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협(皂莢)[본경/동의보감]

2023. 11. 23. 21:43[신농본초경]/하경(下經)

조협(皂莢)[본경/동의보감]

 

 

 

 

조각자나무/조협(皂莢)/조각자(皂角刺)

 

 

조각자나무

 

 

이명:[참조각자나무] [개주염나무] [중국주엽]

학명: Gleditsia sinensis Lamarck

분류군: Leguminosae(콩과)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3~6쌍이고 장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9cm, 나비 5~35mm이며 양끝이 둔하거나 약간 뾰족하고 표면은 중륵과 맥 위에 갈색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맥 위에만 갈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의 둔한 톱니가 있다.

 

열매

과실은 협과로 길이 20cm, 나비 3cm로 비틀리지 않고 두꺼우며 쪼개면 매운 냄새가 나고 10월에 성숙한다.

 

꽃은 일가화이고 6월에 피며 수상화서로 달린다. 가시가 큰 것은 길이 10cm, 지름 1cm 이상으로서 방추형 비슷하다.

 

원산지

중국 원산으로 식재한다.

 

형태

낙엽활엽 교목이다.

 

 

 

 

학명 Gleditsia sinensis Lamarck

Encycl. (Lamarck) 2 : 465 (Lamarck, 1788)

1. Gleditsia horrida Willd.

Sp. pl. 4(2) : 1098 (Willd., 1806)

2. Gleditsia macracantha Desf.

Hist. Arbr. France 2 : 246 (Desf., 1809)

3. Gleditsia officinalis Hemsl.

국명 조각자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1. 개주염나무

1) 한조식물명칭사전 (한진건, 장굉문, 왕용, 풍지원, 1982)

2. 중국주엽

3. 참조각자나무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Gleditsia sinensis Lam.

Encycl. (Lamarck) 2(2): 465. 1788 [14 Apr 1788]

2(2): 465 1788

Original Data:

Notes: China

 

 

 

 

^^^^^^^^^^^^^^^^^^^^^^^^^^^^^^^^^^^^^^^^^^^^^^^^^^^^^^^^

 

 

 

皂莢

 

leditsia sinensis Lam.

 

이명(異名)

 

Caesalpiniodes macracanthum (Desf.) Kuntze

Gleditsia macracantha Desf.

Gleditsia officinalis Hemsl.

Gleditsia xylocarpa Hance

Gymnocladus williamsii Hance

Caesalpiniodes sinense (Lam.) Kuntze

Gleditsia sinensis var. inermis Loudon

Gleditsia sinensis var. purpurea Hort. ex Loudon

Gleditsia indica Lavallée

Gleditsia fontanesii Spach

 

 

 

 

형태특정(形態特征)

 

 

 

落葉喬木或小喬木高可達30枝灰色至深褐色刺粗壯圓柱形常分枝多呈圓錐狀長達16厘米葉爲一回羽狀複葉10-18(26)厘米小葉(2)3-9紙質卵狀披針形至長圓形2-8.5 (12.5)厘米1-4(6)厘米先端急尖或漸尖頂端圓鈍具小尖頭基部圓形或楔形有時稍歪斜邊緣具細鋸齒上面被短柔毛下面中脈上稍被柔毛網脈明顯在兩面凸起小葉柄長1-2(5)毫米被短柔毛花雜性黃白色組成總狀花序花序腋生或頂生5-14厘米被短柔毛雄花直徑9-10毫米花梗長2-810毫米花托長2.5-3毫米深棕色外面被柔毛萼片4三角狀披針形3毫米兩面被柔毛花瓣4長圓形4-5毫米被微柔毛雄蕊8(6)退化雌蕊長2.5毫米兩性花直徑10-12毫米花梗長2-5毫米花瓣與雄花的相似惟萼片長4-5毫米花瓣長5-6毫米雄蕊8;子房縫線上及基部被毛偶有少數湖北標本子房全體被毛),柱頭淺2胚珠多數莢果帶狀12-37厘米2-4厘米勁直或扭曲果肉稍厚兩面臌起或有的莢果短小多少呈柱形5-13厘米1-1.5厘米彎曲作新月形通常稱豬牙皂內無種子果頸長1-3.5厘米果瓣革質褐棕色或紅褐色常被白色粉霜種子多顆長圓形或橢圓形11-13毫米8-9毫米棕色光亮花期3-5果期5-12

 

 

 

 

&&&&&&&&&&&&&&&&&&&&&&&&&&&&&&&&&&&&&&&&&&&&&&&&&&&&&&&

 

 

주엽나무/조각자(皂角刺)

 

주엽나무

 

 

이명:[주염나무]

학명; Gleditsia japonica Miq.

