약하고 허한 것이 아니므로 성()이 조()한 약재를 쓰지 말아야 한다. 자익(滋益)의 방()들에 약품은 많으나 약력(藥力)이 세미(細微)하여 공효(功效)를 보기 어렵다. 다만 타고난 원기를 든든히 하여 신수와 심화가 잘 오르내리게 되면 오장(五臟)이 스스로 조화되고 온갖 병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이런 때에는 이 처방을 쓴다.

 

 

鹿茸曧灸當歸山茱萸各四兩麝香五錢嶽硏右爲末酒恪糊和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七十丸至百丸得效

 

 

녹용(鹿茸)(소자(酥炙/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 사량(四兩), 사향(麝香)(따로 간 것)오전(五錢). 위를 가루 내어 주호(酒糊)로 화()하여 오자대(梧子大) 크기로 환()을 만들어 온주(溫酒)나 염탕(鹽湯)으로 칠십(七十)~백환(百丸)씩 복용(服用)한다.[득효].

 

[동의보감(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상경(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황(地黄)[본경]  (0) 2024.05.22
세신(細辛)[본경/동의보감]  (0) 2024.04.29
녹각교[본경/동의보감]  (0) 2024.03.07
원지(遠志)[본경/동의보감]  (1) 2024.02.17
운실(雲實)[본경]  (1) 2024.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