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근채(東北堇菜)

2024. 3. 28. 02:20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약초

동북근채(東北堇菜)

 

 

 

제비꽃/동북근채(東北堇菜)

 

 

제비꽃

 

이명:[가락지꽃] [참제비꽃] [참털제비꽃] [큰제비꽃] [오랑캐꽃] [장수꽃] [씨름꽃] [민오랑캐꽃] [병아리꽃] [외나물] [옥녀제비꽃] [앉은뱅이꽃]

학명:Viola mandshurica W.Becker

분류군:Violaceae(제비꽃과)

일명:スミレ(Sumire)

영명: Manchurian Violet

 

뿌리에서 긴 엽병이 있는 잎이 모여난다. 잎은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절저 또는 약간 심장저에 가까우며 길이 3-8cm, 1-2.5cm로서 가장자리에 얕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이 핀 다음에 자라는 잎은 난상 삼각형이고 심장저로 되며 윗부분에 약간 뚜렷하지 않는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3-15cm로서 윗부분에 날개가 있다.

 

열매

삭과로서 광타원형이고 3갈래로 벌어진다.

 

꽃은 보라색 또는 짙은 자색으로 4~5월에 피며, 잎 사이에서 높이 5-20cm의 가늘고 긴 화경이 나오며 그 끝에 한 송이 꽃이 달려서 한쪽을 향하여 핀다. 꽃잎은 5개이고 서로 같지 않으며 장타원형이고 길이 12-17mm로서 측편(側片)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순편(脣片)은 구두주걱모양이고 자색의 줄이 있다. 거는 짧은 원주형이고 길이 5-7mm이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5-8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부속체는 반구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

줄기는 없다.

 

뿌리

근경은 길이 3-10mm이며 암갈색의 뿌리가 있다. 지상경이 없이 근출엽이 뭉쳐 난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제주, 경남(남해도), 충북, 경기도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10-15(24)cm정도로 자란다.

 

 

 

 

생육 환경

산이나 들의 양지에서 흔히 자란다.

 

광선

양생

 

내한성

약함

 

/번식방법

 

종자 번식, 분주, 뿌리꽂이에 의한다.

 

종자는 너무 익기 전, 장마기 때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자가 완숙되면 터지면서 튀어나간다. 종자는 씨방이 구부러진 시기부터 직립할 때까지 채취하여 종이봉지에 넣어 보관하는데, 너무 익거나 너무 오래 보존하면 싹이 잘 트지 않으므로 되도록이면 채종한 즉시 파종하는 것이 좋다. 특히 종자를 건조시켜 저장하게 되면 종자의 발아율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완숙한 씨앗을 파종하였더라도 겨울의 추위를 막지 못하면 싹이 트지 않으므로 모래와 섞은 다음 충분히 물을 주고 냉장고에 2-3주간 저장시킨 다음 이듬해 봄에 파종하도록 한다.

포기가 커지게 되면 9월경 분갈이와 겸해서 손이나 칼로 포기를 나눠 번식시킬 수 있다. 방법은 먼저 3cm정도 되도록 뿌리를 남기고 자른 다음에 배양토에 심는다. 활착할 때까지는 반음지에서 키우고 잎에 활력이 돌면 양지로 옮긴다.

뿌리꽂이(근삽법)는 줄기가 없고 직근성인 것에 많이 쓰이는 방법이다. 뿌리부분을 약 2cm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예리한 칼이나 면도칼로 잘라내어 아래 위가 뒤바뀌지 않도록 배양토에 심는다. 이때 뿌리의 윗부분이 배양토의 표면과 일치하는 정도로 꽂도록 한다. 반그늘에서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면 2-4주 후에 싹이 트며 잎이 2-3매정도 나오면 이식하여 재배한다. 한여름부터 가을을 제외하고는 언제나 근삽이 가능하다.