분류군: Leguminosae(콩과)

일어: チョウセンサイカチ

영문 Korean Honey Locus

 

 

 

 

잎은 호생하고 1~2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5~8쌍이고 찌그러진 장 타원형으로 길이 3~5.5cm, 나비 3cm이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중륵의 좌우의 나비가 다르다.

 

열매

과실은 협과로 길이 23cm, 나비 3cm로 비틀리며 10월에 익는다.

 

꽃은 일가화로 6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수상화서로 달린다. 소화경은 거의 없고 포는 선형이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 5개이고 수술은 9~10개이며 암술대에 털이 있다.

 

줄기

수피는 흑갈색 또는 암회색으로 매끈매끈하며 사마귀모양의 피목이 많고 가지가 퇴화한 가시가 있으며 어린가지와 엽축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함북을 제외한 전도에 나며 만주,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 교목이다.

크기

높이 15~20m이다.

 

 

 

 

생육환경

산기슭의 계곡사이나 물가

 

이용방안

과실 및 가시는 약용.

 

 

 

 

학명 Gleditsia japonica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3: 53 (1867)

1.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Nakai

J. Jap. Bot. 27: 130 (1952)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국명 주엽나무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주염나무

영문명 : Korean Honey Locus

일본명 : チョウセンサイカチ

북한명 : 주엽나무

 

 

Gleditsia japonica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iii. 54.

iii. 54.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산조협(山皂莢)

Gleditsia japonica Miq.

 

 

異名(이명)

 

 

Caesalpiniodes japonicum (Miq.) Kuntze

Gleditsia koraiensis Nakai ex T. Mori

Gleditsia melanacantha T. Tang et F. T. Wang

Fagara horrida Thunb.

Gleditsia coccinea Koehne

Gleditsia japonica var. purpurea Rehder

Gleditsia japonica f. inermis Mayr

Gleditsia horrida var. typica C. K. Schneid.

Gleditsia japonica var. inermis Nakai

Gleditsia horrida var. inermis (Mayr) Nakai

Gleditsia japonica f. inarmata Nakai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Nakai

 

형태(形態)

 

落葉喬木高可達14小枝紫褐色或脫皮後呈灰綠色刺基部扁圓中上部扁平常分枝黑棕色或深紫色216厘米基徑可達1厘米且多密集葉爲一回或二回羽狀複葉1025厘米一回羽狀複葉常簇生小葉61l互生或近對生卵狀長橢圓形至長圓形26厘米14厘米先端鈍尖或微凹基部闊楔形至圓形稍偏斜邊緣有細鋸齒稀全緣兩面疏生柔毛中脈較多二回羽狀複葉具26對羽片小葉310卵形或卵狀長圓形長約1厘米雌雄異株雄花成細長的總狀花序花萼和花瓣均爲4黃綠色雄蕊8雌花成穗狀花序花萼和花瓣同雄花有退化的雄蕊子房有柄莢果帶狀2036厘米寬約3厘米棕黑色常不規則扭轉花期56果期610

 

 

 

관상응용(觀賞應用)

  

莢果煎汁可代肥皂最宜洗滌絲綢毛織品

種子刺均入藥果莢有祛痰利尿殺蟲功效皂刺可活血治瘡癬種子可治癬通便可作四旁綠化樹種。   應用東北華北至華東陽性耐寒耐幹旱抗汙染力強樹冠寬廣葉密蔭濃用做庭蔭樹被子植物門.豆科皂莢屬.落葉喬木高達15-30m樹冠扁球形樹幹皮灰黑色淺縱裂幹及枝條常具刺刺圓錐狀多分枝粗而硬直小枝灰綠色皮孔顯著冬芽常疊生一回偶數羽狀複葉有互生小葉6-14卵形至卵狀長橢圓形,,葉端鈍而具短尖頭葉緣有細鈍鋸齒葉背網脈明顯總狀花序腋生莢果帶狀2036厘米寬約3厘米棕黑色常不規則扭轉被白粉花期5-6果熟9-10

 

 

 

&&&&&&&&&&&&&&&&&&&&&&&&&&&&&&&&&&&&&&&&&&&&&&&&&&&&&&&&

 

 

민주엽나무/조각자(皂角刺)

 

 

 

 

민주엽나무

 

 

이명:[민주염나무] [주염나무]

학명: Gleditsia japonica f. inarmata Nakai

분류군: Leguminosae(콩과)

 

 

잎은 호생하며 길이 12-22로서 1-2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8쌍이며 찌그러진 난상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 원저이며 길이 3-5.5cm이지만 길이 9.5cm, 나비3cm인 것도 있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2회 우상복엽은 4쌍의 잎에 5-7쌍의 소엽이 달리며 엽축 표면에 홈이 있고 다소 날개같이 된다.

