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학초(仙鶴草)[본경/동의보감]

2024. 3. 6. 19:25[신농본초경]/하경(下經)

선학초(仙鶴草)[본경/동의보감]

 

 

 

 

짚신나물/선학초(仙鶴草)

 

 

 

짚신나물

 

이명:등골짚신나물, 큰골짚신나물, 집신나물, 북짚신나물, 산집신나물

학명:Agrimonia pilosa Ledeb.

분류군:Rosaceae(장미과)

일본명: キンミズヒキ(Kinmizuhiki)

영명: Hairyvein Agrimonia

 

잎은 호생하며 기수우상복생으로서 5-7개의 소엽이 있으나 밑부분의 소엽은 점차 작아지고 중앙부에 소엽같은 것이 끼어 있으며 끝에 달려 있는 3개의 소엽은 크기가 거의 비슷하고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3-6cm, 1.5-3.5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탁엽은 반월형이며 한쪽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잎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성글게 있으며 뒷면은 담록색으로서 털이 더 많다.

 

 

열매

수과는 도원추형으로 술잔모양의 화탁에 싸여 세로로 능선이 있고 윗머리에 갈고리가시들이 있으며 8-9월에 익는다.(수과로서 숙존악 속에 있다.)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0-20cm이며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다. 꽃받침통은 길이 3mm 정도로서 세로로 파진 줄이 있으며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그 밑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어서 성숙하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3-6mm로서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수술은 12개이고 꽃받침은 도원추형이다.

 

줄기

높이 3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나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오키나와, 중국, 아무르, 히말라야,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30-100cm

 

 

 

 

생육환경

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결실기

8,9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9월 단단해진 줄기 아랫부분은 버리고 부드러운 윗줄기와 잎, 꽃을 함께 잘게 썬 다음 끓여서 염액을 내었다. 아주 좋은 염료식물로 매염제 없이도 짙은 색을 얻을 수 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 다양한 색을 만들 수 있다.

 

짚신나물, 산짚신나물의 全草(전초)仙鶴草(선학초), ()龍牙草根(용아초근), 根莖(근경)仙鶴草根芽(선학초근아)라 하며 약용한다.

 

仙鶴草(선학초)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莖葉(경엽)이 무성하고 꽃은 아직 피지 않은 것의 전초를 베어 진

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에는 agrimonin, agrimonolide, tannin, sterol,

유기산, phenol() 성분, 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줄기에는 tannin 6.5%, 잎에는

tannin 16.4%가 함유되어 있다. 잎과 줄기에는 또 luteolin-7-β-glucoside가 함유되어 있

.

 

약효 : 止血(지혈), 健胃(건위)의 효능이 있다. 폐결핵의 喀血(객혈), 吐血(토혈), 痔出血(

출혈), 血尿(혈뇨), 血便(혈변), 赤白痢(적백리), 출혈성장염, 위궤양출혈, ()膿瘍(

), 자궁출혈, 帶下(대하), 과로에 의한 脫力(탈력), 癰腫(옹종), 타박, 切傷出血(절상출혈)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15-30g) 달여 복용하거나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散劑

(산제)로 쓰기도 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龍芽草根(용아초근)

 

가을 이후에 뿌리를 캐어 蘆頭(노두)를 끊어내고 뿌리만 깨끗하게 씻어서 말린다. 성분

: 뿌리에는 agrimonolide, taxifloin, vanillin(), ellagic acid, triterpen(),

phytosterol, agriminol이 함유되어 있고 또 tannin 8.9%도 함유되어 있다. 약효 :

(), ()細菌性下痢(세균성하리), 부녀의 無月經(무월경), 腫毒(종독)을 치료하고 蟯蟲

(요충)도 구제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붙인다.

 

仙鶴草根芽(선학초근아)

 

不定芽(부정아)가 달린 根莖(근경)으로, 겨울, 봄에 새그루에서 싹이 나오기 전에 근경을 캐어 老莖(노경)을 제거하고 幼芽(유아)만 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약효 : 穡蟲症(조충증)을 치료한다.

 

유사종

큰골짚신나물 (A. eupatoria)

산짚신나물 (A. coreena Nakai) : 턱잎이 좁고 끝이 뾰족하며 잎모양으로 넓고 많은 톱니가 있다.

 

특징

개화 전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용아초(龍牙草) 또는 선학초(仙鶴草)라 한다.

 

 

 

 

학명 Agrimonia pilosa Ledeb.

Ind. Hort. Dorp. Suppl. 1 (1823)

1. Agrimonia dahurica (Link) Willd.

Prodr. (DC.) 2 : 587 (DC., 1825)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2. Agrimonia japonica (Miq.) Koidz.

Bot. Mag. (Tokyo) 44 : 104 (1930)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3. Agrimonia pilosa f. bracteata Nakai

Bot. Mag. (Tokyo) 47 : 245 (193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Agrimonia pilosa f. dahurica (Link) Nakai

Bot. Mag. (Tokyo) 47 : 245 (1933)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5. Agrimonia pilosa for. typica Nakai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1)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vol. 34 (Murata & Umemoto, 1983)

6. Agrimonia pilosa subsp. japonica (Miq.) H.Hara

J. Jap. Bot. 398 (196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Agrimonia pilosa var. japonica (Miq.) Nakai

Bot. Mag. (Tokyo) 47 : 245 (193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8. Agrimonia viscidula var. japonica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3 : 38 (1867)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국명 짚신나물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등골짚신나물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북짚신나물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3. 산집신나물

4. 집신나물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5. 큰골짚신나물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영문명 : Hairyvein Agrimonia

일본명 : キンミズヒキ

북한명 :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Ledeb.

Ind. Hort. Dorp. Suppl. (1823) 1.