 

재배특성

 

내한성, 내건성, 내서성, 내습성이 모두 약한 숙근성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배수가 잘 되고 양지바른 곳이면 토질을 별반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재배적응성은 쉬운 편이다. 직사광선은 받지 않으면서도 하루종일 햇빛이 잘 드는 양지에 재배하고 꽃이 지면 새로운 배양토로 옮겨 심도록 한다. 이때 잘라낸 뿌리는 근삽을 하면 경제적이다. 이식한 다음 2주일 정도는 반그늘에서 재배하고 그 이후부터는 햇빛이 잘 드는 장소로 옮긴다. 노지재배에서는 비료가 별로 필요없지만, 너무 비료가 없어도 꽃붙음이 좋지 못하다. 액비는 1-2주일마다 한 번 정도 주고 5월과 9월경에 깻묵을 묻어준다. 그리고 잎이 진 후에는 반드시 흙으로 덮어주어 뿌리나 눈이 직접 찬바람이나 늦서리를 맞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

제비꽃류 중 건조를 싫어하는 종류는 마사토에 수태를 10-20% 정도 혼합해서 식재하는 것이 좋다.

 

결실기

6, 7, 8

 

이용방안

어린 식물체는 식용

()을 포함한 全草(전초)地丁(지정)이라 하며 약용한다.

 

5-8월 열매가 성숙하면 뿌리째 뽑아서 진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 해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정창, 癰腫(옹종), 나력, 황달, 이질, 下痢(하리), 赤目(적목), 喉痺(후비), 毒蛇咬傷(독사교상)을 치료한다. 또 각종의 化膿性 感染症(화농성 감염증), 淋巴結核(임파결핵), 급성유선염, 전립선염, 위염, 방광염, 關節腫痛(관절종통), 目赤腫痛(목적종통), 麥粒腫(맥립종), 혈변, 鼻出血(비출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신선한 것은 60-9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생즙 또는 粉末(분말)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塗布(도포)하거나 졸여서 膏劑(고제)로 만들어서 펴 붙인다.

 

유사종

 

(for. albescens T.LEE) :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는 꽃이 핀다.

둥근털제비꽃(Viola collina)

고깔제비꽃(V. rossii)

삼색제비꽃(V. tricolor)

금강제비꽃(V. diamantiaca)

 

특징

 

여러 변종들이 있는데 `Royal Robe`는 크고 긴 줄기에 진한 자주꽃이 핀다.

`Charm`은 작고 흰 꽃이 피며 Royal Elk`는 매우 향기로운 보라색 꽃이 핀다. 제비꽃의 많은 다른 종들은 팬지, 야생의 삼색오랑캐 꽃과 같은 많은 대중 정원의 1년생, 또는 다년생들을 포함해서 일반적으로 자란다.

 

병충해정보

겨울철 뿌리가 땅위로 올라오거나 이른봄 늦서리가 끝나갈 무렵 눈이 올라오다가 된서리 등으로 얼어 죽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달팽이나 야도충에 의해 충해를 입기도 한다.

 

방제방법

겨울철 뿌리가 땅위로 올라오거나 이른봄 늦서리가 끝나갈 무렵 눈이 올라오다가 된서리 등으로 얼어 죽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흙을 덮어주어 이에 방비해야 한다. 달팽이나 야도충이 발견되면 살충제를 살포하여 구제하도록 한다.

 

 

 

학명 Viola mandshurica W.Becker

Engler, Bot. Jahrb. 54, Beibl. 120 : 179 (1917)

1. Viola albida subsp. marginata W.Becker

Beih. Bot. Centralbl. 40(2) : 141 (1924)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2. Viola chinensis (G.Don) Nakai

Fl. kor. 2 : 446 (191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Viola chinensis var. media Nakai

Bot. Mag. (Tokyo) 30 : 284 (191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Viola chinensis var. transitica Nakai

Bot. Mag. (Tokyo) 30 : 283 (191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Viola hsinganensis Taken.

Sci. Contr. Northeast Norm. Univ. 1 : 81, Pl. 2, f. (1955)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6. Viola manddshurica var. media (Nakai) Hiyama

J. Jap. Bot. 28 : 93 (195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Viola mandshurica for. ciliata (Nakai) F.Maek.

H.Hara Enum. sperm. Jap. 3 : 207 (1954)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8. Viola mandshurica for. glabra (Nakai) F.Maek. ex H.Hara

Enum. Sperm. Jap. 3 : 208 (195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9. Viola mandshurica for. macrantha (Maxim.) Nakai ex Kitag.

