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화근채(雙花堇菜)

2024. 3. 28. 02:24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약초

쌍화근채(雙花堇菜)

 

 

장백제비꽃/ 쌍화근채(雙花堇菜)

 

장백제비꽃

 

 

이명:[장백오랑캐] [장백노랑제비꽃]

학명: Viola biflora L.

분류군: Violaceae(제비꽃과)

일명:Kibanano-komano-tsume

 

잎은 3-4개이며 엽병은 길이 2-10cm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짧고 날개가 없으며 털이 없다. 탁엽은 녹색이며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3-5mm로서 연모가 다소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신은 신심형이고 길이 1-2cm, 1.5-3.5cm로서 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열매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4-7mm이고 털이 없으며 8월에 익는다.

 

화경은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2-5cm로서 중앙 또는 그 위에 포가 있고 꽃은 7월에 피며 길이 1cm정도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5mm로서 끝이 둔하며 부속체는 짧고 끝이 둥글며 밋밋하고 꽃잎은 길이 7-10mm로서 털이 없으며 순판에 갈색 맥줄이 있고 거()는 반원형으로 길이 1.5-2mm이다.

 

줄기

줄기는 가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뿌리

근경은 가늘고 짧으며 옆으로 뻗고 마디가 밀접해 있으며 수염뿌리가 내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몽골 / 한국(강원도 양양군, 인제군)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5-20cm 정도에 이른다.

희귀, 특산식물 정보

[멸종위기종]

평가내용:멸종위기종 / 국가단위

 

 

 

 

생육 환경

다소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란다.

침활혼성림, 고산대 툰드라.

 

결실기

8

 

이용방안

관상용. 뿌리를 최토(催吐), 꽃과 잎은 완화제, 꽃은 발한, 진통제로 쓴다.

 

보호방안

자생지가 1~2곳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다. 기후변화에 따른 자생지 환경악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학명 Viola biflora L.

Sp. pl. 936 (1753)

1. Viola kanoi Sasaki

Trans. Nat. Hist. Formos. 19 : 104

1)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vol. 51 (Wang)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Viola tayemonii Hayata

Icon. Pl. Formos. 5 : 3 (Hayata, 1916)

1)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vol. 51 (Wang)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장백제비꽃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조선식물명집 I-II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장백노랑제비꽃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2. 장백오랑캐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Viola biflora L.

Sp. Pl. 2: 936. 1753 [1 May 1753]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쌍화근채(雙花堇菜)

 

Viola biflora Linn.

 

이명(異名)

 

Viola biflora var. nudicaulis W. Becker

Viola biflora var. platyphylla Franch.

Viola nudicaulis (W. Becker) S. Y. Chen

Viola tayemonii Hayata Viola kanoi Sasaki

Viola biflora var. hirsuta W. Becker

Viola biflora var. valdepilosa Hand.-Mazz.

Chrysion biflorum (L.) Spach

Dischidium biflorum (L.) Opiz

 

 

地下莖短地上莖細弱無毛不分枝1-3葉片腎形1.5-3厘米少心形或寬卵形基部灣缺有時很狹而深邊緣有鈍齒兩面散生細短柔毛基生葉具長而細弱的柄托葉草質矩圓形卵形或半卵形全緣或有疏鋸齒4-5毫米花兩側對稱萼片5條形頂端鈍或圓基部附器不顯著頂端鈍花瓣5黃色下面1瓣近基部有紫色條紋距短2.5-3毫米果長4-7毫米無毛

 

分布於東北華北西北雲南四川西部和西藏朝鮮蘇聯亞洲部分日本北美洲歐洲也有

 

生於高山草原及高海拔的草坡上或疏林中

 

 

^^^^^^^^^^^^^^^^^^^^^^^^^^^^^^^^^^^^^^^^^^^^^^^^^^^^^^^^^^^^^^^^^^^^^^

 

쌍화근채(雙花堇菜)

 

Viola biflora L.

 

 

별명(別名)

穀穗補短距堇菜

 

 

영문명(英文名)

all-grass of Twinflower Violet

 

 

귀경(歸經)

肝經

 

공효(功效)

활혈산어(活血散瘀)지혈(止血)

 

고증(考證)

始載於中國高等植物圖鑒》。

 

과속분류(科屬分類)

堇菜科

 

주치(主治)

질타손상(跌打損傷)토혈(吐血)급성폐염(急性肺炎)폐출혈(肺出血)

 

생태배경(生態環境)

生於海拔2500-4000m的高山及亞高山地帶草甸灌叢或林緣岩石縫隙間

 

각가논술(各家論術)

新華本草綱要》:根莖治跌打損傷吐血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夏季采收全草洗淨鮮用或曬幹

 

공효분류(功效分類)

양혈약(涼血藥)

 

식물형태(植物形態)

 

雙花堇菜 多年生草本10-25cm根莖細或稍粗垂直或斜生具結節有多數細根地上莖較細弱2或數條簇生直立或斜生

  

基生葉2-數枚具長柄葉片腎形寬卵形或近圓形基部心形邊緣具鈍齒1-4.5cm1-3cm莖生葉具短柄葉片較小托葉與葉柄離生卵形或卵狀披針形全緣或疏生細齒花黃色或淡黃色在花末期有時變淡白色花梗細弱上部有2枚披針形小苞片萼片5基部附屬物極短花瓣5圓狀倒卵形距短筒狀2-2.5mm蒴果長圓狀卵形果期5-9

 

 

성미(性味)

味辛微酸性平

 

약재기원(藥材基源)

爲堇菜科植物雙花堇菜的全草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9-15g

외용適量搗敷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솜방망이  (0) 2024.06.04
빙량화(冰涼花)  (0) 2024.03.29
동북근채(東北堇菜)  (1) 2024.03.28
소독약(消毒藥)  (1) 2024.03.28
낭아위릉채(狼牙委陵菜)  (0) 202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