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함초(蛇含草)[본경/동의보감]

2024. 3. 15. 22:56[신농본초경]/하경(下經)

사함초(蛇含草)[본경/동의보감]

 

 

가락지나물/ 사함(蛇含)

 

 

가락지나물

 

이명:쇠스랑개비, 소스랑개비, 큰잎가락지나물, 가는잎쇠스랑개비, 작은잎가락지나물, 아기쇠스랑개비

학명:Potentilla anemonefolia Lehm.

분류군:Rosaceae(장미과)

일본명:オヘビイチゴ(Ohebi-ichigo)

 

근생엽은 긴 엽병끝에 5출장상복엽이 달리고 줄기에 잎이 3개씩 달리며 엽병이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소엽은 도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1-5cm, 8-20mm로서 표면은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으며 뒷면 맥위에는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

화탁은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으며 수과는 난형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0.5mm가량이고 털이 없으며 세로로 약간 주름이 지며 6-7월에 익는다.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8-10mm로서 황색이고 줄기나 가지 끝의 취산화서에 많이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20mm로서 위를 향한 백색털이 있다. 부악편은 선형이고 꽃받침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로서 모두 겉에 털이 약간 있고 꽃잎은 도심장형이며 넓은 예저로서 각각 5개씩이며 수술과 암술은 많다.

 

줄기

높이 20-60cm이고 하반부가 비스듬히 자라며 엽액에서 가지가 옆으로 뻗고 끝이 위를 향하며 위로 향한 털이 있다.

 

뿌리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나기도 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20-60cm 정도로 자란다.

 

 

 

 

생육환경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수분

습윤

 

결실기

6,7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全草(전초) 및 뿌리가 달린 전초를 蛇含(사함)이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 개화 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하거나 신선한 것을 쓴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驚癎高熱(경간고열), 말라리아, 咳嗽(해수), 咽喉痛(인후통), 濕痺(습비), 癰疽癬瘡(옹저선창), 丹 毒(단독), 癢疹(양진), ,蟲咬傷(,충교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煎液 (전액)으로 세척하거나 양치질을 하거나 짓찧어서 붙인다.

 

 

 

 

 

 

 

 

학명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1. Potentilla kleiniana subsp. anemonefolia (Lehm.) Murata

Acta Phytotax. Geobot. 21 : 89, f. (196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Potentilla kleiniana var. anemonefolia (Lehm.) Nakai

Bull. Natl. Sci. Mus. Tokyo 31 : 58 (195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Potentilla kleiniana var. robusta (Franch. & Sav.) Kitag.

Neolin. Fl. Manshur. 373 (Kitag., 19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Potentilla sundaica var. robusta (Franch. & Sav.) Kitag.

J. Jap. Bot. 55 : 267 (198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Potentilla wallichiana for. robusta Franch. & Sav.

Enum. Pl. Jap. (Franch. & Sav., 2 vols: Vol. 1, pt. 1 (pgs. 1-192), 1873 Vol. 1, pt. 2 (pgs. 193-485), 1875 Vol. 2, pt. 1 (pgs. 1-256), 1877 Vol. 2, pt. 2 (pgs. 257-624), 1878 Vol. 2, pt. 3 (pgs. 625-789), 18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Potentilla wallichiana var. anemonefolia (Lehm.) Nakai

Bot. Mag. (Tokyo) 30 : 233 (191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Potentilla wallichiana var. minor Nakai

Feddes, Repert. 13 : 276 (191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8. Potentilla wallichiana var. robusta (Franch. & Sav.) Th.Wolf

Biblioth. Bot. 71 : 412 (190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가락지나물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가는잎쇠스랑개비

2. 소스랑개비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쇠스랑개비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아기쇠스랑개비

5. 작은잎가락지나물

6. 큰잎가락지나물

영문명 :

일본명 : オヘビイチゴ

북한명 : 가락지나물

 

 

 

Potentilla anemonifolia Lehm.