Lin. fl. manshur 321 (1939)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0. Viola mandshurica var. ciliata Nakai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1. Viola mandshurica var. glabra Nakai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2. Viola mandshurica var. glabripetala Hiyama

J. Jap. Bot. 28 : 93 (195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3. Viola oblongo-sagittata for. ishizakii Yamam.

Soc. Trop. Agr. 5 : 352 (1933)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4. Viola oldhamiana Nakai

Bot. Mag. (Tokyo) 42 : 559 (192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5. Viola patrini var. gmeliniana Miq.

Ann. Mus. Lugduno-Batavi 2 : 152 (196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6. Viola patrini var. macrantha Maxim.

Prim. fl. amur. 48 (1859)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7. Viola taiwaniana Nakai

Bot. Mag. (Tokyo) 36 : 38 (1922)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제비꽃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가락지꽃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2. 민오랑캐꽃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병아리꽃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씨름꽃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5. 앉은뱅이꽃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6. 오랑캐꽃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7. 옥녀제비꽃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8. 외나물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9. 장수꽃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0. 참제비꽃

11. 참털제비꽃

12. 큰제비꽃

영문명 : Manchurian Violet

일본명 : スミレ

북한명 : 제비꽃

 

Viola mandshurica W.Becker

Bot. Jahrb. Syst. liv. Beibl. 120, 179. 1917

liv. Beibl. 120, 179 1917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동북근채(東北堇菜)

 

Viola mandshurica W. Beck.

 

 

이명(異名)

 

Viola patrinii f. glabra (Nakai) F. Maek.

Viola mandshurica f. ciliata (Nakai) F. Maek.

Viola mandshurica f. glabra (Nakai) Hiyama

Viola philippica f. intermedia (Kitag.) Kitag.

Viola rhodosepala Kitag. Viola hsinganensis Taken.

Viola yedoensis f. intermedia Kitag.

Viola mandshurica var. glabra Nakai

Viola patrinii var. macrantha Maxim.

Viola mandshurica var. ciliata Nakai

Viola alisoviana f. intermedia (Kitag.) Takenouchi

Viola mandshurica f. macrantha (Maxim.) Nakai ex Kitag.

Viola oblongosagittata f. ishizakii Yamam.

 

 

多年生草本無地上莖618厘米根狀莖縮短垂直512毫米節密生呈暗褐色常自一處發出數條較粗壯的褐色長根根通常平滑向下斜伸或有時稍橫生35片以至多數皆基生葉片長圓形舌形卵狀披針形下部者通常較小呈狹卵形26厘米0.51.5厘米花期後葉片漸增大呈長三角形橢圓狀披針形稍呈戟形長可達10餘厘米寬達5厘米最寬處位於葉的最下部先端鈍或圓基部截形或寬楔形下延於葉柄邊緣具疏生波狀淺圓齒有時下部近全緣兩面無毛或被疏柔毛下面有明顯隆起的中脈葉柄較長2.58厘米上部具狹翅花期後翅顯著增寬被短毛或無毛托葉膜質下部者呈鱗片狀褐色上部者淡褐色淡紫色或蒼白色2/3以上與葉柄合生離生部分線狀披針形先端漸尖邊緣疏生細齒或近全緣花紫堇色或淡紫色較大直徑約2厘米花梗細長通常超出於葉無毛或被短毛通常在中部以下或近中部處具2枚線形苞片s片卵狀披針形或披針形57毫米先端漸尖基部的附屬物短(1.52毫米)而較寬末端圓或截形通常無齒具狹膜質邊緣3上方花瓣倒卵形1113毫米寬約58毫米側方花瓣長圓狀倒卵形1115毫米寬約46毫米裏面基部有長須毛下方花瓣連距長1523毫米距圓筒形粗而長510毫米末端圓向上彎或直雄蕊的藥隔頂端附屬物長約1.5毫米花藥長約2毫米下方2枚雄蕊的距長約46毫米子房卵球形長約2.5毫米無毛花柱棍棒狀基部細而向前方膝曲上部較粗柱頭兩側及後方稍增厚成薄而直立的緣部前方具明顯向上斜升的短喙喙端具較粗的柱頭孔蒴果長圓形11.5厘米無毛先端尖種子多數卵球形1.5毫米無毛淡棕紅色花果期4月下旬至9