(1823) 1 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용아초(龍牙草)

Agrimonia pilosa Ledeb.

 

 

이명(異名)

 

Agrimonia eupatoria var. japonica (Miq.) Masam.

Agrimonia japonica (Miq.) Koidz.

Agrimonia pilosa var. japonica (Miq.) Nakai

Agrimonia obtusifolia A. I. Baranov et Skvortsov

Agrimonia pilosa var. viscidula (Bunge) Kom.

Agrimonia viscidula Bunge

Agrimonia pilosa subsp. japonica (Miq.) H. Hara

Agrimonia viscidula var. japonica Miq.

Agrimonia viscidula f. borealis Kitag.

Agrimonia conopsea Czern. ex C.A.Mey., nom. nud.

Agrimonia convergens Czern. ex Juz.

Agrimonia godetiana Andrz.

Agrimonia gotectiana auct.

Agrimonia eupatoria var. dahurica Fisch. ex Link

Agrimonia eupatoria var. davurica Link

Agrimonia eupatoria var. pilosa (Ledeb.) Klinge

Agrimonia pilosa f. dahurica (Willd. ex Ser.) Nakai

Agrimonia pilosa var. setulosa Regel

Agrimonia striata subsp. pilosa (Ledeb.) Rumjantsev, comb. inval.

Agrimonia pilosa f. davurica Nakai

 

 

多年生草本30-60厘米全部密生長柔毛單數羽狀複葉小葉5-7,雜有小型小葉無柄橢圓狀卵形或倒卵形3-6.5厘米1-3厘米邊緣有鋸齒兩面均疏生柔毛下面有多數腺點葉柄長1-2厘米葉軸與葉柄均有稀疏柔毛托葉近卵形頂生總狀花序有多花近無梗苞片細小3花黃色直徑6-9毫米萼筒外面有槽並有毛頂端生一圈鉤狀刺毛裂片5;花瓣5;雄蕊10;心皮20瘦果倒圓錐形萼裂片宿存

 

分布幾遍全國朝鮮日本蘇聯也有生於山坡路旁草地全草含鞣酸爲收斂止血藥並有強壯止瀉等作用

 

 

^^^^^^^^^^^^^^^^^^^^^^^^^^^^^^^^^^^^^^^^^^^^^^^^^^^^^^^^^^^^^^^^^^^^^^^^

 

牙子

 

味苦寒

 

主邪氣熱氣疥搔惡瘍創痔去白蟲一名狼牙生川穀

 

吳普狼牙一名支蘭一名狼齒一名犬牙一名抱子神農黃帝苦有毒桐君或鹹岐伯雷公扁鵲苦無毒生冤句葉青根黃赤六月七月華八月實正月八月採根(《禦覽》)。

名醫一名狼齒一名狼子一名犬牙生淮南及冤句八月採根暴幹

範子計然狼牙出三輔色白者善

 

 

 

[本經/下經]

 

^^^^^^^^^^^^^^^^^^^^^^^^^^^^^^^^^^^^^^^^^^^^^^^^^^^^^^^^^^^^^^^^^^^^^^^^

 

 

 

狼牙

 

낭아(狼牙)

 

 

낭아초性寒味苦酸有毒

 

()은 한()하고 미()는 고(), ()하며, 유독(有毒)하다.

 

 

 

主疥瘙惡瘍瘡痔殺寸白盤及腹中一切盤

 

개선(疥癬), 악양(惡瘍), 창치(瘡痔)에 주효(主效)하고, 촌백충(寸白蟲) 및 일체(一切)의 충()을 살()한다.

 


苗似蛇怩而厚大深綠色根黑若獸之齒牙故以名之一名牙子二月八月採根暴乾中濕腐爛生衣者殺人本草

 

 

()는 사매(蛇莓)와 흡사하고, 후대(厚大)하며, 심녹색(深綠色)이다. ()은 흑색(黑色)이고 수()의 치아(齒牙)와 흡사하여 낭아(狼牙)라 했다. 일명(一名) 아자(牙子)라고도 한다. 이월(二月), 팔월(八月)에 채근(採根)하여 폭건(暴乾)한다. 습중(濕中)에서 부란(腐爛)하여 생의(生衣)한 것은 사람을 살()한다.[본초].

 

 

 

 

 

@狼牙

 

낭아(狼牙)

 

 

 

婦人陰蝕瘡潰爛臭穢狼牙煎取濃汁沈洗患處或 綿纏子濐汁滴入陰戶日四五次得效

 

부인(婦人)의 음식창(陰蝕瘡), 궤란(潰爛), 취예(臭穢) 한데는 낭아(狼牙)를 전()하여 농즙(濃汁)을 취()하여 환처(患處)를 침세(浸洗)하거나 또는 면(綿)에 약물을 적셔서 일일(一日) ()~오회(五回) 음호(陰戶)에 떨구어 넣어도 된다[득효].

 

) 낭아(狼牙) 삼량(三兩), 물 사승(四升)으로 반승(半升)이 되게 달여서 하루에 사()~오회(五回), 숟가락에 면(綿)을 감아서 묻히고 역세(瀝洗)한다.(장중경금궤옥방)

 

 

@狼牙

 

낭아(狼牙)

 

 

殺腹內一切蟲

 

복내(腹內) 일체(一切)의 충()을 살()한다.

 


殺寸白蟲取爲末蜜丸麻子大空心米飮下一二錢本草

 

 

 


촌백충(寸白蟲)을 살()하려면 연말(硏末)하여 대마자(大麻子)만하게 밀환(蜜丸)을 만들어 공심(空心)에 일()~이전(二錢)을 미음(米飮)으로 먹는다.[회춘].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