 

열매

열매는 길이 23, 넓이 3의 납작한 협과로 꼬투리는 비틀려서 꼬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열매의 내피속은 잼같으며 달콤하다.

 

꽃은 잡성 일가화로서 6월에 피며 지름 6mm정도로서 연녹색이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고 수술은 9-10개이며 길이 4-5mm로서 녹색이고 수술대는 10개 정도로 털이 있다.

 

줄기

높이가 20m에 달하고 굵은 가지가 나와서 퍼지며 새가지는 녹색이고 피목이 산재하며 군데군데에서 자갈색의 얇은 막이 벗겨지고 소지 같은 편평한 가시가 있다. 원줄기에 가시가 없고 노목일수록 세로 방향으로 홈이 파여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평남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크기

수고 20m, 직경 70정도

 

 

학명 Gleditsia japonica f. inarmata Nakai

Jap. J. Bot. 27 : 130 (1952)

국명 민주엽나무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1. 민주염나무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주염나무

1) 한조식물명칭사전 (한진건, 장굉문, 왕용, 풍지원, 1982)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무자산조협(無刺山皂莢)

Gleditsia japonica f. inarmata Nakai 異名

 

 

正名산조협(山皂莢)

Gleditsia japonica Miq

 

 

이명(異名)

 

Caesalpiniodes japonicum (Miq.) Kuntze

Gleditsia koraiensis Nakai ex T. Mori

Gleditsia coccinea Koehne

Gleditsia japonica var. purpurea Rehder

Gleditsia japonica f. inermis Mayr

Gleditsia horrida var. typica C. K. Schneid.

Gleditsia japonica var. inermis Nakai

Gleditsia horrida var. inermis (Mayr) Nakai

Gleditsia japonica f. inarmata Nakai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Nakai

 

 

 

 

Gleditsia japonica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iii. 54.

Original Data:

Notes: Japon

 

 

형태특정(形態特征)

 

 

落葉喬木或小喬木高達25小枝紫褐色或脫皮後呈灰綠色微有棱具分散的白色皮孔光滑無毛刺略扁粗壯紫褐色至棕黑色常分枝2-15.5厘米葉爲一回或二回羽狀複葉具羽片2-6),11-25厘米小葉3-10紙質至厚紙質卵狀長圓形或卵狀披針形至長圓形2-7(9)厘米1-3(4)厘米二回羽狀複葉的小葉顯著小於一回羽狀複葉的小葉),先端圓鈍有時微凹基部闊楔形或圓形微偏斜全緣或具波狀疏圓齒上面被短柔毛或無毛微粗糙有時有光澤下面基部及中脈被微柔毛老時毛脫落網脈不明顯小葉柄極短花黃綠色組成穗狀花序花序腋生或頂生被短柔毛雄花序長8-20厘米雌花序長5-16厘米雄花直徑5-6毫米花托長1.5毫米深棕色外面密被褐色短柔毛萼片3-4三角狀披針形長約2毫米兩面均被柔毛花瓣4橢圓形長約2毫米被柔毛雄蕊6-89);雌花直徑5-6毫米花托長約2毫米萼片和花瓣均爲4-5形狀與雄花的相似長約3毫米兩面密被柔毛不育雄蕊4-8子房無毛花柱短下彎柱頭膨大2胚珠多數莢果帶形扁平20-35厘米2-4厘米不規則旋扭或彎曲作鐮刀狀先端具長5-15毫米的喙果頸長1.5-3.5 (5厘米果瓣革質棕色或棕黑色常具泡狀隆起無毛有光澤種子多數橢圓形9-10毫米5-7毫米深棕色光滑花期4-6果期6-11

 

 

 

 