 

^^^^^^^^^^^^^^^^^^^^^^^^^^^^^^^^^^^^^^^^^^^^^^^^^^^^^^^^^^^^^^^^^^^^

 

동북근채(東北堇菜)

 

Viola mandshurica W.Bckr.[V.patrinii DC. EX ging. Var. macrantha Maxim.;

V.taiwaniana Nakai;V.mandshurica W.Beck. Var. chiliata Nakai]

 

별명(別名)

堇堇菜紫花地丁

 

 

 

공효(功效)

청열해독(淸熱解毒)소종배농(消腫排膿)

 

과속분류

堇菜科

 

주치(主治)

옹저정독(癰疽疔毒)목적종통(目赤腫痛)인후종통(咽喉腫痛)유옹(乳癰)황달(黃疸)各種膿腫임파결핵(淋巴結核)설사(泄瀉)이질(痢疾)

 

생태배경(生態環境)

生於草地草坡灌叢林緣疏林下田野荒地及河岸沙地處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秋季采收洗淨鮮用或曬幹

 

식물형태(植物形態)

東北堇菜多年生草本無地上莖6-18cm

 

根莖短垂直節密生常自一處發出數條較粗壯的裼色長根根通常平滑向下斜伸或有時稍橫生基生葉少數到多數葉片長圓形舌形卵狀披針形2-6cm0.5-1.5cm花期後葉片漸增大呈長三角形橢圓狀披針形長可達10cm寬達5cm先端鈍或圓基部截形或寬楔形下遷於葉柄邊緣疏生波狀淺圓齒有時下部近全緣葉柄較長2.5-8cm上部具狹翅花期後翅明顯增寬托葉膜質下部者鱗片狀褐色上部者淡褐色淡紫色或蒼白色2/3以上與葉柄合生線狀披針形邊緣疏生細齒或控一緣花較大紫堇色或淡紫色花梗細長常超出於葉萼片5卵獎披針形或披針形基部有寬而短的附屬物花瓣5距粗管狀向上彎或直雄蕊的藥隔先端有附屬物子房卵球形花柱棍棒狀柱頭上短喙先端具柱 頭孔蒴果長圓形1-15cm無毛先端尖種子卵球形淡紅棕色果期4月至9

 

공효분류(功效分類)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소종배농(消腫排膿)

 

생약재감정(生藥材鑑定)

性狀鑒別多皺縮成團濕潤展開後根細長深褐色或灰白色基生葉卵狀披針形或條形頂端鈍圓邊緣波狀基部下延至葉柄質脆易碎氣微味微苦
  

顯微鑒別根橫切面木栓細胞2-5長方形或多角形切向延長壁栓化並微木化皮層和韌皮部薄壁細胞含澱粉粒和草酸鈣方棱晶和簇晶澱粉粒單粒和2-4複粒直徑2-6μm簇晶直徑25-40μm方棱晶小形長徑4-6μm無限外韌型維管束木質部占大部分導管爲單紋孔和網紋增厚壁木化直徑24-64μm管胞爲單紋孔木化直徑16-28μm無木纖維皮層薄壁細胞中可見棕黃色樹脂樣物質上表皮垂周壁平直氣孔多數不等式稀不定式下表皮細胞垂周壁較平直有串珠狀增厚氣孔多數不等式兩面均密被單細胞毛茸150-260-400μm直徑30-36-50μm有角質層表面較平滑葉肉組織柵狀細胞2-3表皮細胞柵狀組織和海綿組織中有棕黃色樹脂樣物質

 

성미(性味)

味苦性寒

 

약재기원(藥材基源)

爲堇菜科植物東北堇菜的全草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15-30g

외용適量鮮品搗敷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량화(冰涼花)  (0) 2024.03.29
쌍화근채(雙花堇菜)  (1) 2024.03.28
소독약(消毒藥)  (1) 2024.03.28
낭아위릉채(狼牙委陵菜)  (0) 2024.03.15
치자연근(雉子筵根)  (1) 2024.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