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아위릉채(狼牙委陵菜)

2024. 3. 15. 22:00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약초

낭아위릉채(狼牙委陵菜)

 

 

 

물양지꽃/ 낭아위릉채(狼牙委陵菜)

 

물양지꽃

 

 

이명: [세잎딱지] [세잎물양지꽃]

학명: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분류군: Rosaceae(장미과)

일어: ミツモトソウ

 

 

 

 

근생엽은 꽃이 필때 말라 없어지고 경생엽은 3출엽으로서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지만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엽병 밑에는 피침형의 탁엽이 있다. 소엽은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4-7cm, 2-3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복거치가 있으며 줄기와 엽병에 퍼진 털이 있고 잎에 복모가 약간 있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 길이 1mm정도로서 연한 색이고 털이 없으며 잔주름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황색이고 가지 끝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잎은 난상 피침형이고 부악편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고 길이 4mm정도로서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거나 약간 짧으며 소화경 윗부분과 꽃받침 밑부분에 융모가 있다. 암술과 수술은 많고 화탁에 짧은 털이 있다.

 

줄기

곧게 서고 높이 5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나고 많은 가지를 낸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처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30~100cm

 

 

 

생육환경

우리나라 각처의 깊은 산 기슭의 냇가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한다.

 

 

 

학명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id. Imp. Sci. Saint-Petersbourg 9 : 155 (1873)

1. Potentilla aegopodiifolia Lev.

Feddes, Rep. Sp. Nov. 7 : 198 (1909)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Potentilla cryptotaeniae var. genuina Kitag.

Rep. Inst. Sci. Res. Manchoukuo 1 : 256 (1937)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Potentilla cryptotaeniae var. obovata Wolf

Bibl. cult. trees cult. trees cult. trees Bot. 71 : 406 (1908)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4. Potentilla cryptotaeniae var. obtusata Wolf

Trav. Mus. Bot. Lugd.- Bat. Acad. Sci. St. -Petersb. 9 : 109 (1912)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국명 물양지꽃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세잎딱지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세잎물양지꽃

영문명 :

일본명 : ミツモトソウ

북한명 : 물양지꽃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Bull. Acad. Petersb. xviii. (1874) 162.

xviii. (1874) 162.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狼牙委陵菜(랑아위릉채)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異名(이명)

 

Potentilla aegopodiifolia H. Lév.

Potentilla cryptotaeniae var. obovata Th. Wolf

Potentilla cryptotaeniae var. obtusata Th. Wolf

 

 

多年生草本30-60厘米80厘米根叢生莖多直立全株有伸展長柔毛基生葉爲三出複葉小葉橢圓形或橢圓狀卵形3-7厘米1.5-2.5厘米先端急尖基部近圓形或寬楔形邊緣有粗鈍鋸齒下面散生柔毛上面幾無毛葉柄長有柔毛莖生葉與基生葉相似唯近頂端的葉片較小葉柄較短聚傘圓錐花序頂生花梗長1.8-2.5厘米有柔毛花黃色直徑約1.2厘米瘦果卵形褐色有不顯明肋

 

分布於黑龍江吉林遼寧四川朝鮮日本也有生於草甸林邊路旁

 

 

^^^^^^^^^^^^^^^^^^^^^^^^^^^^^^^^^^^^^^^^^^^^^^^^^^^^^^^^^^^^^^^^^

 

낭아위릉채(狼牙委陵菜)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별명(別名)

地蜂子

 

공효(功效)

활혈지혈(活血止血)해독렴창(解毒斂瘡)

 

주치(主治)

질타손상(跌打損傷)외상출혈(外傷出血)폐허해수(肺虛咳嗽)설사(泄瀉)이질(痢疾)위통(胃痛)광견교상(狂犬咬傷)창양(瘡瘍)

 

생태배경(生態環境)

生於 해발1000-2200m的河穀草甸草原林緣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夏季采挖洗淨切碎曬幹

 

공효분류(功效分類)

활혈지혈약(活血止血藥)해독렴창약(解毒斂瘡藥)

 

植物形態(식물형태)

 

狼牙委陵菜

 

一年生或二年生草本多須根

 

花莖被硬毛或長柔毛或脫落近無毛基生葉爲三出複葉開花時 已枯死莖生3小葉葉柄被開展長柔毛及短柔毛有時近無毛基生葉托葉膜質褐色外面密被長柔毛莖生中托葉草質綠色全緣披針形先端漸尖通常與順柄合生合生部分比離生部分長1-3小葉片長圓形至卵披針形2-6cm常中部最寬1-2.5cm先端漸尖或尾狀漸尖基部楔形邊緣有多數急尖鋸齒兩面被疏柔毛有時近無毛下面沿脈較密而開展花兩性傘房狀聚傘花序花梗細被長柔毛或短柔毛花直徑約1cm萼片5長卵形先端漸尖或急尖副萼片5披針形先端漸尖開花時與萼片近等長花後比萼片長外被稀疏長柔毛花瓣5倒卵形先端圓鈍或微凹比萼片長或近等長黃色花柱近頂生瘦果卵形光滑果期7-9

 

 

성미(性味)

味澀性平

 

약재기원(藥材基源)

爲薔薇科植物狼牙委陵菜的帶根全草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9-15g

외용研末敷或煎湯洗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북근채(東北堇菜)  (1) 2024.03.28
소독약(消毒藥)  (1) 2024.03.28
치자연근(雉子筵根)  (1) 2024.03.06
야앵속(野罌粟)  (2) 2024.01.03
대산혈  (1) 2023.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