Ind. Sem. Hort. Hamburg. (1853) 9; et in Hamb. Gartenz. ix. (1853) 505.

(1853) 9; et in Hamb. Gartenz. ix. (1853) 505.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Potentilla anemonifolia Lehm. 異名

 

正名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 蛇含委陵菜

 

 

 

사함위릉채(蛇含委陵菜)

 

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

 

 

이명(異名)

 

Potentilla bodinieri H. Lév.

Potentilla anemonifolia Lehm.

 

 

多年生草本20-40厘米根莖短莖多分枝細長稍匍匐有絲狀柔毛掌狀複葉基生葉小葉5,倒卵形或倒披針形1.5-5厘米06-1.5厘米先端圓形或鈍尖基部楔形邊緣有粗鋸齒基部全緣下面沿葉脈有貼生柔毛葉柄長有柔毛托葉近膜質貼生於葉柄莖生葉有1-3小葉葉柄短傘房狀聚傘花序有多花總花梗和花梗有絲伏柔毛花梗長5-20毫米花黃色直徑約8毫米副萼片條形瘦果寬卵形微縱皺黃褐色

 

自東北至廣東廣西均產朝鮮日本印度馬來西亞也有生於山坡草甸河邊根及全草藥用有清熱解毒收斂鎮痙止咳止血之效

 

 

 

^^^^^^^^^^^^^^^^^^^^^^^^^^^^^^^^^^^^^^^^^^^^^^^^^^^^^^^^^^^^^^^^^^^^^^

 

蛇合

原註雲合是含字

 

味苦微寒

 

主驚癇寒熱邪氣除熱金創疽痔鼠瘺惡創頭瘍一名蛇銜生山穀

 

 

名醫生益州八月採陰乾

按本草圖經雲或雲是雀瓢即是蘿摩之別名據陸璣雲芄蘭一名蘿摩幽州謂之雀瓢則即爾雅雚芄蘭也,《唐本別出蘿摩條又見女青

 

 

 

[本經/下經]

 

^^^^^^^^^^^^^^^^^^^^^^^^^^^^^^^^^^^^^^^^^^^^^^^^^^^^^^^^^^^^^^^^^^^^^^

 

蛇含

 

사함(蛇含)

 

 

 

야혀性微寒味苦無毒

 

()은 미한(微寒)하고 미()는 고()하며 무독(無毒)하다.

 

 

主金瘡疽痔鼠瘻惡瘡頭瘍療蛇盤蜂紅毒傷治風疹癰腫

 

금창(金瘡), 저치(疽痔), 서루악창(鼠瘻惡瘡), 두양(頭瘍)에 주효(主效)하다. (), (), 봉독(蜂毒)을 치료(治療)하고 풍진(風疹), 옹종(癰腫)을 치()한다.

 


處處有之當用細葉黃花者爲佳八月採葉日乾勿令犯火本草

 

곳곳에서 자라는데 세엽(細葉)으로 황화(黃花)만을 사용(使用)한다. 팔월(八月)에 채엽(採葉)하여 쇄건(曬乾)한다. 화기(火氣)에 닿으면 안 된다.[본초].

 


昔人見蛇被傷一蛇含草著瘡上傷蛇乃去因用此有效故名入門

 

옛사람이 보니 사()가 부상(負傷)했을 때 다른 한 마리의 사()가 어떤 초()를 품어 와서 창상(瘡上)에 저()했는데 부상(負傷)했던 사()가 어디론지 사라진 것을 보고 이 초()를 사창(蛇瘡)에 써 본즉 유효(有效)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사함초(蛇含草)라 하였다[입문].

 

 

 

主金瘡搗付之佳

 

금창(金瘡)에 주효(主效)한데, ()하여 부()하면 좋다.

 


又雲蛇含膏連已斷之指本草

 

 

또한 사함고(蛇含膏)는 절단(切斷)된 손가락을 붙게 한다고 한다[본초].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