^^^^^^^^^^^^^^^^^^^^^^^^^^^^^^^^^^^^^^^^^^^^^^^^^^^^^^^^^^^^^^^^^^^^^^^

皂莢

 

味辛鹹溫

 

主風痺死肌邪氣風頭淚出利九竅殺精物生川穀

 

名醫生壅州及魯鄒縣如豬牙者良九月十月採陰乾

說文莢草實。《範子計然皂莢出三輔上價一枚一錢廣志曰雞棲子皂莢也(《禦覽》),皂即草省文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하경(下經)]

 

^^^^^^^^^^^^^^^^^^^^^^^^^^^^^^^^^^^^^^^^^^^^^^^^^^^^^^^^^^^^^^^^^^^^^^^

爣莢

 

 

 

주엽나모여름性溫味辛稜有小毒

 

()은 온()하고 미()는 신()하고 함()하며 유소독(有小毒)하다.

 

 

通關節除頭風利九竅消痰涎止咳嗽療脹滿破堅琋能墮胎治中風口夝殺勞盤

 

관절(關節)을 통()하고 두풍(頭風)을 거()하며, 구규(九竅)를 통리(通利)하며 담연(痰涎)을 소()하고, 해수(咳嗽)를 멎게 한다. 창만(脹滿)을 요()하며, 징가(癥瘕)를 파()하고 곧잘 타태(墮胎)한다. 중풍구금(中風口噤)을 치()하며, 노충(勞蟲)을 살()한다.

 


在處有之樹高枝間生大刺九月十月採莢陰乾

 

곳곳에서 난다. 나무의 키는 높고 가지 사이에서 큰 가시가 돋아 있다. 구월(九月), 십월(十月)에 채협(採莢)하여 음건(陰乾)한다.

 


有長爣莢豬牙爣莢二種今醫家作曣風氣九散多用長爣莢治齒及取積藥多用豬牙爣莢大抵性味不相達

장조협(長皂莢), 저아조협(豬牙皂莢) 등 두 가지가 있는데 지금 의사들은 풍기를 없애는 알약이나 가루약에는 장조협을 쓰고 이빨의 병과 적을 낫게 하는 약에는 저아조협을 많이 쓴다. 성미(性味) 대체로 비슷하다.

 

 

不猙而肥者佳可爲沐湯去垢甚妙本草

 

좀 안 먹고 잘 여문 것이 좋다. 달인 물로 목욕하면 때가 아주 잘 씻어진다[본초].

 


引入厥陰經藥也去皮及子曧炙或蜜炙用入門

 

궐음경(厥陰經)으로 들어가는 약이다. () 및 자()를 거()하고 수자(酥炙), 또는 밀구(蜜灸)하여 사용(使用)한다.[입문].

 


鐵睖以禹金銀雖千百年不壞以槌爣莢則卽碎一名爣角丹心


쇠모루에 금, 은을 두드리면 천백 년까지도 깨지지 않는데 주염열매를 놓고 두드리면 곧 부서진다. 일명 조각(皂角)이라고도 한다[단심].

 

 

 

爣莢子

 

 

 

疎導五藏風熱壅滯又入治肺藥療大腸風秘礐核取中心嚼餌治膈痰呑酸本草

 

오장(五臟)의 풍열(風熱)된 옹체(壅滯)를 소도(疎導)한다. 또 치폐(治肺)하는 약()에 가()한다. 대장(大腸)에 풍사가 있어 변비가 된 것을 풀리게 한다. 싸서 구워 속에 있는 씨를 꺼내어 씹어 먹으면 가슴에 담이 있는 것과 신물이 올라오는 것을 낫게 한다[본초].

 

 

 

爣角刺

 

 

 

一名天丁凡癰疽未破者能開竅已破者能引藥達瘡處乃諸惡瘡及嵀風要藥也本草

 

일명 천정(天丁)이라고도 한다. 터지지 않은 옹종을 터지게 한다. 이미 터진 때에는 약 기운을 끌고 종처에까지 가므로 모든 악창과 문둥병에 좋은 약으로 된다[입문].

 

 

 

鬼爣莢

 

 

 

生澤畔如爣莢高一二尺可作浴湯去風瘡疥癬衣垢又沐頭長髮本草

 

못가에서 난다. 주염나무와 비슷한데 높이가 일()-이척(二尺)이다. 이것을 달인 물로 목욕하면 풍창(風瘡), 개선(疥癬)이 낫게 되고 옷의 때도 잘 진다. 또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잘 자란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